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동춘당 송준길 이야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0.18 00:00

                                                                                동춘당 송준길 이야기 

드론으로 촬영한 동춘당 종택 주변. 앞이 동춘당이고 그 뒤가 사당인 ‘송씨별묘’이다. [사진 백종하 사진작가]

                         드론으로 촬영한 동춘당 종택 주변. 앞이 동춘당이고 그 뒤가 사당인 ‘송씨별묘’이다. [사진 백종하 사진작가]

    동춘당(同春堂)은 유학자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호이자 서재 이름이다. 건물은 대전 대덕구에 있다. 동춘당 뒤쪽에는 송준길을 모신 사당 ‘송씨별묘(宋氏別廟)’가 있다. 배위(配位, 부인) 신주에는 ‘증정경부인진주정씨’로 적혀 있다. 동춘당은 이이, 김장생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였다. 그러면서도 동춘당은 당시 대제학을 지낸 영남학파 정경세의 사위가 됐다.  
    요즘으로 치면 여당과 야당의 실력자가 서로 사위와 장인이 된 것이다. 학맥으로는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정치적으로는 서인과 남인의 통혼이다. 이 무렵 서인과 남인은 냉랭한 관계였다. 정경세는 송준길을 한 번 만나보고 그 사람됨을 기특하게 여겨 딸을 시집보냈다고 한다.  
    송준길은 당시 김장생에게 수학하고 있었는데 이때부터 장인 문하도 드나든다. 동춘당은 그렇게 열려 있었다. 동춘당은 특히 학맥을 떠나 퇴계 이황을 매우 존숭했다. 그는 퇴계의 학문적 장점이 정상신밀(精詳愼密)에 있다며 퇴계를 평생 스승으로 삼았다. 동춘당은 세상을 떠나던 해 꿈속에서 퇴계를 뵙고 ‘기몽(記夢)’이란 시를 남긴다.
 

송준길의 친필 시 ‘기몽’. 1672년 동춘당이 꿈에 퇴계 이황을 만난 느낌을 시로 적은 글이다. [사진 대전시립박물관]

                   송준길의 친필 시 ‘기몽’. 1672년 동춘당이 꿈에 퇴계 이황을 만난 느낌을 시로 적은 글이다. [사진 대전시립박물관]

    “평생토록 퇴계 선생 공경해 우러르니/세상 떠나셨어도 그 정신 감통했네/오늘 밤 꿈속에서 가르침 받았는데/깨어 보니 달빛만 창가에 가득하네”  
   동춘당은 주자학을 조선 성리학의 근간으로 세운 것은 이황과 이이로 이해했다. 『국역 동춘당집』의 해제를 쓴 이봉규 인하대 교수는 “그는 학문적으로 이황을 가장 존중했지만 이기(理氣) 등 주요 학설은 이이 입장에 섰다”고 분석한다.
 

송준길이 후학을 양성했던 서재인 동춘당. 글씨는 동지였던 우암 송시열이 썼다. [사진 송의호]

                                  송준길이 후학을 양성했던 서재인 동춘당. 글씨는 동지였던 우암 송시열이 썼다. [사진 송의호]

    송준길은 정치적으로는 김상헌과 그의 자손들, 그리고 민유증을 비롯한 여흥 민씨 집안 학자들과 밀접하게 교류해 노론 세력을 형성한다. 이후 17세기가 되면 당쟁으로 발전한다. 당쟁으로 흐른 원인 중 하나가 이른바 예송(禮訟)이다. 예송이란 왕실 의례 적용을 둘러싼 정파적 논란이다. 예제(禮制)는 성리학 이념을 현실에서 실현하는 장치였다. 예제 수립은 그래서 성리학자의 주요한 과제가 되었다. 송준길은 예송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노론 입장에 선다. 그는 허목‧윤휴‧윤선도 등 남인 세력의 비판을 방어하는 이론가 역할을 했다.  
    1659년 효종이 승하하자 송준길은 송시열과 함께 상사를 주관한다. 상복(喪服)과 관련해 송준길은 송시열과 함께 장렬왕후(인조 계비)가 1년짜리 기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선도 등 남인은 3년복으로 맞섰다. 왕통을 계승한 아들을 위해 모후가 어떤 상복을 입을 것인가의 논쟁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복제 문제가 아니라 효종의 종법적 위상을 장자로 볼 것인가, 차자로 볼 것인가의 문제였다. 즉 효종의 정통성과 직결돼 있었다. 조정은 결국 『경국대전』을 근거로 기년복을 받아들였다. 열려 있는 송준길은 승자가 된다. 그러나 15년 뒤 동춘당이 세상을 떠나자 전세는 역전된다. 노론은 실각한다. 열린 자세의 중요성을 다시 돌아보게 된다.
                                                                                         <참고문헌>
   1. 송의호, " 서인이지만 정적 남인의 딸과 혼인한 송준길", 중앙일보, 2020.9.3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1/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30 2018.04.12
2425 진천군, 보재 이상설 선생 서훈등급 상향 추진 사진 신상구 549 2024.11.28
2424 2025년 지식인들의 잡지 '사상계' 재창간 신상구 689 2024.11.28
242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2024년 12월 7일 재개관 사진 신상구 569 2024.11.27
2422 여든 넘어 글 배운 칠곡 할매의 詩, 교과서 실린다 신상구 525 2024.11.27
2421 청주고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마무리 신상구 293 2024.11.27
2420 금행일기와 휵양가 신상구 258 2024.11.26
2419 WTO 체제, 강제력 잃은 명목상 경제질서로 전락할 수도 신상구 249 2024.11.26
2418 교육부 가칭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 센터 설립 추진 신상구 276 2024.11.26
2417 64년만에 완성한 민주주의 역사 보물창고, 3.8민주의거 기념관 신상구 247 2024.11.25
2416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신상구 248 2024.11.25
2415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2) 사진 신상구 274 2024.11.25
2414 1만엔 새 지폐 주인공, 시부사와 에이이치 淸富의 삶 대해부(1) 사진 신상구 326 2024.11.25
2413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신상구 271 2024.11.24
2412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신상구 461 2024.11.24
2411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신상구 287 2024.11.23
2410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신상구 225 2024.11.23
2409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391 2024.11.23
2408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신상구 407 2024.11.22
2407 나치 전범재판 사진 신상구 357 2024.11.21
2406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신상구 263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