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심훈 선생, 시 영화 기사로 일제에 저항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3.02.27 02:58

▲ ①심훈의 사진. ②본지 1962년 7월 25일 자에 실린 충남 당진 부곡리의 ‘상록학원’ 창설 모습. 심훈의 소설 ‘상록수’가 나온 지 30여 년 만에 작품의 배경이었던 당진에서 ‘상록학원’이란 이름의 야학당이 만들어졌어요. ③본지 1929년 6월 13일 자에 당시 본지 기자였던 심훈이 게재한 자작시(自作詩) ‘야구’. 조선총독부의 검열 때문에 두 군데에 X자 표시가 돼 있어요. ④소설 ‘상록수’의 표지. ⑤‘상록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이었던 최용신. ⑥최용신이 경기 수원군 반월면 샘골에 만들었던 ‘샘골 강습소’의 낙성식(落成式·건축물의 완공을 축하하는 의식) 장면. /조선일보DB·한국민족문화대백과·안산시·연합뉴스

경기 안산시는 1930년대 농촌계몽운동의 선구자이자 여성 독립운동가인 최용신(1909~1935) 선생과 관련한 근현대 역사유물 자료를 공개 구매한다고 밝혔어요. 최용신은 심훈(1901~1936) 소설 '상록수'의 여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로 알려져 있죠. 안산시에 있는 행정구역인 '상록구'의 지명은 바로 심훈의 '상록수'에서 딴 것입니다. 심훈은 어떤 인물이었을까요?

"삼각산이 춤추고 한강물이 용솟음칠 그날"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며는/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기기 전에 와주기만 하량이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의 인경(통행금지를 알리거나 해제하기 위해 치던 종)을 머리로 드리받아 울리오리다.' 심훈이 1930년에 써서 1932년 문예지 '신생'에 발표한 시 '그날이 오면'의 일부예요.

시 어디에도 화자가 기다리는 날인 '그날'이 어떤 날인지 직접 밝히지는 않았지만 그걸 알아차리지 못할 독자는 없었습니다. 그것은 일제 치하 수많은 조선 사람이 그리던 조국 광복의 날이었어요. 당시 갓 서른을 넘은 청년이 이런 시를 발표했다는 것은 대단히 큰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었습니다. 심훈은 이 시를 포함해 100여 편의 시를 모아 출판하려 했으나 일제의 검열로 막혔고, 그가 죽고 광복이 된 뒤인 1949년 '그날이 오면'이란 제목의 시집이 출간됐습니다.

불과 35년의 짧은 생애 동안 심훈의 활약은 다방면에 걸쳐 있었습니다. 그는 시인이자 소설가였고, 신문기자였으며, 영화감독이자 배우이자 각본가였으며 영화평론가였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독립운동가였습니다. 어쩌면 일제 치하 지식인으로서 해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직업을 거쳤던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고강도 항일 작품들, 그리고 일제의 탄압

경기도 과천군 하북면 흑석리(현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서 태어난 심훈의 본명은 심대섭이었어요. 경성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 3학년이었던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뒤 검거돼 8개월 동안 수감 생활을 했습니다. 이때 어린 심훈은 "콩밥을 먹는다고 끼니 때마다 눈물겨워하지 마십시오"라며 오히려 모친을 위로하는 당찬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출옥한 뒤 중국 유학을 떠났다가 1923년 귀국해 연극·영화계에서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신극 연구 단체인 극문회를 만들었고 영화 '장한몽'에 배우로 출연했습니다. 영화 '먼동이 틀 때'의 각본을 쓰고 감독을 맡기도 했죠.

그것은 결코 목적 없는 활동이 아니었습니다. 심훈은 1927년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이 땅에서 나고 또 살아온 고로 우리 조선의 현실을 조금이라도 나타내어야 할 사명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식민지 예술인으로서의 사명을 뚜렷이 자각한 데서 나온 것이었습니다. 영화 '먼동이 틀 때'의 원래 제목은 '어둠에서 어둠으로'였지만, 총독부가 검열하며 시비를 걸었다고 합니다. "어둠이 뭐 어째? 이거 식민지 조선의 처지를 빗댄 거 아니냐!" 그래서 제목이 바뀌었다는 거예요.

