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11.08 04:15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내가 연세대학을 떠날 때는 ‘철학은 점점 더 필요해지는데, 철학과가 설 자리는 줄어드니까 어떻게 하지’라고 걱정했다. 40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에는 대학마다 ‘인문학이 성장해야 하는데 인문학의 위기가 찾아온다’라고 한다.


  지금은 교육계 풍조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많은 우수한 학생들이 고등학교 때부터 의과대학을 지망한다.


                                                             인류 정신·사상 인문학이 뿌리

                                                             인문학 배제하는 사회는 퇴보

                                                             히틀러의 독일과 옛소련이 사례

                                                             대학서 인문학적 소양 교육해야


   사회가 보다 필요로 하는 공학과 지망까지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니까 문과 대학에 해당하는 인문학은 어떻게 되겠는가. 앞으로 과별 지망 없이 신입생을 선발했다가 2학년으로 진학하면서 전공 학과를 선택시킨다면 많은 대학이 인문학부를 유지하기 힘들 것 같다. 인공지능(AI)의 기능에 의존한다면 인문학까지 기계공학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인문학에서 창출해야 하는 인문학적 사유와 가치는 더 큰 위기를 맞게 될 것 같다.


                                                                 의과대 쏠림 현상의 심화

   세계정신과 사상사의 흐름을 보면 인간 생활을 이끄는 정신적 가치와 기능은 인문학에서 출발했다. 인문학의 뿌리에서 이성적 사고와 윤리적 가치를 얻어 자란 것이 사회과학이 되었다. 근대 이후에는 과학적 사유가 주류를 이루면서 오늘의 메커니즘 사회까지 열매 맺게 되었다. 그 정신사적 나무가 크게 자라니까 뿌리가 되는 인문학은 보이지 않는다고 존재 가치가 없는 듯이 착각하는 현상이 생겨났다. 뿌리를 통해 나무가 자라고 열매 맺을 수 있는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면 나무는 생명력을 상실하게 되고 폭풍을 맞게 되면 뿌리째 쓰러질 수 있다. 그런 인문학을 소홀히 하거나 배제한다면 학문계는 물론 사상계 자체가 위기를 맞을 수 있다. 이성적 사고와 양심적 가치를 배제한 사회에서 볼 수 있는 현실이다.


                                                                  공산국가의 인문학 거부

   지금 세계는 중동지역에 대해 그 후진성과 역사적 퇴락상을 걱정한다. 그 큰 원인은 종교적 가치와 세계관 때문에 인문학을 수용하지 못했고 인문학적 사유의 유산을 배제했기 때문이다. 이성의 자유로운 창조성과 사회적 생활 가치인 양심의 자유까지 억제해 왔다. 이스라엘의 구약 정신과 이슬람의 코란 적 인생 교리주의에 빠져 이성과 양심적 비판과 평가를 거부하였기 때문이다. 인문학의 부재가 근대화의 역사적 과정을 포기한 결과다. 우리가 공산주의 국가를 반대하는 것은, 공산국가는 그들이 신봉하는 이데올로기 때문에 인간적 자유와 이성적 사유를 배제하기 때문이다. 그런 유물사관을 유일한 정신적 가치로 주장하는 동안 공산국가는 인문학을 거부할 뿐 아니라 배격하는 반휴머니즘적 잘못을 범하게 된다. 소련 국제공산주의 국가가 붕괴하였고 지금의 러시아, 중국, 북한을 비롯한 공산국가에는 사상적 자유가 허용되지 않는다. 인문학적 자유 사상과 이성과 양심적 가치를 부정한 결과다.


   이런 역사적 현실을 국내, 국제적으로 관찰한다면 인문학을 배제하거나 거부하는 국가와 사회는 스스로 정신적 빈곤과 종말을 자초하게 된다. 히틀러의 독재 기간의 독일도 그랬다. 공산 소련을 종식시킨 고르바초프는 공산국가의 유일한 인문학 정신을 가졌던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인문학적 정신은 무엇을 지향하는가. 이성과 자유에 따라 인간성의 완성을 추구한다. 이성적 사유에 입각한 진리와 진실, 자유로운 정신의 창조에 따르는 사회 가치의 창출이다. 휴머니즘의 완성이다. 인간다운 삶의 창조 정신이다.


                                                              대학생활 초창기 인문학 교육 중요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철학 과목을 강요하거나 문학과 역사적 연구를 대학의 필수과목으로 복원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전통적인 교육과정과 대학 교양과목으로 되돌려 인문학적 사유와 열매를 보편화시키자는 주장이다. 중고등 학교 과정의 대부분이 인문학적인 것이다. 정상적인 대학에서는 대학 생활 초창기의 많은 부분이 독서를 동반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기초교육이다. 고등학교까지는 국민다운 교양 교육이 필요했고 대학 초창기에는 지도자의 자질을 위한 인문학적 소양을 존중해야 한다. 그런 교육적 노력을 충실히 감당한다면 인문학의 빈곤은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그 교정(敎程)의 중심 내용은 무엇인가. 정신적 고전에 대한 학습과 독해였다. 정신적 고전은 무엇을 알려 주는가. 인간은 누구나 이런 사상을 갖고 살아야 한다는 보편적 가치에 해당한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대학다운 대학은 적어도 대학 1·2학년 과정까지는 인문학적 사유와 가치를 위한 기초교육을 이끌어 준다.


   그런 과정을 밟은 대학생이 역사학과 더불어 역사철학을 갖추게 되고, 법학을 전공하는 동안에 법철학의 정신을 찾아 지도력을 얻는다. 경제학이나 정치학을 공부하더라도 그 원천적 가치와 민주적 방법을 보다 높여가게 된다. 그런 인문학과 철학적 사유와 가치를 터득한 사람은 대학 생활을 마치고 직장과 사회생활을 통해서도 그 휴머니즘적 의미와 가치를 구현시키는 지도력을 유지한다.


   그런 인문학의 정신을 염두에 두고 철학, 역사, 문학 등의 학문을 전공하는 대학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인문학은 인간 정신의 출발이면서 결과를 창조할 수 있는 학문 중의 학문으로 역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김형석,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중앙일보, 2024.11.7일자. 2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75008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29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33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33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32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3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7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6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8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7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8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34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29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6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23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37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33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28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31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46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40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