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3.28 14:21
  오피니언 김형석의 100년 산책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성실하게 노력하는 사람은 더 많은 것을 차지하나, 게으른 사람은 있는 것까지 빼앗긴다는 교훈이 있다. 높은 관직이나 직책을 맡은 사람은 일의 업적 여하에 따라 평가받는다. 나같이 평범하게 산밑에서 주어진 잡일이나 하는 사람은 사회적 평가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그렇게 긴 세월을 살아왔는데, 백 세가 되면서는 나 같은 사람도 일의 가치와 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내 노력보다 더 많은 것을 차지하게 되었다.

성실히 노력하면 많은 것 이뤄
게으르면 있는 것까지 빼앗겨

나도 모르게 수필집 인기 누려
감투는 사양, 사회적 책임 다해

아흔 넘어 명예로운 수상 이어져
조용히 맡은 일 한 것 보답인 듯

김지윤 기자

김지윤 기자

  오래전 일이다. 교육부에서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를 소개하는 글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싣겠다는 요청이다. 처음에는 사양했으나 교육부 뜻에 따르기로 했다. 간디의 생애와 정신을 알려주고 싶었다. 대학 후반기에는 내 저서의 일부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게재됐다. 내 의견도 묻지 않고 결과만 통고해 왔다. 그런 분위기 때문이었을까. 학교 부교재와 학생들을 위한 참고서에는 내 수필 여러 편이 뒤따라 소개되었다. 그러는 동안에 어린 학생들이 나를 모르지만 내 이름은 기억하면서 성장했다.

                                     『영원과 사랑의 대화』 등 과분한 사랑

  1950년대였다. 동양 출판사에서 『현대사상강좌』 10권을 출판해 사회적 성과를 거둔 일이 있었다. 그 당시에는 월간지 『사상계』와 더불어 지성 사회의 필독서 같이 인정받았다. 내가 편집을 도와주었다고 해서 그 대가로 내 글들을 모은 『고독이라는 병』이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그 호응이 좋았다. 계속해서 열 사람의 수필집을 출간했다. 이어령·김재준 등의 수필집도 내놓게 되었다. 그 책들이 출판계의 관심을 높여주었다. 수필 문학의 중흥기가 만들어졌다. 나도 모르게 피천득의 『인연』과 함께 『고독이라는 병』이 독서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1년쯤 지났다. 내가 교환교수로 미국에 가게 되면서 나머지 써 두었던 글들을 모아 삼중당에 맡겼다. 인세가 나오면 가족 생계를 도와달라고 부탁했다. 책 제목과 서문이 필요했다. ‘영원과 사랑의 대화’라는 가제를 남기고 떠났다. 1년 동안 책에 관해서는 아무 소식이나 연락도 없었다. 내 책에서 나오는 인세로 고생하지 않는다는 아내의 편지뿐이다. 해외 생활과 유럽 세계여행에 정신을 쏟았기 때문에 1년이 긴 세월 같이 느껴지지 않고 귀국했다. 피곤을 풀고 안정을 되찾으면서 뜻밖의 사실에 놀랐다. 내가 『영원과 사랑의 대화』로 독서계에 선풍을 일으키고 있었다. 나도 모르게 유명한 저자의 한 사람이 되어 있었다. 떠날 때의 내가 아니라는 인상을 받았을 정도다. 1년 동안 한국을 떠나 모든 것 잊고 지난 것이 다행이었다.

  그런 일들의 영향이었을까. 내 책 한 권이 일본어로 번역되기도 하고 백 세가 넘어서는 다른 책이 중국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두 출판사를 통해 연락받았다. 지난해에는 정부에서 수필 문학의 업적을 인정받아 문학사에 유업으로 남기는 특전까지 받았다. 재능도 부족한 사람이 독자를 위한 마음의 선물이 사회적 평가를 받게 된 것이다.

                                            감투 없는 심부름꾼 일생

   또 한 가지 나는 감투다운 감투를 써 본 적이 없다. 대학에 있을 때도, 두세 번 보직을 권고받았으나 더 유능한 동료 교수에게 양보하곤 했다. 기억에 남는 직책을 차지하지 못했다. 1970년대 초반이었다. 서울대와 서강대의 두 철학과 교수가 찾아와 한국철학회 회장직을 맡아 달라고 청했다. 마침 미국대학에 한 학기 출강하게 되었기 때문에 사양할 수 있었다. 회장직을 모면하는 대가로 기관지 『철학』의 종신 독자 구독료를 선지급하기로 했다. 10년분 구독료를 요청받았다. 철학회 기금이 부족하던 때였다. 학회장 직을 맡지 않는 대가로는 죄송한 결과가 되었다. 지금까지 30년 동안 무료로 혜택을 받고 있다. 그렇게 살았기 때문에 내놓을 만한 직책이 없다. 원로 교수는 다 차지하는 ‘철학회 회장’도 맡지 않았다.

  그렇다고 내가 사회적으로 일을 안 한 것은 아니다. 감투는 없었으나 정부와 사회적 책임은 소홀히 하지 않았다. 나같이 많은 방송과 강연을 한 교수도 흔치 않을 것이다. 국군을 위한 방송과 강연은 20년 동안 계속했고, ‘군 정신교육 지도위원’을 끝까지 맡아 주었다. 공무원 교육도 마찬가지다. 도서 윤리위원, 방송심의위원도 했다. 언제나 위원장은 맡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우수 국산 영화 추천위원까지 했다면 누구도 믿지 않을 것이다. 숙명여대의 윤태림 총장의 후임으로 청탁 맡았던 직책이다. 영화계 사람들이 외국영화 수입 특혜를 따기 위해 정부의 심사위원들과 뒷거래하는 부작용을 사전에 방지하는 방법의 하나가, 윤태림 같은 인사가 심사위원이라는 명분을 위한 청탁이었다. 나같이 영화 문외한인 철학 교수가 그 많은 영화를 보아야 하는 고생도 했다.

  지금까지도 강연에 초청받아가면 강사를 소개하는 사회자가 소개할 자료가 없으니까 중앙학교의 교사였고,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라는 내용이 전부다. 빈약한 경력이다. 감투가 없었기 때문이다. 일은 많이 했으나 심부름꾼으로 평생을 보냈다.

  그런데 90이 넘으면서부터 뜻밖의 일들이 벌어졌다. 그 많은 훌륭한 지도자들을 제치고 나에게 명예로운 수상을 제안해 온다. 백 세가 넘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나는 한 번도 내가 상을 받기 위해 추천을 요청한 적이 없다.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고 살았다. 그런데 시상 기관에서 추천서도 받은 바 없이 결정하고 상을 주니까 받을 수밖에. ‘유일한 상’을 받을 때는 대표자와 점심까지 함께 했는데 금년에는 추천자 선출 없이 나를 수상자로 결정했다는 설명이었다. 그런 상을 여러 번 받았다.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명예로운 일이다. 상뿐이 아니다. 강원도 양구에는 ‘철학의 집’이라는 기념관까지 생겼다. 백 세가 넘도록 살았기 때문에 주어진 보답만은 아니다. 낮은 데서 조용히 맡은 일을 하는 사람에게 준 혜택이다. 그렇게 일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요사이는 중학교 동창이었던 시인 윤동주 생각을 한다. 내 인생의 4분의 1을 살았으나 나와는 비교할 수 없는 사랑을 받는다. 그런 것이 인생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김형석,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중앙일보, 2024.3.28일자. 2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4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78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30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91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44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303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4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58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92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54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57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85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39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82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98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95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33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406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37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75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76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