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전국서 세종시만 늘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5.30 01:50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전국서 세종시만 늘어

                     

                                              10명 중 4명이 고령인구…5개 시도는 "노인 1명 이상 부양해야"

▲ 2021년 지정된 인구감소지역 89개 지자체. <자료= 행정안전부 제공>

  저출산·고령화 지속으로 2052년 경제를 지탱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세종을 제외한 전 시도에서 2022년보다 크게 줄어든다.

  2052년 대구, 울산 등 10개 시도에서는 생산연령인구가 50%를 밑돌고,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전망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에 따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3674만 명에서 2052년 2380만 명으로 향후 30년간 1295만 명(35.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기본 가정을 바탕으로 짠 중위 시나리오 기준이다.

  시도별로 보면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022년 대비 2052년 울산(-49.9%), 경남(-47.8%), 부산(-47.1%), 대구(-46.9%), 경북(-45.0%) 등 8개 시도에서 생산연령인구가 40% 이상 감소한다.

  울산 감소율이 가장 높은 이유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울산의 경우 2015년부터 조선업 침체 등의 영향으로 젊은 층의 인구가 많이 유출되고 있고, 30~60대까지도 유출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경기(-25.6%)와 인천(-27.8%) 등은 감소율이 낮은 수준이었다. 서울 감소율은 36.5%다.

  반면 세종은 2022년 대비 생산연령인구가 16.7% 늘어나는데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 순유입되고 있고, 출산율이 다른 시도보다 매우 높다는 점이 인구 증가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전체 인구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71.1%에서 2052년 51.4%로 향후 30년 새 19.7%포인트(p) 감소한다.

  2052년 생산연령인구 비중을 시도별로 보면 전남(44.0%), 경북(44.4%), 경남(45.7%), 강원(45.8%), 부산(49.1%), 대구(49.6%), 울산(49.2%) 등 10개 시도에서 5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세종(58.8%), 서울(55.3%), 경기(53.9%) 등 7개 시도는 50%대를 유지했다.

  고령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2년 898만 명에서 2025년에 1000만 명을 넘어선다. 2050년 1891만 명을 정점으로 한 뒤 2052년 1886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시도별 총인구 증감, 2022년 대비 2052년
시도별 총인구 증감, 2022년 대비 2052년

  통계청은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가 65세 이상 고령인구에 진입하는 2020년부터 고령인구가 급증해 2022년 대비 2052년 고령인구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인구 비중은 2022년 17.4%에서 2052년 40.8%로 예측됐다. 2052년 10명 중 4명 정도가 노인이라는 얘기다.

  시도별로 보면 2052년 전남, 경북 등 11개 시도의 고령인구 비중은 40%를 넘어선다. 전남(49.6%), 경북(49.4%) 순으로 고령인구 비중이 크고, 세종(29.3%), 서울(37.2%) 순으로 비중이 낮았다.

  2022년 대비 2052년 증감률로 보면 세종(318.2%), 경기(165.8%), 인천(157.9%), 제주(137.2%) 등 11개 시도에서 고령인구가 2배 이상 늘어난다.

  유소년인구(0~14세)는 2022년 595만 명에서 2052년 361만 명으로 대폭 줄어든다. 2052년 17개 시도 모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울산(-58.8%), 경남(-57.8%), 전남(-52.0%), 경북(-51.8%) 등 4개 시도는 50% 이상 감소한다.

  유소년인구 비중도 2022년 11.5%에서 2052년 7.8%로 축소된다. 205년 세종이 12.0%로 비중이 가장 높고, 경북이 6.2%로 가장 낮았으며 대부분의 시도가 10% 미만으로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학령인구(6~21세)는 2022년 750만 명에서 2052년 424만 명으로 향후 30년새 326만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할 사람은 줄고 고령화는 지속되면서 총부양비(15∼64세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 및 고령인구)는 2022년 전국 평균 40.6명(유소년 16.2명·고령자 24.4명)에서 2052면 94.4명(유소년 15.2명·고령자 79.3명)으로 증가한다.

  시도별로 보면 전남(127.0명), 경북(125.4명), 경남(118.9명) 등 10개 시도에서 부양비가 100을 넘어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의 경우 2022년 37.3명에서 2052년 103.4명으로 약 2.8배 늘어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총부양비 중 노년부양비는 2052년 기준 강원(102.8명), 경북(111.4명), 전남(112.6명), 전북(101.3명), 경남(104.6명) 등 5개 시도에서 100명을 넘어섰다. 생산연령인구 1명당 노인 1명 이상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편, 충남지역의 인구 감소로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충남지역 대표 인구 소멸 지역인 청양군의 인구 3만 선이 붕괴됐다.

