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천재의 시대를 맞은 한국 청년들에게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1.05 03:05

                                                          천재의 시대를 맞은 한국 청년들에게

  지난 몇 년 사이 조금씩 신문을 멀리하기 시작했다. 나도 신문에 글을 쓰던 사람이었으나, 마지막에는 그것도 스스로 그만두었다. 신문을 보는 일이 즐겁지 않았기 때문이다. 언론이 선동하지 않아도, 우리의 삶은 충분히 불행하다. 그런데 아침에 일어나 신문이나 방송 또는 인터넷 포털에서 접하는 세상 소식이 온통 비관과 증오의 잿빛 언어로 채워져 있으니, 바깥세상의 불행에 더해 내면의 풍경까지 덩달아 우울해져 갔다. 하지만 그렇게 우울한 마음으로 세상을 밝게 만들 수는 없다. 세상을 밝고 행복하게 만들려면, 자기 자신이 밝고 행복해야 한다. 절망 속에서도 희망해야 한다. 역사에 대한 믿음과 희망을 잃으면, 세상을 좋게 바꾸겠다고 동분서주하던 사람도 결국은 지치고 변절하게 된다. 그래서 자기는 머리 둘 곳도 없노라던 예수도 제자들에게 항상 기뻐하고 감사하라고 가르쳤고, 우리의 동학의 스승들도 형장의 이슬로 사라질 운명 앞에서도 공경과 성실과 믿음 가운데 믿음이 가장 먼저라고 가르쳤던 것이다. 그러니, 다시는 쓰지 않으려던 신문글을 다시 쓰게 된 지금, 나는 세상에 대해 필요한 비판은 다른 분들께 맡기고,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그리고 슬픔 속에서도 기쁨에 대해 말하려 한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다. 여러 해 전부터 나는 강의실에서 학생들에게 한국인들에게 21세기는 천재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그리고 그 세기의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이라고 말해 왔다. 무슨 허황한 말인가 싶겠지만, 우리는 서양에서 학자들이 모두 라틴어로 학문을 하던 중세가 끝나고 모국어로 학문과 예술을 하기 시작한 뒤에, 한 백 년쯤 지나면 천재의 세기가 시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영국의 셰익스피어와 로크, 프랑스의 몽테뉴와 데카르트 그리고 독일의 칸트와 괴테가 대표적인 경우인데, 이들은 느닷없이 출현한 천재가 아니고, 그들이 속한 민족공동체가 모국어로 학문과 예술을 하기 시작한 뒤에 일정한 성숙의 시간을 거쳐 영근 열매였다.

   하지만 모국어로 학문과 예술을 한다고 해서 모든 민족이 똑같이 뛰어난 천재들을 배출하는 것은 아니다. 차이가 무엇일까? 나는 그것이 다른 무엇보다 언어와 역사에 있다고 생각한다. 하이데거가 말했듯이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말글이 달라지면, 세상도 다르게 보인다. 말글의 고유한 개성은 생각의 개성으로 나타나고, 말글이 담아내는 소리와 의미의 폭은 생각의 개방성과 보편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말글의 정밀함은 생각의 정밀함으로 나타난다. 말글이 열려 있으면 생각도 열려 있게 되고 생각이 열려 있으면 세상을 편견 없이 보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편견 없이 열린 시야로부터 모두에게 공감을 주는 새로운 생각도 출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말글의 성격이 생각의 성격을 규정하기 때문에, 말글 역시 갈고 닦아야 한다. 어떤 민족이든 모국어로 학문과 예술을 하기 시작한 뒤에 일정한 성숙의 시간이 필요한 까닭도, 비범한 아름다움과 심오한 학문을 모국어로 담아내기 위해서는 그렇게 말글을 갈고 닦는 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차이를 낳는 또 다른 원인은 역사이다. 똑같이 모국어로 학문과 예술을 하더라도 어떤 역사를 살아왔느냐에 따라 민족의 정신세계가 달라진다. 이런 사정은 개인이나 민족이나 마찬가지인데, 부모 잘 만나 고생 없이 살아온 사람이 온갖 고생을 겪고 그것을 스스로 이겨낸 사람에 비해 아무려면 그 생각이 얕을 수밖에 없는 것처럼, 제국주의적 침략으로 축적한 국부에 기대어 걱정 모르고 살아온 민족이, 처절한 수난의 역사를 방탄소년단 노래 제목처럼 ‘피 땀 눈물’로 스스로 이겨낸 민족보다 그 정신이 더 심오할 수는 없는 일이다. 정신의 깊이는 오직 고통의 깊이이기 때문이다.

