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다큐멘터리 ‘천년의 빛 - 유네스코 유산 연등회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5.10 03:40


                                                         다큐멘터리 ‘천년의 빛 - 유네스코 유산 연등회

[
   2020년 12월 16일, 대한민국 연등회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로써 연등회는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고, 우리나라의 21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되었다. 신라 시대 이후 한국의 전통 세시풍속으로서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면면히 이어져 온 연등회의 역사와 의미를 깊이 있게 조명해 본다.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공동체의 축제

   2014년 세월호 사고 당시, 연등회보존위원회는 기존의 행사 대신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렬을 진행했다. 이처럼 연등회는 단순히 반복되는 행사가 아니라 그때그때 창의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염원을 드러낼 수 있는 사회적 기제이다. 박상미 교수(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심사기구 의장,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가 연등회의 유네스코 유산 등재 이유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연등회의 기원과 역사

   연등(燃燈)은 ‘등에 불을 밝히다’는 의미이다. 불교에서는 연등을 마음에 지혜를 밝히는 과정으로 본다. 『현우경』의 빈녀난타품에 나오는 ‘빈자일등(貧者一燈)’ 설화가 등 공양의 기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경문왕이 866년에 황룡사에서 간등(看燈)을 하였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나온다.

   억불정책을 펼쳤던 조선 시대에도 연등회는 세시풍속으로 살아남았다. 사월 초파일은 한편으로 어린이의 날이기도 했다. 아이들은 어머니의 정성이 담긴 팔일장을 입고, 호기(呼旗) 놀이를 하며 놀았다. 남녀노소, 신분의 귀천과 관계없이 모두가 함께 즐겼던 ‘종가관등(鐘街觀燈)’의 풍경을 3D 컴퓨터그래픽으로 생생하게 재현해냈다.
                                                    현대에 더욱 찬란한 한지등의 빛

   산업화를 거치면서 늘어난 비닐등을 대체하기 위해 사라진 전통등을 연구하고 복원해 온 젊은 작가들이 있었다. 백창호 작가(한국전통등연구원장)는 1996년 이후 약 25년 동안 수박등(풍요와 다산), 거북등(무병장수), 잉어등(입신출세), 집등(집안의 평안)을 포함해 아름다운 형태의 전통등을 재현해 왔다. 전영일 작가는 작업 재료로서 한지가 가진 가능성에 주목하고, 높은 예술적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한지등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세계인의 축제, 연등회

   연등회 서포터즈로 활동하는 외국인들 [사진출처=KBS]
   한국의 대표적인 봄철 축제가 된 연등회. 연등회 서포터즈로 활동하는 외국인들은 단지 불교 행사가 아니라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으로서 연등회를 즐기고 있다. 국적, 인종, 종교, 장애의 경계를 넘어 전 세계인의 축제로 발돋움한 연등회의 현장을 취재했다. KBS 특집 다큐 ‘천년의 빛 - 유네스코 유산 연등회’의 방송시간은 5월 3일 밤 10시 본 방송과 5월 8일(일) 밤 11시 20분에 재방송한다.
                                                                      <참고문헌>
   1. 이미숙, "다큐멘터리 ‘천년의 빛 - 유네스코 유산 연등회",  한국강사신문, 2022..5..3일자.




시청자 게시판

2,116개(12/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750 2018.04.12
1895 30년간 천착했던 모네의 수련, 용산에 피다 사진 신상구 384 2022.06.01
1894 부여 ‘신동엽문학관’ 문학 성지로 자리매김 신상구 363 2022.06.01
1893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 줍시다 [1] 신상구 321 2022.05.28
1892 과거는 유교국가 떠받치는 인재풀, 조선판 능력주의 사진 신상구 325 2022.05.28
1891 ‘청주대 출신’ 성악가 연광철, 대통령 취임식서 ‘애국가’ 사진 신상구 457 2022.05.27
1890 인간적이라는 것 사진 신상구 333 2022.05.27
1889 1세대 건축가 김중업 탄생 100주년 사진 신상구 503 2022.05.27
1888 중국에도 이름 떨친 한석봉(한호) 이야기 사진 신상구 416 2022.05.26
1887 <특별기고>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100주기 추도 사진 신상구 674 2022.05.26
1886 선조가 명나라 망명을 포기한 이유 사진 신상구 720 2022.05.25
1885 고종의 무능과 실정으로 대한제국의 잃어버린 10년 사진 신상구 386 2022.05.24
1884 청석학원 설립자 김원근·김영근 형제 삶 재조명 사진 신상구 524 2022.05.24
1883 초(超)인플레이션 사진 신상구 360 2022.05.24
1882 죽음에 대한 다양한 생각 사진 신상구 506 2022.05.23
1881 최영환 한국추사연묵회 이사장 신상구 691 2022.05.23
1880 한국인이 노벨과학상을 수상하려면 사진 신상구 249 2022.05.22
1879 장애를 극복한 3명의 위인들 이야기 사진 신상구 925 2022.05.22
1878 순종, 바다 건너 일본에서 천황을 만났다 ​ 사진 신상구 383 2022.05.21
1877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제4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523 2022.05.21
1876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전야제, 광주시민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 신상구 309 202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