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9.21 00:45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임종국(林鍾國, 1929.10.26-1989.11.12) 선생이 생전에 펴낸 친일파 관련 수많은 저서 중에서 최고봉은『일제침략과 친일파』(청사, 1982)이다.

 

                                                  

 

   그는 일제침략을 고종 13년인 1876년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부터 처서 ‘36년간’이 ‘70년’으로 보고 침략의 골자로 사상 침략, 자원 침략, 대륙 침략, 종교 침략, 문화 침략, 경제 침략, 교육 침략 기타 등의 8개 분야로 구분했다.

   그런데 이 책은 일제 침략의 8개 분야 중에서 앞의 3개 분야의 일제 침략만 다루고 있다. 실제로 제1편에서는 사상 침략과 친일파, 제2편에서는 자원 침략과 친일파, 제3편에서는 대륙 침략과 친일파를 다뤘다.

   말년에 그는 이 8개 분야를『친일파총서』로 엮어낼 계획이었지만 아쉽게도 1989년 그의 타계로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다.

   그는『일제침략과 친일파』의 책 머리에서 그간 친일파 연구가 우리 사회에서 공백으로 남아온 데 대한 그의 견해를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해 설명했다.


   첫째로 오욕의 역사여서 건드리고 싶지 않다는 ‘은폐론’

   둘째로 당사자나 유족의 체면을 위해 덮어 두었으면 하는 ‘인정론’

   셋째로 친일을 막연하게 스캔들 정도로 생각하면서 비방거리로 삼으려는 대중적 경향 등을 꼽았다.

   어찌 보면 일반론적인 얘기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정곡을 찌른 분석으로 판단된다. 과거, 적어도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 대부분이 이런 입장이었던 게 사실이다. 역사 연구가 기본인 역사학계는 물론 관련을 맺고 있는 정치학·사회학계도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언론계조차도 입을 다물었던 상황이었다. 모두 하나같이 죽으라고 독립운동사만 파고들었을 뿐이다.

   당초 그는 음악과 문학을 좋아했으나 음악과 문학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해서 역사연구, 즉 친일배족사 연구에 일생을 바쳤다.

   그가 친일 문제에 빠져들고 친일 문학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다른 분야 자료가 자꾸 나오자 친일 문제 전반 8개 분야, 나아가서 정신대, 생활사 분야까지도 연구 대상을 확대해 나가 전체 10개 분야로 넓혀나갔다. 그리하여 임종국 선생은 친일파 연구의 개척자,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1. 정운현,『임종국평전』, 시대의 창, 2006.11.24. pp.400-405.   

시청자 게시판

2,116개(10/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500 2018.04.12
1935 <특별기고> 제74주년 제헌절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311 2022.07.21
1934 신 기술패권, 자원안보 시대에 총력 대응해야 사진 신상구 213 2022.07.20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67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84 2022.07.18
1931 김진표 국회의장, '제74주년 제헌절' 경축사 전문 신상구 303 2022.07.18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79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56 2022.07.16
1928 신선이 노는 복되고 신성한 땅, 경주 낭산 사진 신상구 305 2022.07.15
1927 대전은 스토리의 보고 신상구 280 2022.07.14
1926 가짜 뉴스를 만들어서라도 가지고 싶었던 권력 사진 신상구 299 2022.07.13
1925 대전의 역사 이야기와 도시 정체성 사진 신상구 253 2022.07.13
1924 윤동주·장인환 등 독립유공자 156명 호적 생긴다 신상구 285 2022.07.12
1923 中도 원조 주장 못 펴는 '고려 인삼'의 원천 기술 사진 신상구 288 2022.07.10
1922 사또를 고소하는 자는 곤장 100대에 처한다 사진 신상구 329 2022.07.09
1921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사진 신상구 477 2022.07.09
1920 국학박사 신상구,『충남연구』통권9호에 학술논문「아산지역 상여연구」게재 사진 신상구 349 2022.07.09
1919 천부경은 우리 얼을 담은 최고의 경전 신상구 638 2022.07.02
1918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98 2022.07.01
1917 한반도 비파형동검 분포 사진 신상구 525 2022.07.01
1916 백제의 ‘익산 천도론’ 비밀의 열쇠 수부 사진 신상구 329 202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