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01 00:40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


다산연구소 20주년 박석무 이사장

일생동안 다산 정약용 연구를 해온 다산연구소 박석무 이사장(82). 창립 20주년을 맞아 29일 서울 중앙일보사에서 만났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일생동안 다산 정약용 연구를 해온 다산연구소 박석무 이사장(82). 창립 20주년을 맞아 29일 서울 중앙일보사에서 만났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지난 20년간 다산(茶山) 정약용(1762~ 1836)의 생각과 철학을 우리 국민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냈죠. 다음 20년은 다산의 지혜가 좀 더 실천되고, 외국어로 번역해 세계인에게 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입니다.”

다산연구소 창립 20주년을 맞는 다산학자 박석무(82·우석대 석좌교수) 이사장의 포부다. 박 이사장은 다산학 연구에 일생을 바쳐온 권위자. 그가 2004년 6월 다산연구소 창립과 함께 다산의 가르침으로 정치·사회 현실을 비판해온 칼럼 ‘풀어쓰는 다산 이야기’는 연재 1220회를 기록한 최근까지 36만명이 구독했다.

1979년 다산의 편지글을 번역해 스테디셀러가 된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비롯해 『다산기행』 『다산 정약용 평전』『목민심서, 다산에게 시대를 묻다』 『흠흠신서』 『다산학 공부』 등의 저서를 통해 다산의 500권 넘는 저술, 2700여편 시에 담긴 방대한 사상을 대중화하는 데 일조했다.

“다산의 가르침을 세계화하는 게 우리 국격을 높이는 일”이란 박 이사장을 29일 만났다. “영국엔 셰익스피어, 독일엔 괴테, 한국엔 다산”이라는 박 이사장은 다산 사상의 정수로 민본주의와 공렴(公廉) 정신을 꼽았다.

“다산의 민본주의는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고 근본이 튼튼해야 나라가 안녕을 유지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는 다산 문집 『여유당전서』 간행을 주도한 해방 조선의 한학자 겸 정치가 정인보(1893~1950)를 빌어 “다산의 경학(經學)은 (중국 유교 경전을 새롭게 해석한) 민중적 경학”이라고 했다.

그는 또 “다산은 공직자로서 공정함과 청렴함, 즉 공과 염, 두 가지 논리를 가슴에 안고 온 정성을 다해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몸을 바칠 것을 강조했다”면서 그에 비춰 작금은 “민주주의가 후퇴해버린 때”라 비판했다. “다산은 지도자가 자기를 먼저 다스려 인격과 교양을 갖춰야 나랏일을 할 수 있다고 봤다. 사람다운 사람이 안 되면 어떤 능력으로도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 수 없다”고 지적했다.

21대 국회가 여·야 파행 속에 역대 최저 법안 통과율로 막을 내린 데 대해 박 이사장은 “정파적 이익을 추구하다 국익을 팽개친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채 상병 특검법만 해도 진실을 밝히는 건 국익이다. 그런데 그 진실이 밝혀지면 특정 정파 소속 사람에게 불이익이 올 수가 있어 특검을 거부하는 것은 공정 상실”이라 명명했다.

“다산의 모든 논리는 국익과 공정으로 통했다. 법을 적용하면 임금의 최측근부터 하라 했다”면서 “다산의 지혜를 실천하면 해결 못 할 문제가 없다. 다산에 점점 더 빠져드는 이유”라 밝혔다.

올 초 김태희 전 다산연구소장에 대표직을 맡긴 박 이사장은 다산 철학을 쉽게 풀어주는 기고·저술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다산연구소의 또 다른 연재 ‘풀어쓰는 실학’ ‘다산 포럼’에는 내부 연구원뿐 아니라 각 분야 외부 필진도 참여하고 있다. “각 분야 전문가가 중대재해처벌법을 정부가 제대로 시행하지 않는 데 대한 비판, 대학제도 문제점을 짚기도 하죠. 다산의 비판정신을 이어가는 겁니다.”

다산에 관한 글을 쓸 때마다 지금도 원문을 확인한다는 그는 “시대가 바뀌고, 각도를 달리해서 볼 때마다 새로운 논리를 발견하고 연구하게 된다”고 말했다.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는 그렇게 개정판을 5차례 펴냈다. “유튜브에 부정확하고 사실과 다른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시대”라며 “그럴수록 지혜를 정제해서 담은 책을 봐야 한다. 다산도 ‘독서란 인간의 본분’이라 가르쳤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장은 다산학 세계화를 위해선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다산 전문 번역가·연구원을 양성해야죠.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참고문헌>                                         1. 나원정, "독일엔 괴테, 한국엔 정약용…다산 철학, 세계인에 알릴 것", 중앙일보, 2024.5.31일자. 16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0 2018.04.12
2265 대전 영시축제, 성공적 개최를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486 2024.08.08
2264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사진 신상구 402 2024.08.08
2263 역사 속 활과 화살 사진 신상구 832 2024.08.08
2262 광복, 소중한 유산 신상구 438 2024.08.08
2261 고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 여사 별세 50주년 회고 중앙일보 대담 신상구 477 2024.08.08
2260 충청에 스민 동악 이안눌의 문향 신상구 481 2024.08.07
2259 국문학자 조동일의 보물 3가지 신상구 543 2024.08.07
2258 <특별기고>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 사진 신상구 447 2024.08.06
2257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447 2024.08.05
2256 대전광역시 중구 목척 5길 244 한암당(寒闇堂)을 아시나요 신상구 635 2024.08.05
22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62 2024.08.04
2254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사진 신상구 617 2024.08.03
2253 대구 청라언덕이 키운 예술 자부심, 한국전쟁 때 꺾여 사진 신상구 422 2024.08.03
2252 일제강점기 '여공'들 조명한 다큐 '조선인 여공의 노래' 7일 개봉 사진 신상구 628 2024.08.02
2251 '서편제' 주인공들이 부른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토리 노래 사진 신상구 735 2024.08.02
2250 시는 언어의 사원이 아니다 사진 신상구 412 2024.08.02
2249 40세 ‘불혹’ 김정은, 11세 어린 딸 김주애를 후계자로 파격 내정? 사진 신상구 523 2024.08.02
2248 탈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유일한 답이다 사진 신상구 475 2024.08.01
2247 『사주는 없다』쓴 이재인 박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556 2024.08.01
2246 화가 황주리의 현대사 보물 사진 신상구 492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