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전통문화대 崔英成 교수, 목은 이색 문집서 ‘天符經’ 언급 발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9.15 09:53

 

                               한국전통문화대 崔英成 교수, 목은 이색 문집서 ‘天符經’ 언급 발견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이 단군조선 이전부터 전해 내려온다는 ‘천부경(天符經)’을 공부한 정황을 그의 시편에서 밝힌 연구가 나왔다. 천부경은 환인(桓因)이 환웅(桓雄)에게 전해 백성에게 가르쳤다는 대종교의 경전이다. 학계에서는 오늘날의 천부경이 20세기 초에 위조됐다고 본다. 하지만 고려 말 ‘모종의 천부경’이 실존했다는 해석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목은 이색의 저술을 모은 ‘목은집’ 가운데 시 ‘백악산에 호종하여 짓다’

                                부분(굵은 선 안). ‘독단여천부계합(獨斷與天符契合)’이천부경이언급된

                                구절이다. 사진 출처 한국고전종합DB

 

  “비밀스러운 책 처음 나왔을 땐 귀신도 놀랐겠지(秘書初出鬼神驚)/…/‘독단’, ‘천부경’ 내용과도 부합하니(獨斷與天符契合)”(이색, ‘백악산·白嶽山에 호종·扈從하여 짓다’에서)

 

  신라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908)사상 연구의 권위자인 최영성(崔英成, 56세) 한국전통문화대 교수는 발표 예정인 논문「목은 이색의 역사의식과 민족사상」에서 “간단한 언급이지만 이 시구에서 이색이 천부경을 공부했다는 것과 당대 천부경의 존재를 알 수 있다”고 2018년 9월 26일 밝혔다.

 

                                                      

                                               고려 말의 대학자인 목은 이색 영정

 

  ‘목은집(牧隱集)’의 기존 번역에는 이 부분이 “내 독단은 하늘과 부계가 서로 합하고”라고 번역돼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렵다. 최 교수는 ‘독단’은 중국 후한 때 인물 채옹(蔡邕·133∼192)이 지은 책 이름이기에 ‘천부’도 천부경을 가리키는 고유명사로 풀어야 옳다고 봤다. ‘독단’에는 하늘을 아버지로, 땅을 어머니로 하는 ‘부천모지(父天母地)’의 사상이 본디 동이족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나온다. 이색은 동이족의 천손(天孫)의식이 서술된 책과 함께 천부경을 거론한 것이다.

  최영성 교수는 “이색은 천부경이 진짜 경전이라고 의도적으로 높이려던 게 아니라 우리나라가 본디 천자(天子)의 나라라는 점을 밝히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시에 언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려 말의 대학자인 목은 이색은 조선 성리학의 선구자이면서 선도(仙道)의 맥을 이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최영성 교수에 따르면 천부경 등의 내용과 부합한다는 ‘비밀스러운 책’(秘書)은 도선국사(道詵國師·827∼898)의 비기도참(秘記圖讖)이고 이색이 천도(遷都)와 관련해 고려의 제31대 국왕인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음력 5월 6일)~1374년 10월 27일(음력 9월 22일), 재위: 1351~1374>을 호종해 백악산에 갔다는 건 ‘고려사절요’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 교수는 “이색은 해동 고려 땅이 천하의 정기가 한군데 뭉친 곳이고, 도읍을 어디에 정하느냐에 따라 고려가 ‘천자국(天子國)’의 지위를 누릴 수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오늘날 전해지는 천부경은 위조된 것이라는 게 학계 정설이다. 운초(雲樵) 계연수(桂延壽, 1864∼1920)라는 이가 1916년 묘향산의 석벽에 새겨진 것을 발견해 단군교(대종교가 만주로 기반을 옮긴 뒤 조선에 남은 분파)에 전했다고 하지만 앞뒤가 안 맞는 요소가 적지 않다. 일제강점기 민족사학자인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도 이 천부경을 “후인의 위조”라고 단정했다. 계연수는 때로 실존 인물인지조차 의심을 받는다.

  흥미로운 건 “이색이 천부경을 주해(註解)했다”는 서술이, 역시 위서(僞書)라는 게 정설인 계연수의『환단고기(桓檀古記)』가운데 일십당 (一十堂) 이맥(李陌, 조선 중기 문신·1455∼1528)이 썼다는『태백일사』에 나온다는 점이다.『환단고기』에는 이맥의 고조부인 행촌(杏村) 이암(李嵒, 본명 李君侅, 1297∼1364)이 단군의 치세 2000여 년을 1363년에 기록했다는『단군세기(檀君世記)』에도 실려 있다. 이암은 이색의 스승 격이다.

  최영성 교수는 “오늘날 전하는 천부경과 이색이 본 천부경의 내용이 일치하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 “이색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이라는 고유사상을 바탕으로 성리학을 주체적으로 이해한 인물”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의 논문은 목은연구회와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가 10월 5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에서 개최하는 ‘목은 사상의 재조명’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다.

                                                         <참고문헌>

  1. 금동근·이훈구, “최치원에 빠진 崔英成 교수”, 동아일보, 2009.9.23일자.

  2. 조종엽, “목은 이색 문집서 ‘천부경’ 언급… 고려말에 이미 존재한 정황”, 동아일보, 2018.9.27일자. A25면.

  3. 辛相龜, “운초 계연수 선생의 생애와 업적”, 증산도 자유게시판, 2021.1.21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310 2018.04.12
2265 대전 영시축제, 성공적 개최를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480 2024.08.08
2264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사진 신상구 400 2024.08.08
2263 역사 속 활과 화살 사진 신상구 826 2024.08.08
2262 광복, 소중한 유산 신상구 436 2024.08.08
2261 고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 여사 별세 50주년 회고 중앙일보 대담 신상구 475 2024.08.08
2260 충청에 스민 동악 이안눌의 문향 신상구 476 2024.08.07
2259 국문학자 조동일의 보물 3가지 신상구 537 2024.08.07
2258 <특별기고>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 사진 신상구 442 2024.08.06
2257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446 2024.08.05
2256 대전광역시 중구 목척 5길 244 한암당(寒闇堂)을 아시나요 신상구 632 2024.08.05
22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53 2024.08.04
2254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사진 신상구 613 2024.08.03
2253 대구 청라언덕이 키운 예술 자부심, 한국전쟁 때 꺾여 사진 신상구 419 2024.08.03
2252 일제강점기 '여공'들 조명한 다큐 '조선인 여공의 노래' 7일 개봉 사진 신상구 625 2024.08.02
2251 '서편제' 주인공들이 부른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토리 노래 사진 신상구 726 2024.08.02
2250 시는 언어의 사원이 아니다 사진 신상구 409 2024.08.02
2249 40세 ‘불혹’ 김정은, 11세 어린 딸 김주애를 후계자로 파격 내정? 사진 신상구 520 2024.08.02
2248 탈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유일한 답이다 사진 신상구 473 2024.08.01
2247 『사주는 없다』쓴 이재인 박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550 2024.08.01
2246 화가 황주리의 현대사 보물 사진 신상구 488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