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국 독립 김국의 혼 담긴 태극기, 보물된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8.13 15:20

 김구의 혼 담긴 태극기, 보물된다. 

김구 선생.

김구 선생.

관련기사

   김구(사진) 선생이 이렇게 친필 글씨를 써넣은 태극기가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12일 ‘김구 서명문 태극기’를 비롯해 대한제국 시대 고종의 외교 고문을 맡았던 오웬 니커슨 데니의 태극기와 1919년 제작된 ‘진관사 태극기’ 등 태극기 3점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모이원고’ ‘조선말 큰사전원고’에 이은 근현대유산 보물이다.

                       ‘진관사 태극기’ 일장기 위에 태극 그려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이던 김구 선생이 직접 글귀를 쓴 ‘김구 서명문 태극기’는 독립운동가 안창호 선생 후손이 1985년 ‘안창호 유품’으로 독립기념관에 기증하며 모습을 드러냈다. 김구 선생의 친필로 먹글씨 134자를 쓰고, 마지막에 날짜·서명과 함께 ‘김구’라고 적힌 사각 도장을 찍었다. 김구 선생은 당시 중국 충칭에서 활동하던 벨기에 신부 매우사(샤를 메우스)에게 ‘미국에 가서 우리 동포를 만나면 이 글을 보여 달라’며 전달했고, 메우스 신부는 미국으로 가 안창호 선생의 부인 이혜련 여사에게 이 태극기를 전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제작된 태극기 중 제작 시기가 정확하게 알려진 유일한 태극기인 데다 1942년 6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태극기 제작 규정을 통일하기 직전에 만들어져 태극기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현재 천안 독립기념관에 소장돼 있다.
고종의 외교 고문 데니가 소장했던 ‘데니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고종의 외교 고문 데니가 소장했던 ‘데니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오웬 니커슨 데니(1838~1900)가 남긴 ‘데니 태극기’는 가로 262㎝, 세로 182.5㎝의 대형 태극기로, 현재 남은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됐다. 바탕 천으로 쓴 광목에 붉은색과 푸른색의 태극 문양, 푸른색 4괘를 재봉틀로 박아 넣었다. 재봉틀을 쓴 점이 당시 서양의 국기 제작 방식과 비슷해 19세기 말 근대 문물이 들어오던 조선의 정세가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

데니

데니

   미국 외교관 데니는 중국 주재 영사로 있던 중 1886년 조선 정부의 외교 및 내무담당 고문으로 부임, 4년 동안 외교·법률·경제 분야 정책 수립을 도왔다. 1888년 ‘서구 국제법에 따르면 조선은 독립국이며, 청의 내정간섭은 부정하다’는 주장을 담은 책 『중국과 한국(China and Corea)』을 쓰기도 했다. 데니는 중국의 미움을 사 1891년 1월 한국을 떠나는데, 이때 ‘데니 태극기’를 미국으로 가져간다. 1900년 데니 사후 약 80년간 데니 가문에서 보관하다 1981년 그 후손이 한국에 기증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데니 태극기’는 기증 당시에도 부식 등 손상이 거의 없이 상태가 좋았다. 2008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됐고, 2018년 이후 매년 삼일절·광복절 등에 일반에게 공개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도 광복절을 맞아 13~23일 상설전시실 ‘대한제국실’에서 ‘데니 태극기’를 특별공개한다.

3·1운동이 있었던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3·1운동이 있었던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사진 문화재청]

   2009년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서 발견된 ‘진관사 태극기’는 3·1운동이 있었던 1919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장기 위에 태극과 4괘를 먹으로 덧칠했다. 왼쪽 윗부분은 불에 타 손상됐고, 작게 뚫린 구멍들도 있어 만세운동 현장에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진관사 태극기’는 1919년 6월 6일부터 12월 25일까지 발행된 독립신문·조선독립신문 등 신문류를 태극기로 감싼 형태로 발견됐다.

   문화재청 박수희 연구관은 “불교계 독립운동을 총괄한 것으로 전해지는 진관사 승려 백초월, 혹은 주변인이 숨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찰에서 처음 발견된 일제 강점기 태극기로, 절이 독립운동의 근거지 역할을 한 사실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30일의 예고기간 동안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 태극기 3점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계획이다.

                                           <참고문헌>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854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40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682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58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13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89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50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43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74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42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41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67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21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63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46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81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23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380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393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45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53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