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세종시의 상징인 전월산과 임난수 장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08 02:27

                                                                         세종시의 상징인 전월산과 임난수 장군
 

▲ 임난수 장군은 날마다 전월산에 올라 멸망한 고려왕에 대한 간절한 마음으로 북쪽을 향해 절을 올렸고 전월산 정상에 있는 바위에 앉아 망국의 한을 달랬다. 사진은 상려암. 부안임씨 대종회 제공
▲ 임난수 장군은 날마다 전월산에 올라 멸망한 고려왕에 대한 간절한 마음으로 북쪽을 향해 절을 올렸고 전월산 정상에 있는 바위에 앉아 망국의 한을 달랬다. 사진은 독락정. 부안임씨 대종회 제공
   '중국 원나라가 망하고 明(명)나라가 들어섰지만 제주도는 여전히 원나라의 직할영지처럼 몽고인들이 주둔하여 대규모 말 사육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려의 통치가 이들 몽고인들에게는 먹히질 않았다. 역사는 이들 말 사육을 하는 몽고인들을 '목호'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들 몽고 목호들은 나름대로 제주도를 방어하기 위해 일본의 왜구들까지 용병으로 끌어 들여 병력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럴 때 明에서 제주도에 있는 말 3000 마리를 보내라는 요구가 떨어 졌고 고려는 화약을 받는 조건으로 이를 수락했다.

   그러나 제주도의 목호들은 이에 반발하여 주민 300명을 살해하는 등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고려는 난을 평정하기 위해 1374년 8월 최영 장군을 최고사령관으로, 임난수(林蘭秀)장군을 비장으로 하여 전라도 나주포에서 출정에 나섰다.

   군사 3만5600명에 병선 300척으로 큰 규모의 원정군이었다. 그러나 제주도 상륙부터 쉽지가 않았다. 그렇게 목호의 몽고인들 저항이 완강했다. 치열한 공방 끝에 고려군이 상륙에 성공했고 목호들은 제주도 서귀포 남쪽 범섬으로 후퇴 했다.

   범섬 역시 해안이 가파르고 해상에서는 은폐물이 없어 상륙작전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임난수 장군의 뛰어난 전략으로 적을 제압하고 추격했다.

   그 치열한 싸움 가운데 뛰어든 임난수 장군이 정신없이 칼을 휘두르는데 갑자기 숨어 있던 적이 뒤에서 나타나 임난수 장군을 칼로 내리쳤다. 순간 장군의 오른 팔이 떨어져 나갔다. 피가 쏟아져 내렸다. 장군은 부장에게 떨어진 팔을 주어 자신의 화살통에 집어넣게 한 다음 그대로 계속 싸웠다. 이를 본 고려 군사들은 크게 감동하여 함성을 지르며 적진을 완전히 초토화 시켰다. 그리고 자신의 팔을 자른 적을 잡아 투구를 벗겨 보니 몽고병이 아니라 일본 왜구임이 밝혀졌다. 많은 왜구들이 용병으로 제주도에 와 있었던 것이다.

   어쨌든 이로써 제주도는 완전히 몽고의 손아귀에서 벗어 날수 있었고 고려의 통치권이 행사 될 수 있었다.

   고려 우왕은 임난수 장군의 이와같은 전공에 크게 감동하여 종 4품의 봉선대부를 제수하고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자에게 주는 자금어대까지 하사 했다.

   팔 하나를 잃은 장수로서 명예롭게 예편을 하는 것인데 다시 문관으로 등용을 한 것이다. 그러니까 문·수를 다 겸한 것이 된다.

   문관으로서도 삼사우윤에 올라 국가 전곡의 출납회계를 관장하는 중책을 수행하였으며 국가의 제사와 조정의 의전을 주관하는 봉익대부 전의시사 까지 역임하는 등 많은 활약을 했다.

