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틴의 미술은 고대 로마가 둘로 분열된 후 점차 쇠퇴되고 있던 서(西)로마 중심의 라틴 미술에 대해서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급속한 발달을 보았다. 콘스탄티누스 대제(大帝)는 기독교 용인령을 공포하여(그 후 얼마 안 있어 밀라노 칙령에 의해 기독교는 공인되었다) 비잔틴의 미술은 그 출발점에 있어서 이미 궁정(宮廷)의 지...
■바로크, 로코코 미술
14-16 세기의 르네상스 미술 이후 17세기와 18세기 는 각각 바로크와 로코코의 시대였다. 르네상스 미술이 이성적인 측면이 강했다면 바로크와 로코코는 감성에 호소하는 예술 사조였다.
다만 바로크는 무겁고 어두운 반면 , 로코코는 밝고 가볍다 는 뜻이다. 우선 바로크는 포르투칼어로 "...
바로크란 포르투갈어의 barroco(비뚤어진 진주)라는 말에서 유래했는데 1600~1750년 사이의 유럽 미술양식을 말한다. 유럽의 절대군주의 궁정을 중심으로 발전했던 바로크 미술은 16세기 르네상스 미술의 잘 갖추어진 양식과 대조를 이룬다.
즉 바로크 미술은 엄격한 구성이나 형식보다는 자유롭고 대담하게 인간의 감...
비잔틴(Byzantine)은 현재 터키의 이스탄불의 옛 이름이다. 비잔틴 미술이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수도를 비잔티움(콘스탄티노플)으로 옮긴 기원후 330 년경부터 투르크족에게 멸망하는 1453년까지 지속되었던 지중해 동부지방에서 발달한 그리스도교 미술을 총칭하는 말이다. 비잔틴 혹은 비잔티움이라는 용어는 콘스탄티노플의 ...
그리스 미술을 계승하여 실용적인 건축물과 사실적인 표현의 초상조각등을 남겼고 그들의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미술을 국제적으로 전파하기에 이르렀다.
로마의 예술은 대부분 그리스 예술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강력한 정치 권력 아래 그리스의 예술품과 예술가들이 로마로 유입된 것이다. 기원전 3∼2세기에 이르는 전쟁 시...
고대 그리스에서 축제의 기원은 정확하게 이야기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 종교 제의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오늘날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다양한 축제들의 궁극적인 목표와 방향을 반성적으로 성찰해 보기위해 고대 그리스 종교축제의 기원과 목적 및 기능 등을 검토하는데 목표가 있다. 우선 그리스 종교 축제가 가진 주요 요...
고대 그리스 종교의 주류는 다신교였지만 스토아 철학의 철학자들과 플라톤 철학의 몇몇 유파의 종교적 · 철학적 표현에는 초월적인 단일신을 상정한 것이 보인다. 고대 그리스의 서로 다른 도시들이 동일한 신을 숭배하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동일한 신을 숭배하면서도 각 도시는 그 신에 대해 자신만의 호칭 또는 별칭을 부여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