제목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3.14 16:31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3일 노환으로 별세 뒤늦게 알려져… 日 역대 두번째 노벨문학상 수상
일왕제 비판하며 문화훈장 거부… 韓 위안부 문제에 日 사과 요구도
3일 별세한 일본 작가 오에 겐자부로는 전후 세대를 대표하는 일본 지성의 양심으로 통했다. 동아일보DB3일 별세한 일본 작가 오에 겐자부로는 전후 세대를 대표하는 일본 지성의 양심으로 통했다. 동아일보DB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일본 청년들의 정신 상황을 표현하며 일본 문학을 대표한 작가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가 3일 노환으로 별세했다고 일본 언론이 13일 보도했다. 향년 88세.

  ‘설국’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1968년) 이후 일본인으로는 두 번째로 1994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고인은 1935년 에히메현에서 태어나 도쿄대 불문과에 다니던 1958년 단편 ‘사육’으로 등단했다. 그해 23세이던 그는 사육으로 최고 권위 신인문학상인 아쿠타가와(芥川)상을 최연소로 수상했다. 이 작품은 패전 이후 일본 사회의 불안감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그에게 노벨문학상을 안긴 대표작 ‘만엔 원년의 풋볼’(1967년)은 패전 후 미일안보조약 체결 반대 투쟁, 재일조선인과 일본인 간의 갈등을 배경으로 일본인이 겪은 정신적 공황을 통해 인간 실존 문제를 적나라하게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63년 장애인 아들 히카리를 낳아 기른 경험을 토대로 이듬해 장애인의 출생을 주제로 인권을 유린당한 전후 세대 문제를 파헤친 작품 ‘개인적인 체험’을 펴냈다. 고인은 스페인 언론인 사비 아옌과의 인터뷰에서 “작가로서 나는 아들의 삶을 통해 보는 세상을 묘사했다. 나한테는 히카리가 현실을 여과하는 렌즈였던 셈”이라고 말했다. ‘공생(共生)’이라는 작품 세계의 주요 주제를 던져준 것도 아들이었다. 히카리는 현재 유명 작곡가로 활동 중이다.


  스스로를 전전(戰前·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왕제 중심의 초국가주의와 군국주의적 사회 지배구조를 벗어난 ‘전후 민주주의자’라고 칭한 고인은 사회주의 계열 잡지 세카이(世界)에 히로시마를 취재한 경험과 소회를 담은 ‘히로시마 노트’를 연재하며 반핵(反核)과 반전을 주장했다.

  ‘전후 일본의 양심’ ‘살아 있는 지성’으로 불린 그는 일본 정부가 노벨상 수상자에게 관례적으로 수여하던 문화훈장을 “국가와 관련된 훈장”이라며 거부했다. 국가주의와 일왕제에 비판적이었고 평화헌법 수호 단체 ‘헌법 9조를 지키는 모임’의 중심 구성원이었다.

  • 그는 노벨문학상 시상식에서 “일본이 아시아인들에게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며 일본의 반성을 촉구했다. 또 1995년 동아일보가 후원한 ‘해방 50년과 패전 50년’ 심포지엄을 위해 한국을 찾은 고인은 김지하 시인과의 대담에서 “일본은 패전 후 신생(新生·새로운 삶)을 위해 한국인에게 사죄하고 과거 죄과를 청산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1. 이상훈, "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로 떠나다", 동아일보, 2023.3.14일자. A26면. 




시청자 게시판

2,123개(7/107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640 2018.04.12
2002 1920년 천마산대 소년통신원이었던 한암당 이유립 선생 사진 신상구 205 2023.04.02
2001 대전시의 미래 관광과 나비효과 양동기 사진 신상구 174 2023.03.31
2000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신상구 365 2023.03.31
1999 독도 명칭의 유래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억지 증거 사진 신상구 285 2023.03.28
1998 <특별기고>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업적과 순국 113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225 2023.03.28
1997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과 안 사진 신상구 226 2023.03.27
1996 ​거북등딱지부터 챗GPT까지, 점괘의 발달 사진 신상구 235 2023.03.18
1995 짧고 불꽃 같은 생을 살았던 조영래 천재 인권변호사 사진 신상구 415 2023.03.17
1994 무원칙과 편의의 원칙 사이에 광화문 월대의 비밀은 영원히 비밀로 남고. 사진 신상구 711 2023.03.16
>>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사진 신상구 292 2023.03.14
1992 ‘조선인요시찰인약명부’에 남은 충남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226 2023.03.13
1991 대전 문화자본 신상구 210 2023.03.13
1990 악비, 천고에 길이 남을 忠의 화신 사진 신상구 442 2023.03.12
1989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대전을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406 2023.03.10
1988 초하(初河) 유성종 박사의 모범적인 삶 사진 신상구 298 2023.03.10
1987 3·1 독립정신 사진 신상구 249 2023.03.10
1986 <특별기고> 3.8민주의거 6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과와 사진 신상구 372 2023.03.09
1985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사진 신상구 239 2023.03.08
1984 <특별기고> 3.1독립만세운동의 발생 배경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287 2023.03.03
1983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신상구 459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