   그러나 고려가 망하고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 왕위에 오르자 임난수 장군의 운명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이성계는 그를 불러 새 왕조에 참여하기를 회유하며 벼슬을 제수하려 했으나 그는 한 하늘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이를 거절하고 두문동에 은거했다. '두문불출'이라는 말이 이곳 두문동에 고려말 충신들이 이성계에 반대하여 은거한 데서 비롯되는데 임난수 장군도 그렇게 했다.

   얼마 후 그는 고향인 전라도 부안으로 가기로 하고 두문동을 떠나 남으로 가다가 지금의 세종시 전월산 아래 터를 잡고 정착하였고 부안 林(임)씨의 시조가 되어 이 일대에 林씨의 집성촌을 이루며 번창했다.

   임난수 장군은 날마다 전월산에 올라 멸망한 고려왕에 대한 간절한 마음으로 북쪽을 향해 절을 올렸고 전월산 정상에 있는 바위에 앉아 망국의 한을 달랬다. 그래서 절을 올리던 봉우리를 부왕봉, 그 바위를 상려암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렇게 일편단심 고려에 충신으로 고고하게 살던 장군은 1407년 66세로 파란만장의 생을 마감했다.

   지금 세종시 금강변에 있는 독락정은 차남인 임목이 1437년 양양도호부사를 마치고 낙향하여 건립한 것인데 매년 부안 林씨 전서공파 대종회(회장 임헌옥) 주최로 '독락문화재'를 열어 장군의 뜨거웠던 충성심을 기리고 있다.

   그리고 전월산은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지정할 때 그 '배후 산'으로 중심이 되어 주었다. 세종시의 상징이 된 것이다.

                                                                                       <참고문헌>

    1. 변평섭, "두 임금 섬기지 않은 명장의 충심 오롯이 품은 곳", 충청투데이, 2020.3.6일자. 13면.



시청자 게시판

2,118개(31/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6549 2018.04.12
1517 3.1운동의 숨은 공로자 사무엘 오스틴 마펫 선교사 이야기 사진 신상구 1113 2021.03.03
1516 이화학당 친일파 교육자들과 친일파 우파 정치인들의 유관순 영웅 만들기 사 신상구 1380 2021.03.02
1515 부마항쟁의 역사적 교훈 사진 신상구 856 2021.03.02
1514 한글 수호는 독립운동 신상구 1289 2021.03.02
1513 세계 명문가의 자녀교육 신상구 841 2021.03.02
1512 봉오동전투의 잊혀진 영웅, 최운산 장군을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1259 2021.03.02
1511 문재인 대통령 3.1절 102주년 기념사 전문 사진 신상구 1308 2021.03.02
1510 민족문제연구소 천안지부, 조병옥 동상 철거 주장 사진 신상구 826 2021.02.28
1509 이탈리아의 명문가 메디치 가문 사진 신상구 1297 2021.02.26
1508 유관순 발굴 과정의 검토 신상구 1442 2021.02.25
1507 이순신과 유관순 띄우기 사진 신상구 840 2021.02.25
1506 유관순 열사와 이순신 장군을 영웅으로 만든 사람들 사진 신상구 950 2021.02.25
1505 항일독립운동, 친일청산, 남북 통일을 위해 헌신한 조문기 선생 신상구 1503 2021.02.25
1504 목숨과 재산을 던져 나라를 구한 항일독립투사들 사진 신상구 873 2021.02.24
1503 김홍신의 '新인간시장', 잔꾀로 민심 얻을 수 없다 사진 신상구 1863 2021.02.23
1502 정월대보름의 정의, 의미, 유래, 놀이, 음식 사진 신상구 2695 2021.02.23
1501 한국, 고령화속도 가장 빠른데 노인빈곤율은 이미 OECD 1위 신상구 1339 2021.02.23
1500 한국 와전 정성껏 수집했다 한국에 기부한 일본인 이우치 이사오 사진 신상구 1098 2021.02.23
1499 조선일보가 창간 100주년 기획 '말모이' 사전 편찬 사진 신상구 1127 2021.02.23
1498 울산 산업단지의 명암 사진 신상구 1694 202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