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7.22 23:31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문학 작품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며 발전한다. 이 작품을 영속(永續)으로 살아 움직이게 하려면 무엇보다 독자(대중)의 사랑을 받아야 한다. 문학 작품이 문인의 손에서 떠나면 그 순간부터 독자가 그 주인이 된다.

인문학이 홀대받고 문학을 비롯한 예술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는 현상이 우리 사회에 만연된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나친 비유지만, 만약 가족 중에 ‘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다. 식사가 우리의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수단이라면, 문학 작품은 우리의 삶을 향기롭고 웅숭깊게 해준다. 식사를 하지 않으면 삶을 영위할 수 없듯 문학 작품을 읽지 않으면 개인의 삶도, 우리 사회도 사막처럼 삭막해진다.

21세기 한국 문학은 새로운 발전 동력을 모색해야 한다. 그 첫 번째 실천 덕목은 독자를 문학에 초대하는 일이다. 이제 문학은 책 밖으로 나와 독자 속으로 들어가 함께 즐기는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문학을 문인의 전유물로 여기며 독자가 찾아와 주길 기다리는 게 아니라, 문학 작품의 주인이 독자라는 의식 변화가 있어야 한다. 문학 작품은 ‘지식’으로 쌓아 놓는 게 아니라 예술 미학으로 환치해 생활 속 ‘행동’으로 옮아가야 한다. 노벨 문학상 같은 영광과 권위가 창작 목표가 아니라, 문인은 국민 모두 문학을 생활 속에서 향수(享受)하도록 훌륭한 작품을 집필해 독자에게 전하는 일을 우선 덕목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이 동력이 되면 한국 문학은 저절로 세계 속에 크게 자리매김할 것이며 노벨상 수상자도 나올 것이다. 내적 성장 없이 외부에서 영광을 기대하는 건 모순이다.

한국문인협회는 회원들의 창작 활동을 위해 발행하는 『월간문학』과 계간 『한국문학인』을 웹진으로 병행 발행하기 위한 작업을 거의 마무리했다. 새로 가동하는 웹진은 1만6000여 회원뿐만 아니라 일반인(독자)이 함께 참여해 문학을 향수할 수 있도록 ‘광장’을 마련했다. 유료 독자 외에도 일반인이 무시로 드나들며 문인들과 함께 어울려 문학을 생활 속으로 가져갈 수 있는 장치다.

이와 더불어 ‘한국문협방송’ 시스템도 구축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200여 개의 협회 지회·지부 활동에만 머물지 않고 방송 네트워크를 활용해 전국으로 ‘문학 권역’을 확대할 것이다. 이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창작 활동을 하는 문인들의 작품과 활동 모습을 전 국민이 공유하도록 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문학 작품이 사람을 향기롭게 하고, 우리 사회를 밝고 아름답게 바꾸는 백신 역할을 하게 되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1. 김호은, "문학은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백신이다", 중앙일보, 2024.7.22일자. B4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86972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133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173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145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130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85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103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84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82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80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82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96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93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83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92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100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91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109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95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119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99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