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성씨는 ‘이李씨’이다. ‘이李씨’ 중 네 번째로 큰 성씨인 ‘광주 이李씨’는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2015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광주 이李씨’는 18만 1천여 명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다. ‘광주 이李씨’의 시조는 고려 말 광주廣州에서 국자감 생원을 지낸 이당李唐이다....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성씨는 ‘이李씨’이다. ‘이李씨’ 중 네 번째로 큰 성씨인 ‘광주 이李씨’는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2015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광주 이李씨’는 18만 1천여 명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다. ‘광주 이李씨’의 시조는 고려 말 광주廣州에서 국자감 생원을 지낸 이당李唐이다....
베트남 최초의 장수 왕조인 ‘리李 왕조’의 후손으로 전해지는 성씨는 ‘화산 이李씨’와 ‘정선 이李씨’가 있다. ‘화산 이李씨’의 시조는 베트남 ‘리李 왕조’의 태조인 이공온李公蘊이고, 중시조는 고려에 귀화한 베트남 ‘리李 왕조’의 왕자 이용상李龍祥이다. ‘리李 왕조’의 종묘인 덴도사원에서는 매년 ‘화산 이李씨’가 제주祭主...
우리나라 온溫씨는 ‘봉성 온溫씨’를 비롯하여 청주⦁경주⦁단양⦁온양 온씨 등이 있었으나
모두 온달溫達의 후손으로 지금은 ‘봉성 온溫씨’로 통합되어 있다. 봉성 온씨는 평강공주와 혼인하여 고구려 평원왕의 부마가 된 온달溫達 장군을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본관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이다. 그래서 ‘봉성鳳城 온씨’는 ‘금...
‘모 방方’ 자를 성으로 쓰는 ‘방方씨’는 2015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9만 4천여 명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다. 방方씨의 단본인 온양 방方씨는 지금의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 온양溫陽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당나라의 한림학사인 ‘방지方智’를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고려의 개국공신인 ‘방운方雲’을 중시조로 모시고 있다. ...
‘으뜸 원元’ 자를 성으로 쓰는 원元씨는 세 계통으로 나누어져 있고 시조도 각각 따로 모시고 있었지만 삼계 종파의 통합을 선포하고 삼계 종파 시조는 각각 중시조로 모시고 춘추시대 위衛나라 대부였던 ‘원훤元喧’을시조로 모시고 있다. 삼계 종파는 원경元鏡을 중시조로 하는 운곡계耘谷系, 원극유元克猷를 중시조로 하는 원성백계原性...
‘으뜸 원元’ 자를 성으로 쓰는 원元씨는 세 계통으로 나누어져 있고 시조도 각각 따로 모시고 있었지만 삼계 종파의 통합을 선포하고 삼계 종파 시조는 각각 중시조로 모시고 춘추시대 위衛나라 대부였던 ‘원훤元喧’을시조로 모시고 있다. 삼계 종파는 원경元鏡을 중시조로 하는 운곡계耘谷系, 원극유元克猷를 중시조로 하는 원성백계原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