동아일보 기자로도 일했던 심훈은 1928년부터 1931년까지 조선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기사와 작품을 통해 '조선의 현실을 나타내야 한다'는 다짐을 실천했습니다. 해방과 독립의 염원을 절절하게 표현한 시 '그날이 오면'을 쓴 1930년은 바로 심훈이 조선일보 기자로 일하던 시기였습니다. 그는 소설도 썼습니다. 조선일보에 1931년 연재한 '동방의 애인'과 1932년 연재한 '불사조'였죠. 그러나 두 작품 모두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되는 일을 겪었습니다.

심훈의 작품들은 매우 강한 항일 의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1927년의 시 '박군의 얼굴'은 감옥에서 병을 얻은 뒤 풀려난 친구의 초췌한 몰골을 보고 충격을 받아 쓴 것인데, 시의 마지막은 "눈은 눈을 빼어서 (갚고)/ 이는 이를 뽑아서 (갚아)주마!/ 너와 같이 모든 (한)을 잊을 때까지―/ 우리들의 심장의 (고동)이 (끊칠 때)까지"였습니다. 그러나 발표될 당시 일제의 검열로 인해 괄호 안의 말들은 '×'로 가려져 지면에 나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제도 약한 족속이라고 부를 터이냐!"

심훈이 작품을 통해 항일 정신만을 표출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소파 방정환의 어린이 운동에 동참하는가 하면, 조선 청년들이 조선의 현실에 눈을 떠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1930년 1월에 쓴 칼럼 '새해의 선언'에선 "동무여! 진흙구렁에 틀어박힌 머리를 쳐들고 우리의 현실을 응시하자" "이 땅의 흙냄새를 맡고 자란 젊은이는 조선 사람이 마땅히 걸어야 할 그 길을 줄기차게 걸어만 가면 그만이다"고 주장했습니다.

신문사를 그만두고 충남 당진으로 내려가 집필한 심훈의 대표작이 장편소설 '상록수'입니다. 농촌계몽운동을 소재로 한 이 소설은 그가 조선일보 재직 시절 신문사 주도로 전국적으로 펼쳐졌던 문자보급운동의 경험이 깊이 들어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그는 조선이 문맹과 가난에서 벗어나 자립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했습니다.

그는 '상록수'를 영화로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고, 1936년 갑작스러운 장티푸스로 요절(젊은 나이에 죽음)하고 말았습니다. 그의 장례식에서 낭송된 시는 얼마 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1위와 3위를 한 손기정·남승룡 선수를 위해 쓴 '오오, 조선의 남아여!'였습니다. 그 마지막 구절은 이것이었습니다. "인제도 인제도 너희들은 우리를/ 약한 족속이라고 부를 터이냐!"

['상록수' 여주인공의 모델 최용신]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여자 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인 최용신은 함경남도 덕원 출신 농촌운동가였습니다. 협성여자신학교(현 감리교신학대) 재학 중 농촌계몽운동에 투신해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샘골(현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농촌교육을 시작했죠. 문맹 퇴치를 위한 한글 강습뿐 아니라 산술·보건, 기술, 애국심을 가르치는 계몽 운동을 적극적으로 벌였습니다.

1928년 4월 1일 조선일보에 기고한 글 '교문에서 농촌에'에서 최용신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중등교육을 받은 우리가 화려한 도시 생활만 동경하고 안일의 생활만 꿈꾸어야 옳을 것인가? 농촌으로 돌아가 문맹 퇴치에 노력해야 옳을 것인가? 거듭 말하나니 우리는 손을 서로 잡고 농촌으로 달려가자." 최용신은 안타깝게도 병을 얻어 2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1964년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그를 기념하는 '용신봉사상'을 제정해 해마다 시상식을 열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1. 유석재/안영, "詩로, 영화로, 기사로… 일제에 저항했어요", 조선일보, 2023.2.23일자. A27면.



시청자 게시판

2,116개(2/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494 2018.04.12
2095 소설가 김주영 <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신상구 57 2024.04.02
2094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사진 신상구 68 2024.03.28
2093 물리학을 전공한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사진 신상구 77 2024.03.22
2092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9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사진 신상구 72 2024.03.22
2091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신상구 85 2024.03.19
2090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신상구 39 2024.03.19
2089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신상구 41 2024.03.18
2088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68 2024.03.17
2087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신상구 65 2024.03.17
2086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신상구 41 2024.03.15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72 2024.03.14
2084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31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81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40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33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51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38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48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33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42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