  부여와 태안도 인구 6만 명 저지선이 위태한 상황이다. 논산은 여전히 인구 10만 이상이지만, 1년만에 11만 선이 무너졌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청양이 인구 3만 288명에서 올해 4월 기준 2만 997로 감소했다. 내포신도시 인구가 같은 시점, 3만 7287명을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반면, 산업·교육·의료 등 생활 인프라가 집적된 북부권 아산과 당진은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충남도청 소재 내포신도시 프리미엄을 안고 있는 홍성, 대전과 가까운 계룡도 소폭 상승했다.

  아산 인구는 지난해 4월 기준, 33만 6871명을 기록했는데, 올해 4월 기준, 35만 535명으로 집계돼, 1만 3664명이 늘었다. 세대수는 16만 2275명으로, 세대 당 인구는 2.16명이다. 이는 계룡 다음 도내 두 번째다.

  당진의 경우 16만 8846명에서 1433명이 늘어 17만 0279명으로 집계됐다. 현대제철소가 있어 유동인구와 젊은층이 많은 곳으로 분류된다.

  홍성의 경우 9만 6961명에서 9만 8317명으로 늘었다.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증가했고, 도청 소재지란 프리미엄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같은 내포신도시 권역인 예산은 506명이 줄었고, 두 지역의 인구차는 2만 여명에 달한다.

  도내 인구 감소폭이 가장 큰 곳은 논산이다. 논산은 지난해 4월 기준, 11만 1822명에서 1년 만에 2056명이 줄어 10만 9766명을 기록했다. 공주시와 함께 10만 초반대 인구를 보유하게 됐다.

  인구 6만 초반대를 유지했던 부여와 태안도 저지선을 지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부여는 6만 1903명에서 6만 408명으로 줄었다. 태안은 6만 1029명에서 6만 478명으로 감소했다.

  부여는 올해 ▲1월 6만 869명 ▲2월 6만 731명 ▲3월 6만 561을 기록,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태안도 ▲1월 6만 731명 ▲2월 6만 616명 ▲3월 6만 508명으로 집계됐다.

                                                                                                           <참고문헌>

   1. 이정복, "30년 뒤 생산인구 1295만 명 감소…전국서 세종만 늘어", 대전투데이, 2024.5.29일자.  3면.


시청자 게시판

2,343개(9/118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63853 2018.04.12
2182 2024 세계대학평가 사진 신상구 253 2024.06.17
2181 설봉 강백년의 삶과 문학 신상구 205 2024.06.17
2180 변화의 바람 부는 동구 대전역세권 옛 명성 되찾는다 사진 신상구 126 2024.06.14
2179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 별세 사진 신상구 237 2024.06.14
2178 이중섭 미공개 편지화 3장 서울미술관 특별전서 공개 사진 신상구 141 2024.06.14
2177 한글 우수성 외국에 알린 호머 헐버트 선교사 사진 신상구 365 2024.06.14
2176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 禪명상 보급 진두지휘 사진 신상구 228 2024.06.13
2175 도산 안창호선생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사진 신상구 266 2024.06.13
2174 한 최초 칸 취화선 속 달항아리, 세계에 우리의 것 위상 높였다. 신상구 338 2024.06.12
2173 베네치아 비엔날레와 한국 작가들 사진 신상구 268 2024.06.11
2172 보문산 동굴 일제 군사용 목적과 민간신앙 활용 독특한 사례 사진 신상구 160 2024.06.11
2171 6.10 정신으로 민주주의 되살려야 신상구 199 2024.06.11
2170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 박사 별세 신상구 173 2024.06.11
2169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신상구 215 2024.06.10
2168 단오절의 유래와 풍습 신상구 114 2024.06.10
2167 호암미술관 고미술 기획전'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6월16일 폐막 사진 신상구 151 2024.06.09
2166 불교 조계종 대종사 옹산 스님, 불교의 '참된 진리' 사람들에 전하며 올 사진 신상구 121 2024.06.09
2165 덕혜옹주의 기구한 삶 사진 신상구 125 2024.06.08
2164 <특별기고> 제69회 현충일을 맞이하여 사진 신상구 129 2024.06.06
2163 &lt;특집기고&gt; 2024년에 개교 100주년을 맞이 사진 신상구 314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