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금행일기와 휵양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11.26 05:00

                                   금행일기와 휵양가                         

                                           1. 정의
              1845년(헌종 11)은진송씨(恩津宋氏)가 지은 규방가사(집)

                             2. 내용

1845년(헌종 11) 은진송씨(恩津宋氏)가 지은 규방가사(집). 1권 1책. 한글필사본. 총 72면. <금ᄒᆡᆼ일긔>와 <휵양가> 2편의 내방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금ᄒᆡᆼ일긔>는 763구, <휵양가>는 137구로 모두 3·4조, 4·4조의 정연한 음수율을 지니고 있으며, 문장수사가 다양하여 대조법·과장법·비유법을 효율적으로 구사함으로써, 기·승·전·결의 서사효과를 드러냈다.

이 사본은 저자의 질부 연일정씨(延日鄭氏)가 노년기 경자년(1900)에 딸과 며느리들을 데리고 필사한 것인데, 그녀의 손자 권영덕(權寧悳)이 이어 받은 것을 사재동(史在東)이 입수하였다.

저자 송씨 부인은 송규렴(宋奎濂)의 고손인 목사 기정(基鼎)의 딸로 1803년(순조 3) 충청도 회덕에서 태어나, 숙덕(淑德)을 갖추고, 문장에 재주가 있었으며, 모든 일에 출중하였다.

권근(權近)의 후손으로 충청도 연산 반곡에 사는 형규(亨圭)에게 시집가니, 헌종대의 공주판관 권영규(權永圭)의 계수요 필사자 연일정씨의 시숙모가 된다. 그녀는 아이를 낳지 못하여 조카를 양자로 들이고 고적한 규중생활을 하면서 침선과 독서, 그리고 작문에도 힘써 그 재능을 발휘하였다.

송씨부인은 시숙 권영규가 공주판관으로 있을 때, 시어머니를 직접 가서 뵙고 손윗동서의 생일을 축하하려고 금아(錦衙)를 방문하였다. 그 뒤에, 달포간의 일정과 가문의 영광, 그간의 정회를 적어서 후손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이 일기를 지었다. 덧붙여 송씨 부인은 시종매 이교관댁의 아들을 대상으로 <휵양가>를 짓기도 하였다.

이 작품은 19세기 중반 일반가사의 말류(末流)를 타고 내방가사로 제작된 것이 주목된다. 그 중 이 일기는 작자가 1845년 3월 초순에 논산 반곡을 출발하여 공주감영에 도달한 뒤, 그곳에서 4월 초순까지 약 한달간 생활하고 돌아오던 과정을 회상, 기술한 전형적인 가사이다.

그 내용을 단계별로 요약해보면, 친가·시가의 애환과 함께 시숙이 공주판관이 되어 임지에 이른 것을 송축하고, 동서의 초청을 받아 발행을 준비하는 심정을 서술하였다.

이어서 반곡에서 금아까지의 노정에 따라 가는 곳마다의 자연 경관과 그때 그때의 심회를 적고, 관아에 도착해서는 환영받고 인사하는 광경을 기술하였다. 그 뒤, 관사 내외의 생활습속과 각종 행사에 대해 듣고 본 일과 그에 대한 느낌을 적고, 동서의 생일잔치와 금강선유의 장관에 따른 여러 연회와 풍류의 정경을 묘사하고, 그곳을 떠나 귀가하는 과정과 이제까지의 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휵양가>에서는 그 아자(兒子)의 가계환경, 출생과정, 용 모재기(容貌才氣), 성장전망 등에 관하여 흥미롭고 희망차게 노래하였다.

이 작품은 노래가 담고 있는 폭넓은 내용으로 보아, 사친가·한별가·선유가·기행가 등의 종합적 면모를 갖춘 전형적인 내방가사이다. 이 <금행일기>는 충남지역(기호지방)에서 자생한 내방가사로서 19세기 중반에 양반가사의 전통을 이어받아 후대 작품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시가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조선 말기 관아의 풍물과 여행풍속·관행 등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역사적 작품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내방가사가 서울·기호 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분포되어 있음을 실증하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1. 노태조, 『금행일기』, 창학사, 1986.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87181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136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177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148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134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86 2024.11.27
>>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105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84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82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81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84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98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96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85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96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102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93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110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99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122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101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