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11.15 03:38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고리 한강문학

◆한강, 노벨 문학상…‘역사적 트라우마’ ‘삶의 연약함’ 다룬 역대 수상 작가의 책들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하는 확실한 ‘실선’이 그어졌다© 경향신문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을 찾은 시민이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지난달 10일 스웨덴 한림원이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국 작가 한강을 호명한 지 한 달여 지났다. 실시간 발표를 지켜본 기억이 새로운데, 사실 중국과 러시아의 여성 작가 찬쉐와 울리츠카야가 유력한 수상자 후보로 거명되고 있었고 나의 예측도 비슷했다. 첫 호명에 어리둥절해하다 ‘한강’이란 이름이 재차 불리고 나서야 비로소 ‘아! 한강’이라고 되뇔 수 있었다. 그리고 아주 새로운 현실, 새로운 시작과 마주하고 있음을 직감했다. 노벨 문학상의 상징적 효과에 기대어 말하자면, 한국문학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고 해도 무방하다!


한강 작가의 수상이 갖는 여러 가지 의미와 의의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가 가능하겠지만 개인적인 소회도 더 얹고 싶다. 세계문학 고전들에 대해 강의하고 글을 써온 처지에서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은 계속 고심해온 주제였다.

한국 현대문학을 세계문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화두로 삼기도 했다. 난점은 정확한 척도가 주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었다.

한국문학의 수준과 성취를 측정할 만한 기준이 없었기에(언어가 달라서 서로 소통하지 못하는 상황과 비슷하다)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의 연결선을 가상의 점선으로 대신해야 했다. 한국문학의 성취에 대한 자부심은 다른 한편으론 세계문학의 공간에서는 별다른 존재감을 갖지 못한다는 콤플렉스에 침식당하기 일쑤였다. 이번 한강 작가의 수상은 우리의 오랜 콤플렉스와 함께 이러한 난점을 일소해주었다.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하는 확실한 실선을 그려줌으로써 말이다.

스웨덴 한림원의 표현에 따르면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한 시적 산문”이 한강 문학의 요체이다. 스웨덴어로 번역된 한강의 작품은 현재까지 네 편(〈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흰〉 〈작별하지 않는다〉)이지만 한강 문학의 핵심과 의의를 정확히 짚고 있다고 생각된다(물론 심사위원들은 영어나 불어, 독어 등으로 번역된 한강의 작품들까지도 염두에 두었다). 언어와 국적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전 세계 작가들을 대상으로 시상하면서 스웨덴 한림원은 매번 문학의 존재 근거와 명분, 그리고 의의도 함께 제시해왔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한강 문학은 한국문학의 성취이면서 현 단계 세계문학의 존재론이기도 하다. 문학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가란 질문에 답하는 작품들인 것이다.

‘시적 산문’이라는 형식적 특징을 따로 제쳐놓는 게 가능하다면 한강 문학은 ‘역사적 트라우마’와 ‘인간 삶의 연약함’을 다룬다. 이 두 요소는 물론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 연약한 존재로서 인간은 너무도 쉽게 상처받고 훼손당한다. 하지만 그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그 트라우마에 맞서며 버텨내는 존재가 또한 인간이다. 한강은 그러한 인간적 양상을 여러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집요하게 다뤄왔다. 그렇게 하여 이뤄낸 성취는 한강 문학의 고유한 개별성이기도 하지만 세계문학의 맥락에서 보면 면면한 계보를 잇는 것이기도 하다. 상처(트라우마)가 문학 창작의 주요 동기가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상한 일도 아니다.

이는 역대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들의 사례에서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헤르만 헤세 ‘유리알 유희’

20세기의 역사를 ‘폭력의 세기’로 부를 만큼 20세기의 경험은 전쟁과 폭력, 학살 등으로 얼룩져 있다. 비약적인 경제 성장과 번영의 이면이다.

20세기 문학은 자연스레 그러한 경험의 실상을 묘사하고 의미를 반추하는 책무를 갖는다. 2차 세계대전을 분기점으로 할 때, 전후 첫 번째 노벨상 수상 작가(1946년 수상)인 헤르만 헤세의 〈유리알 유희〉(1943)가 좋은 사례다. 1930년대 초반부터 집필하기 시작하여 10여년의 노고 끝에 완성한 대작 소설에서 헤세는 고도의 정신주의를 견지하면서 미래의 유토피아적 공동체상을 제시한다. 그가 겨냥한 것은 당대의 타락한 현실로 헤세는 소설에서 ‘잡문시대’라고 부르며 격하한다. 헤세식 정신주의가 도드라지는 작품이지만 한편으로 동시대 역사는 추상적으로만 다뤄진다.