   함석헌은 ‘뜻으로 본 한국 역사’에서 우리의 역사를 수난의 역사로 규정하면서, "쓰다가 말고 붓을 놓고 눈물을 닦지 않으면 안 되는 이 역사 ... 써 놓고 나면 찢어버리고 싶어 못 견디는 이 역사"라고 탄식했다. 여러 가지 면에서 세계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나라가 된 지금, 이런 수난 사관은 낯설게 보이지만, 세상에 어떤 다른 민족이 지난 200년 역사 동안 한국 민족보다 더 많은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렸다고 자부할 수 있겠는가? 우리가 흘린 수난의 피, 저항의 눈물 그리고 근면한 노동의 땀은 세계사에서 유례가 없는 것이었다고 나는 감히 생각한다.

   정약종의 ‘주교요지’ 그리고 최제우의 ‘용담유사’에서 한글이 학문언어로 쓰이기 시작한 뒤에 벌써 한 세기가 훨씬 지났다. 그사이에 우리는 여러 번 지옥을 다녀왔으나, 한국인들은 지옥에서도 남에게 배우는 것을 멈추지 않았고, 자기 언어로 노래하는 것을 포기하지 않았다. 우리는 베토벤의 음악을 두고 고통에서 환희로 나아간 기록이라고 칭송하지만, 한국인은 한 개인이 아니라 민족 전체가 절망적 고통의 가시덤불을 속에서도 만해의 시구처럼 "슬픔의 힘을 옮겨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이부"어온 겨레이다. 그렇다면 우리에게도 베토벤 같은 천재가 나오지 않을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그렇게 생각하면서, 나는 소월이 ‘나의 집’에서 노래했던 것처럼 "지나가는 길손을 눈여겨보며 그대인가고, 그대인가고" 기다렸다. 때가 되면 인류를 울리는 정신의 숭고와 깊이를 보여줄 사람이 우리 가운데서 나타나리라 굳게 믿으면서.

   ‘기생충’에 이어 ‘오징어게임’이 온 세상 사람들을 울리는 것을 보면서 나는 비로소 내가 그렇게도 고대하던 천재의 세기가 오늘날 한국의 영상 예술가들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실감한다. ‘오징어게임’이 그려 보이는 세계는 그리스 비극이나 셰익스피어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이다. 나는 그것을 다음 글에서부터 자세히 말하려 하거니와, 우리에겐 그리도 진부해 보이는 그 신파적 미학 속에서, 오랫동안 인류가 암중모색해왔지만 명확하게 직관하지는 못했던 새로운 세계에 대한 전망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한류의 확산은 그 전망이 보편적 설득력을 얻어가는 과정이다.
                                                                                          <참고문헌>
   1. 김상봉, "천재의 시대를 맞으며", 충청투데이, 2022.1.4일자. 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7 2018.04.12
2265 대전 영시축제, 성공적 개최를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497 2024.08.08
2264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사진 신상구 413 2024.08.08
2263 역사 속 활과 화살 사진 신상구 849 2024.08.08
2262 광복, 소중한 유산 신상구 453 2024.08.08
2261 고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 여사 별세 50주년 회고 중앙일보 대담 신상구 491 2024.08.08
2260 충청에 스민 동악 이안눌의 문향 신상구 493 2024.08.07
2259 국문학자 조동일의 보물 3가지 신상구 555 2024.08.07
2258 <특별기고>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 사진 신상구 463 2024.08.06
2257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454 2024.08.05
2256 대전광역시 중구 목척 5길 244 한암당(寒闇堂)을 아시나요 신상구 648 2024.08.05
22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88 2024.08.04
2254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사진 신상구 630 2024.08.03
2253 대구 청라언덕이 키운 예술 자부심, 한국전쟁 때 꺾여 사진 신상구 432 2024.08.03
2252 일제강점기 '여공'들 조명한 다큐 '조선인 여공의 노래' 7일 개봉 사진 신상구 642 2024.08.02
2251 '서편제' 주인공들이 부른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토리 노래 사진 신상구 752 2024.08.02
2250 시는 언어의 사원이 아니다 사진 신상구 424 2024.08.02
2249 40세 ‘불혹’ 김정은, 11세 어린 딸 김주애를 후계자로 파격 내정? 사진 신상구 536 2024.08.02
2248 탈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유일한 답이다 사진 신상구 486 2024.08.01
2247 『사주는 없다』쓴 이재인 박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568 2024.08.01
2246 화가 황주리의 현대사 보물 사진 신상구 508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