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9.21 00:45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임종국(林鍾國, 1929.10.26-1989.11.12) 선생이 생전에 펴낸 친일파 관련 수많은 저서 중에서 최고봉은『일제침략과 친일파』(청사, 1982)이다.

 

                                                  

 

   그는 일제침략을 고종 13년인 1876년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부터 처서 ‘36년간’이 ‘70년’으로 보고 침략의 골자로 사상 침략, 자원 침략, 대륙 침략, 종교 침략, 문화 침략, 경제 침략, 교육 침략 기타 등의 8개 분야로 구분했다.

   그런데 이 책은 일제 침략의 8개 분야 중에서 앞의 3개 분야의 일제 침략만 다루고 있다. 실제로 제1편에서는 사상 침략과 친일파, 제2편에서는 자원 침략과 친일파, 제3편에서는 대륙 침략과 친일파를 다뤘다.

   말년에 그는 이 8개 분야를『친일파총서』로 엮어낼 계획이었지만 아쉽게도 1989년 그의 타계로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다.

   그는『일제침략과 친일파』의 책 머리에서 그간 친일파 연구가 우리 사회에서 공백으로 남아온 데 대한 그의 견해를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해 설명했다.


   첫째로 오욕의 역사여서 건드리고 싶지 않다는 ‘은폐론’

   둘째로 당사자나 유족의 체면을 위해 덮어 두었으면 하는 ‘인정론’

   셋째로 친일을 막연하게 스캔들 정도로 생각하면서 비방거리로 삼으려는 대중적 경향 등을 꼽았다.

   어찌 보면 일반론적인 얘기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정곡을 찌른 분석으로 판단된다. 과거, 적어도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 대부분이 이런 입장이었던 게 사실이다. 역사 연구가 기본인 역사학계는 물론 관련을 맺고 있는 정치학·사회학계도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언론계조차도 입을 다물었던 상황이었다. 모두 하나같이 죽으라고 독립운동사만 파고들었을 뿐이다.

   당초 그는 음악과 문학을 좋아했으나 음악과 문학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해서 역사연구, 즉 친일배족사 연구에 일생을 바쳤다.

   그가 친일 문제에 빠져들고 친일 문학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다른 분야 자료가 자꾸 나오자 친일 문제 전반 8개 분야, 나아가서 정신대, 생활사 분야까지도 연구 대상을 확대해 나가 전체 10개 분야로 넓혀나갔다. 그리하여 임종국 선생은 친일파 연구의 개척자,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1. 정운현,『임종국평전』, 시대의 창, 2006.11.24. pp.400-405.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5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86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39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98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49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306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6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61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96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55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60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87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40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83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505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97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35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407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41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77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78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