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친일파 연구의 선구자 임종국 선생의 연구방법과 역사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31 02:55

 

                                        친일파 연구의 선구자 임종국 선생의 연구방법과 역사관

 

  임종국의 연구방법은 철저히 실증하고 고증하는 방법이었다. 복사기가 없던 시절, 대부분의 자료들은 손으로 직접 베껴 썼다. 그리고 누가, 언제, 무엇을 했는지, 육하원칙에 따라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친일 연구를 위해, 일제시대 신문을 비롯해서 정부기록, 재판기록, 하다못해 면사무소 인사발령까지 찾아 모았다. 그리고 그것을 연도, 개인, 단체별로 분류해 나갔다. 그렇게 10년간 자료를 모아 1980년대 들어서는 거의 1년에 한 권꼴로 친일파 관련 책을 써냈다. 아무도 가려하지 않던 길, 그는 홀로 그 길일 갔다. 그렇게 축적된 임종국의 연구는, 지난 1993년 독립유공자로 인정된 사람들 가운데 친일파를 가려내는데 귀중한 자료로 쓰였다. 그 때 친일행적이 드러난 사람 중에는 부통령 또는 국회의원을 지낸 정계인사 그리고 문화계 저명인사들도 있었다.

  친일파가 독립유공자로 기록되고 포상받는 현실, 그는 바로 이런 왜곡된 역사를 바로 잡는 첫걸음이 친일파 청산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제대로 청산되지 못한 역사는 후세로 이어지면서 더 큰 왜곡과 혼란을 낳고 있다. 청산되어야 할 역사를 소중한 역사인 양 기념하는 것은 그 잘못된 역사를 오늘, 그리고 미래에 다시 되풀이 하는 일이라는 것이 임종국의 생각이었다.

  친일문제를 그냥 덮고 가자는 세력과, 잘못을 반성해야 한다는 세력, 그리고 현실적인 이익을 지키려는 쪽과 역사의 근본을 세우려는 쪽, 이 둘 사이 갈등을, 임종국은 선택의 문제라고 여기지 않았다. 역사 앞에 그것은 너무나 명료하고도 절실한 문제였다.

  임종국은 역사를 살아 있는 생명체로 보았다. 병든 곳을 잘라내거나, 치유하지 않고서는 앞으로 더 나아갈 수도, 계속 성장할 수 없다고 보았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고 또 앞으로 살아가야 할 역사, 이 역사가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그리고 근원적으로 치유해야 할 상처는 바로 일제강점기의 반민족 행위, 친일이었다.

                                                               <참고문헌>

  1. 林鍾國 저/李建濟 교주,『친일문학론』, 민연(주), 2013.8.16.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6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86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739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98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49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306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66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61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96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55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60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87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40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83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505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97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35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407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41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77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78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