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5.18 03:19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최근 중앙언론에 대전의 성심당에 대한 뉴스가 두 번씩이나 크게 보도된 바 있습니다. 하나는 금융 감독원의 발표에 따라 성심당은 지난해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 등 수천 개의 매장을 가진 대형 프랜차이즈의 국내 영업 이익을 넘어섰다는 보도였습니다. 성심당의 연간 매출액은 1243억 원이고 영업 이익은 315억 원으로 집계되었지요.
 
   또 하나는 오늘부터 6월 2일까지 서울에서 전국의 로컬브랜드 100여 개가 참여하는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가 열리는데, 이 행사에 성심당의 참여가 알려지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성심당이 서울에서도 빵을 판매하느냐"는 글이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문의가 이어지자 성심당은 "죄송하지만 이번에는 판매 없이 전시만 진행한다"고 양해를 구하면서, 'Only 전시-성심당 빵', 그러면서 '성심당 빵은 대전에서만 판매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사진도 첨부되었습니다.

  성심당은 1956년 어느 날 함경남도 함흥에서 피난 온 고 임길순(1997년 작고) 창업주가 대전역에서 밀가루 두 포대로 단팥빵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오늘까지 68년간 대전에서만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심당이 지금 같은 '기적'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창업주의 신앙심을 바탕으로 한 이웃 사랑의 정신이었습니다. 이것이 성심당의 본질이자 정체성이지요. 그런데 1980년부터 지금까지 창업주인 부친의 정신을 이어받고 발전시킨 아들 임영진 대표의 인품과 사랑의 리더십이 결정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30년 동안 멀리서 또는 가까이서 그를 지켜본 필자로서 자신 있게 주장할 수 있습니다.

  임영진 대표는 겸손하고 검소합니다. 자신을 자랑하거나 내세우지 않습니다. 어느 자리에서든지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본인의 주장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종 인터뷰나 강연 등을 사양하지요. 처음에 이분이 말솜씨가 없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단둘이 얘길 하다 보면 논리적이고 설득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인터뷰 등을 하다 보면 자연히 자신의 업적을 내세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말하는 것을 줄이고 참다 보니까 오히려 언변이 줄었어요. 겸손한 권위가 그의 최선의 리더십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남에게는 베풀면서 자신에게는 인색합니다. 최근까지 자전거와 오토바이를 타고 다녔는데 얼마 전에 처음으로 자동차를 구입, 운전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두 번째로 임영진 대표는 성심당의 직원은 물론이고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꾸미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본성이지요. 이것이 자연스럽게 경영에도 도입되어 '사랑 경영'이 성심당의 특징이지요. '우리 곁에 불행한 사람을 둔 채로 혼자서는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는 것이 임 대표의 철학이며 성심당의 모토입니다. 성심당에는 노동조합이 없습니다. 그래서 노사관계가 아니라 상생 관계라고 하지요. 직원끼리 사랑하고, 직원은 고객을 사랑하고 존중하며, 경영주는 직원을 믿고 사랑합니다. 직원들에 대한 사랑과 존중이 그의 또 다른 리더십입니다

   세 번째는 아버지를 닮은 임 대표의 신앙심입니다. 가톨릭 평신도가 받을 수 있는 최고 훈장인 '성 그레고리 교황 기사 훈장'을 받은 것으로도 그의 신앙심은 인정받고 있으며, 가톨릭교회의 사회 운동인 포콜라레운동을 성심당 경영에도 접목하고 있습니다. 이 운동은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업인들의 실천 운동으로 성심당은 회사 이익의 15퍼센트를 직원들에게 인센티브로 나누어주고 있으며, 식재료를 비롯한 소모품을 친환경 재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심당은 대전의 자부심이며 그 중심에 인간 임영진이 있습니다.

   그런데 성심당을 대전의 관광자원으로 잘 활용하지 못해 아쉽고 안타깝다.


                                                                                  <참고문헌>
  1. 염홍철, "성심당, 대전의 자부심", 중도일보, 2024.5.17일자. 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08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55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03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76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29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96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0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53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81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49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49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75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29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73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69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88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26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396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11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64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68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