토마스 만 ‘파우스트 박사’

헤세(국적을 스위스로 바꾸지만)와 함께 독일문학의 쌍벽을 이루던 작가 토마스 만(1929년 노벨상 수상)도 후기 대작 〈파우스트 박사〉(1947)를 통해 20세기 초반부터 나치의 집권으로 이어지는 독일 현대사를 소설적 숙고의 대상으로 삼았다. 〈파우스트 박사〉는 〈유리알 유희〉와 마찬가지로 예술가 소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주인공인 음악가 아드리안 레버퀸의 전기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도 ‘유리알 유희’의 명인 요제프 크네히트의 전기로 쓰인 〈유리알 유희〉와 공통적이다.

두 작가 모두 19세기 후반 시민계급 출생으로 20세기 양차 대전까지 겪은 세대로서의 현실 인식과 시대 비판을 예술가 소설을 수단으로 삼아 담아내고자 했다. 이러한 작업은 그다음 세대를 대표하는 독일 작가 귄터 그라스(1999년 노벨상 수상)에게 계승되면서 변용된다.

문학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가?…질문에 답하는 작품들

근대와 전근대·자본과 노동 ‘계급의 충돌’…국가에 의한 폭력

제주 4·3 사건, 홀로코스트 등 역사상 유사한 여러 사건들 병치

귄터 그라스 ‘양철북’

그라스는 대표작 〈양철북〉(1959)을 통해 2차 대전 전후 시기 독일 소자본가 계급이 어떻게 전락해갔는가를 묘파한다. 하지만 앞세대 작가로서 헤세와 토마스 만이 취했던 예술가 소설의 형식이 그라스에게선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시민계급과 소시민계급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양철북〉의 주인공 오스카 마체라트는 네 살 이후 성장을 멈춘 난쟁이로 소리를 지르면 유리창을 깨뜨릴 수 있는 신비한 능력의 소유자다. 소설은 오스카가 살인 누명을 쓰고 정신병원에 수감돼 있는 동안 쓰게 되는 자서전 형식을 취한다. 그라스 소설에서 당대적 현실에 대응하는 지성과 예술적 영감은 현저하게 약화되는 대신, 추하고 그로테스크한 현실묘사와 역겨운 현실에 대한 불쾌한 정념은 강화된다.

소설적 서사가 불가해한 현실에 더 밀착할 때 빚어지는 결과로 해석된다.

가르시아 마르케스 ‘백년의 고독’

라틴아메리카 붐 소설의 대표 작가로 1982년 노벨상을 수상한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대표작 〈백년의 고독〉(1967) 역시 새로운 문학적 상상력의 이정표가 된 작품이다. 지리상 발견과 함께 시작된 유럽과의 조우 이후에 라틴아메리카 대륙이 겪어온 역사적 경험과 비극이 한 가문의 7대에 걸친 가족사를 줄거리로 하여 펼쳐진다. 소위 ‘마술적 리얼리즘’으로 일컬어지는 새로운 서사 형식을 통해 마르케스는 믿기지 않는, 비현실적인 현실을 문학이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한 예시를 제공한다.

가령 작품에서 바나나농장 노동자 학살사건(1928년의 실제 사건이 모델)은 3000명이 희생되었음에도 공식적으로는 부정된다. 공식 역사가 역사적 진실을 부인하고 부정할 때 문학은 역사의 편에서 억압된 진실의 수호자이자 전달자가 될 수밖에 없다. 비록 마르케스는 이 소설이 한 집안의 반복적인 근친상간으로 끝내 저주대로 돼지 꼬리 달린 아이가 태어나는 이야기일 뿐이라고 의미를 축소했지만.

모옌 ‘붉은 수수밭’

중국 작가 최초로 2012년 노벨상을 수상한 모옌도 세계문학의 관점에서는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계보를 잇는 작가다(스웨덴 한림원은 마술적 리얼리즘 대신 ‘마환적’ 혹은 ‘환영적’ 리얼리즘이란 표현을 썼다). 모옌은 다수의 작품을 통해 중국의 전통 서사와 서양 현대소설의 융합을 시도해왔는데 초기 대표작 〈붉은 수수밭〉(1986)은 중국 산둥성의 한 지방을 배경으로 하여 일제에 맞서는 민중의 저항을 화려하고 박력 있게 그려냈다. 장편소설에 대한 기본 규정이 ‘근대 부르주아 계급의 서사시’(루카치)라는 점을 고려하면, 마르케스-모옌은 새로운 소설 종을 발명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바흐친 같은 이론가라면 중세 라블레 소설의 계보라고 지적할 것이다).

