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0 12:34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공유하기뉴스듣기프린트 
“함평 신덕 1호분 왜인 아닌 지역수장 무덤 가능성 높아”
30년 미공개 발굴조사 결과 이달 말 발표
발굴 조사가 진행 중이던 전남 함평 ‘신덕 1호분’ 전경(왼쪽 사진). 위는 둥글고 아래는 각이 진 열쇠고리 모양은 전형적인 전방후원분 형태다. 이곳에서 출토된 금동관(오른쪽 사진)은 다각형의 구획과 꽃무늬가 조합된 양식 등으로 미뤄 볼 때 백제 공인이 제작한 것으로 분석됐다. 유리구슬, 쇠비늘갑옷 등과 더불어 무덤 주인이 지역 수장 신분임을 보여준다.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임나일본부설에 이용될 우려로 인해 30년간 공개되지 않은 삼국시대 ‘신덕 1호분’ 발굴조사 결과가 이달 말 발표된다. 동아일보가 미리 입수한 발굴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고분 출토 유물에서는 백제와 왜(倭)의 문화가 혼재된 양상이 확인됐다. 조사 결과를 분석한 한일 고고학자들은 20, 30대 남성으로 추정되는 이 무덤의 주인이 지역 수장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한반도에 진출한 왜인이 묻혔을 것으로 보는 임나일본부설의 시각과 배치되는 것이다.

   1991년 3월 도굴 흔적이 발견돼 첫 조사가 이뤄진 신덕 1호분은 일본의 고대 무덤에서 흔히 발견되는 열쇠구멍 모양의 전형적인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앞은 네모지고 뒤는 둥근 봉분을 가진 무덤)’이다. 신덕 1호분은 이런 봉분 모양 탓에 고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의 근거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하지만 조사 결과 부장 유물들에 백제와 왜 문화가 혼합돼 있어 이들과 교류한 영산강 일대 지배세력이 무덤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 무덤 주인은 20, 30대 남성

                                         신덕 1호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국립광주박물관이 일본 연구자들까지 참여시킨 신덕 1호분 발굴조사 보고서를 전격 발간키로 한 건 6세기 영산강 일대 지배세력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고고학 증거들이 최근 발견된 데 따른 것이다. 임나일본부설의 한계가 명확해졌다는 얘기다. 앞서 박물관은 이 무덤을 1991년부터 2000년까지 네 차례 조사했지만 당시에는 조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김낙중 전북대 교수(고고학)는 “6세기 전엽 영산강 유역의 현지 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 사실이 밝혀져 임나일본부설에 의해 왜곡 해석될 여지가 줄었다. 신덕 1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에 일본 학자들까지 참여시킨 건 국내 학계의 자신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말했다.


무덤 안에서 나온 ‘쇠비늘갑옷’. 가죽 끈으로 엮기 위해 뚫은 구멍이 나있다.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신덕 1호분에서는 무덤 주인의 높은 신분을 보여주는 금동관, 금동신발, 연리문 구슬, 중층 유리구슬, 큰칼, 비늘갑옷, 투구, 말띠꾸미개 등의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됐다. 무덤에서 출토된 치아 6점의 크기와 마모 정도를 분석한 결과 20대 후반~30대 중반의 남성이 묻힌 것으로 추정됐다.                                                                                                <참고문헌>                                                     1. 김상운, " 30년 만에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동아일보, 2021.8.10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116개(21/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756 2018.04.12
1715 친일파 연구의 선구자 임종국 선생의 연구방법과 역사관 신상구 373 2021.08.31
1714 운산 조평휘 화백, 제19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 신상구 395 2021.08.30
1713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자유로운 상상과 추리 사진 신상구 409 2021.08.29
1712 AI가 장편소설 직접 썼다 사진 신상구 391 2021.08.26
1711 총을 든 선비 박상진 사진 신상구 714 2021.08.25
1710 친일문학과 민족문학 사진 신상구 532 2021.08.25
1709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신상구 359 2021.08.25
1708 친일시인 미당 서정주 신상구 558 2021.08.25
1707 을유해방기념비, 원위치인 대전역 광장으로 옮겨야 한다 사진 신상구 404 2021.08.24
1706 이방인의 엘도라도에서 조선 광부는 독립만세를 외쳤다 사진 신상구 459 2021.08.18
1705 '호국'정체성 확립 후세에 위국헌신 정신 계승 신상구 379 2021.08.18
1704 밭에서 건진 300년이 완성한 천년왕국 신라 사진 신상구 551 2021.08.18
1703 <특별기고> 8.15광복 76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455 2021.08.18
1702 8.15 광복 76주년 김원웅 광복회장 기념사 전문 신상구 311 2021.08.15
1701 문재인 대통령의 8.15광복 76주년 경축사 전문 신상구 373 2021.08.15
1700 일제가 남긴 '잊어선 안될 상처' 사진 신상구 356 2021.08.15
1699 예산 숨은 독립유공자 발굴해 서훈 신상구 397 2021.08.14
1698 등록된 충청권 독립유공자 2021명 중 2021년 현재 생존자는 2명에 신상구 284 2021.08.14
1697 홍범도 장군 유해, 서거 78년만에 고국 품으로 사진 신상구 386 2021.08.14
1696 대전 곳곳에 청산 조차 잊혀져가는 토지 49곳 산재 신상구 405 2021.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