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국 독립 김국의 혼 담긴 태극기, 보물된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8.13 15:20

 김구의 혼 담긴 태극기, 보물된다. 

김구 선생.

김구 선생.

관련기사

   김구(사진) 선생이 이렇게 친필 글씨를 써넣은 태극기가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12일 ‘김구 서명문 태극기’를 비롯해 대한제국 시대 고종의 외교 고문을 맡았던 오웬 니커슨 데니의 태극기와 1919년 제작된 ‘진관사 태극기’ 등 태극기 3점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모이원고’ ‘조선말 큰사전원고’에 이은 근현대유산 보물이다.

                       ‘진관사 태극기’ 일장기 위에 태극 그려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이던 김구 선생이 직접 글귀를 쓴 ‘김구 서명문 태극기’는 독립운동가 안창호 선생 후손이 1985년 ‘안창호 유품’으로 독립기념관에 기증하며 모습을 드러냈다. 김구 선생의 친필로 먹글씨 134자를 쓰고, 마지막에 날짜·서명과 함께 ‘김구’라고 적힌 사각 도장을 찍었다. 김구 선생은 당시 중국 충칭에서 활동하던 벨기에 신부 매우사(샤를 메우스)에게 ‘미국에 가서 우리 동포를 만나면 이 글을 보여 달라’며 전달했고, 메우스 신부는 미국으로 가 안창호 선생의 부인 이혜련 여사에게 이 태극기를 전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제작된 태극기 중 제작 시기가 정확하게 알려진 유일한 태극기인 데다 1942년 6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태극기 제작 규정을 통일하기 직전에 만들어져 태극기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현재 천안 독립기념관에 소장돼 있다.
고종의 외교 고문 데니가 소장했던 ‘데니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고종의 외교 고문 데니가 소장했던 ‘데니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오웬 니커슨 데니(1838~1900)가 남긴 ‘데니 태극기’는 가로 262㎝, 세로 182.5㎝의 대형 태극기로, 현재 남은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됐다. 바탕 천으로 쓴 광목에 붉은색과 푸른색의 태극 문양, 푸른색 4괘를 재봉틀로 박아 넣었다. 재봉틀을 쓴 점이 당시 서양의 국기 제작 방식과 비슷해 19세기 말 근대 문물이 들어오던 조선의 정세가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

데니

데니

   미국 외교관 데니는 중국 주재 영사로 있던 중 1886년 조선 정부의 외교 및 내무담당 고문으로 부임, 4년 동안 외교·법률·경제 분야 정책 수립을 도왔다. 1888년 ‘서구 국제법에 따르면 조선은 독립국이며, 청의 내정간섭은 부정하다’는 주장을 담은 책 『중국과 한국(China and Corea)』을 쓰기도 했다. 데니는 중국의 미움을 사 1891년 1월 한국을 떠나는데, 이때 ‘데니 태극기’를 미국으로 가져간다. 1900년 데니 사후 약 80년간 데니 가문에서 보관하다 1981년 그 후손이 한국에 기증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데니 태극기’는 기증 당시에도 부식 등 손상이 거의 없이 상태가 좋았다. 2008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됐고, 2018년 이후 매년 삼일절·광복절 등에 일반에게 공개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도 광복절을 맞아 13~23일 상설전시실 ‘대한제국실’에서 ‘데니 태극기’를 특별공개한다.

3·1운동이 있었던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3·1운동이 있었던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2009년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서 발견된 ‘진관사 태극기’는 3·1운동이 있었던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장기 위에 태극과 4괘를 먹으로 덧칠했다. 왼쪽 윗부분은 불에 타 손상됐고, 작게 뚫린 구멍들도 있어 만세운동 현장에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진관사 태극기’는 1919년 6월 6일부터 12월 25일까지 발행된 독립신문·조선독립신문 등 신문류를 태극기로 감싼 형태로 발견됐다.

   문화재청 박수희 연구관은 “불교계 독립운동을 총괄한 것으로 전해지는 진관사 승려 백초월, 혹은 주변인이 숨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찰에서 처음 발견된 일제 강점기 태극기로, 절이 독립운동의 근거지 역할을 한 사실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30일의 예고기간 동안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 태극기 3점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계획이다.

                                           <참고문헌>


시청자 게시판

2,116개(8/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757 2018.04.12
1975 92세에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상숙 씨 이야기 사진 신상구 255 2023.02.19
1974 조선 내각총라대신 김홍집 살해사건 사진 신상구 474 2023.02.19
1973 <특별기고> 연담 이운규 선생의 후천개벽사상과 남학의거운동 신상구 369 2023.02.19
1972 <특별기고> 2023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신상구 278 2023.02.19
1971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사진 신상구 479 2023.02.19
1970 <특별기고> 운초 계연수 선생의 생애와 업적<실존인믈&g 신상구 695 2022.09.15
1969 한국전통문화대 崔英成 교수, 목은 이색 문집서 ‘天符經’ 언급 발견 사진 신상구 827 2022.09.15
1968 세종시 원로서예가 송암 민복기(松巖 閔復基) 선생 사진 신상구 1022 2022.09.06
1967 가난했던 이중섭은 병문안 선물 살 돈 없어 그림 건넸죠 사진 신상구 784 2022.09.01
1966 공덕동 빌딩 숲에 숨어 있는 권력의 쓸쓸함 사진 신상구 697 2022.09.01
1965 백제 ‘은꽃 장식’에 담긴 성왕의 강국건설 의지 사진 신상구 414 2022.08.31
1964 中, 70년 유지 조선족 한글 간판 단속 사진 신상구 376 2022.08.30
1963 지진아 아인슈타인 깨운 3가지...나침판, 바이올린, 토론 사진 신상구 481 2022.08.24
1962 그림자 없는 평등 세상, 장욱진의 이상향 사진 신상구 283 2022.08.24
1961 거문도 사건 전말 사진 신상구 540 2022.08.19
1960 중부권메가시티와 충청문화르네상스 사진 신상구 330 2022.08.18
1959 무속(巫俗)의 허와 실 신상구 570 2022.08.17
1958 위대한 문학은 제도·권력·유행의 경계 밖에서 ‘눈물 닦아주는 손’ 신상구 328 2022.08.17
1957 고려인 최초 정착지에 세운 ‘추모의 벽’, 15人 독립영웅 우뚝 사진 신상구 513 2022.08.17
1956 <특별기고> 8.15광복 77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주요 과제 사진 신상구 352 2022.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