지역을 막론하고 근대로의 전환기는 근대와 전근대라는 두 가지 세계의 충돌로 특징지어진다. 유럽에서는 그 충돌이 ‘도시와 시골’ 같은 지역 간의 갈등과 차이로 다뤄졌다면(산업화된 북부 도시와 남부 시골을 대비시킨 영국 작가 엘리자베스 개스켈의 〈북과 남〉(1855) 같은 소설), 유럽 바깥에서는 유럽이라는 식민화의 힘(제국주의)과 이에 맞서는 전통적 공동체의 구도로 전개되었다. 동아시아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서양의 무력(미국의 군함)에 놀란 일본이 먼저 근대국가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이어서 구미 열강을 흉내 내어 주변 국가들을 침탈했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에 대한 경험의 공유는 자연스레 문학적 형상화에도 반영된다. 모옌 세대 중국문학의 성취를 마르케스를 비롯한 비서구 지역 문학과 비교해보도록 하는 근거이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20세기의 혹독한 역사 경험, 혹은 트라우마에 맞서는 민중의 형상은 2015년 노벨상 수상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목소리 소설’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1985)를 필두로 하여 〈세컨드핸드 타임〉(2013, 한국어 개정판 제목은 ‘붉은 인간의 최후’)에 이르기까지, 알렉시예비치는 비록 구술 기록과 동일시할 수 없다 하더라도 실제 경험자들의 육성을 고스란히 들려주고자 했다.

전쟁의 참상과 고통, 체르노빌의 희생자와 그 가족들의 목소리, 20세기 소비에트 사회주의 체제를 살아낸 이야기가 생생한 다큐 영상처럼 전달된다. 알렉시예비치가 ‘목소리 소설’이라는 자기만의 형식을 고안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기존의 소설 서사가 20세기의 새로운 경험을 담기에는 부족해 보였기 때문이다. 알렉시예비치는 “새 술은 새 부대에”라는 말이 현대의 작가들에게도 핵심 경구라는 것을 입증하는 사례다.

역사적 트라우마를 다룬 한강의 작품은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이다. 거기에 〈흰〉 같은 작품을 간주곡으로 끼워 넣을 수 있겠다. 주제로 보면 국가 폭력과 학살을 다룬 작품들이다. 1980년 광주민중항쟁과 제주 4·3 사건을 한국 현대사의 특수하고 예외적인 사건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동시에 역사상 유사한 여러 사건들과 병치해놓고 보편성을 추출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유사한 사례로 비교할 수 있는 것이 20세기 대표적 악몽으로서 유대인 집단학살(홀로코스트)이다. 나치 독일에 의해 엄청난 규모로 자행된 이 끔찍한 학살극을 문학은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

임레 케르테스 ‘운명’

아우슈비츠를 포함한 나치 수용소 생존자들의 증언부터 그다음 세대(포스트 메모리 세대)의 추적담까지 홀로코스트 문학도 방대한 목록으로 채워져 있는데 2002년 스웨덴 한림원은 그 가운데서 헝가리의 유대계 작가 임레 케르테스를 호명했다. 15살의 나이에 아우슈비츠와 부헨발트 수용소에서 생활하다 기적적으로 생환한 체험을 자전소설 〈운명〉(1975, 원제는 ‘운명 없음’)에 담아냈고 이후 세 편을 더 추가했다. 트라우마적 체험의 기록이라는 면에서 비교될 수 있지만 동시에 한강의 소설들이 작가의 빙의 체험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는 구별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는 2000년대 초반 독어권의 가장 유력한 노벨 문학상 후보 작가였지만 불의의 교통사고로 영예를 비껴간 W G 제발트와 한강을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작가 모두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사건의 직접적인 체험자는 아니지만(제발트의 마지막 소설 〈아우스터리츠〉) 어떤 체험담 못지않게 강렬하면서 동시에 실험적인 문학적 서사를 창조했다. 이제 한강은 이들과 함께 부를 수 있는 이름이 되었다. 세계문학의 계보도에 한강의 이름을 당당하게 적어놓고자 한다.

                                                                                           <참고문헌>

  1. 이현우,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을 연결하는 확실한 ‘실선’이 그어졌다", 경향신문, 2024.11.14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835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2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56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61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0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38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49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44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45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45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41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53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46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38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2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56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49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48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3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69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55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