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18세기 ‘노비詩人 정초부’ 한시집 발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3.09 01:54

                                                                    18세기 ‘노비詩人 정초부’ 한시집  발견



                                   ■ 성균관대 안대회 교수, 90여 수 담긴 ‘초부유고’ 발굴

      
정초부가 지은 약 90수의 시가 들어 있는 초부유고(樵夫遺稿) 일부. 가는 글씨로 베껴 쓴 필사본 형태다. 당대의 문인인 정약용 박제가 이학규의 작품들과 한 책에 묶여 있다. 안대회 교수 제공

    조선시대 노비가 지은 한시집이 발굴됐다. 조선 정조 때 활약했던 노비 시인 정초부(鄭樵夫·1714∼1789·‘정씨 나무꾼’이라는 뜻)의 한시집 ‘초부유고(樵夫遺稿)’로 약 90수의 한시가 실려 있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는 27일 그동안 다른 문헌을 통해 그 존재만 알려졌던 ‘초부유고’를 고려대 도서관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초부유고는 18세기 일급 문인으로 분류되는 정약용 박제가 이학규 등 4명의 시만 골라 묶은 필사본 시집 ‘다산시령(茶山詩零)’에서 발견돼 정초부의 명성이 대단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지금까지는 정초부의 주인이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았으나 안 교수가 이번에 여춘영(呂春永·1734∼1812)의 문집 ‘헌적집(軒適集)’도 함께 찾아냄에 따라 그의 생몰연도, 정초부와 주인의 관계 등이 명확해졌다.

    정초부의 이름은 봉(鳳)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번에 발굴된 초부유고에는 이재(彛載)라는 이름으로도 나온다. 정초부는 부모 모두 노비였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노비 출신으로 젊은 나이에 양인이 된 홍세태(洪世泰·1653∼1725)나 18세기 또 다른 노비 시인으로 불리는 이단전(李亶佃·1755∼1790)의 아버지가 노비가 아니었던 것과 다른 점이다. 안 교수는 “조선 전체를 통틀어 노비 시인으로 불릴 만한 작가는 5, 6명이지만 완전한 의미에서 노비 시인의 작품집이 발견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정초부의 주인이었던 여춘영은 조선 후기 문벌가문의 일원으로서 자기보다 스무 살 많았던 노비 정초부를 인간적으로 대등한 관계로 대했다. 여춘영은 1789년 정초부가 76세로 사망하자 만시(輓詩) 12수를 남겼는데, 그 가운데 “어릴 때는 스승, 어른이 되어서는 친구로 지내며, 시에서는 오로지 내 초부뿐이었지(少師而壯友, 於詩惟我樵)”라는 구절이 나와 두 사람의 돈독했던 관계를 짐작하게 한다.

단원 김홍도의 도강도(혹은 도선도). 정초부가 동호의 풍경을 읊은 시가 쓰여 있다. 정초부의 시는 당대에 회자되면서 글자가 고쳐지기도 했는데 맨 앞 글자가 원문과 달리 높을 고(高)자로 돼 있다. 그림 출처 진준현 저 ‘단원 김홍도 연구’

    정초부의 재능을 한양의 사대부 사회에 널리 퍼뜨릴 정도로 그의 재주를 아꼈던 여춘영은 정초부가 죽자 자신의 아들 둘을 데리고 정초부의 무덤을 찾아가 그를 기리는 제문을 짓기도 했다.
    정초부는 나무를 하는 노비였다. 어린 시절 낮에는 나무를 하고 밤에는 주인집 자제들이 배우는 글을 어깨너머로 배웠다. 정초부가 어린 시절 읊는 한시를 외우는 것을 본 주인이 이를 기특하게 여겨 한자를 가르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시는 서정성이 풍부하고 회화적인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 한강 동호대교 부근의 풍경을 읊은 시는 당대에 특히 유명해 단원 김홍도가 ‘도강도(혹은 도선도)’를 그릴 때 그림의 시구(화제·畵題)로 사용했다.
    안 교수는 “정초부는 천부적 재능이 있어 한시를 지었지만 학문이 깊지는 않아 교양인이라면 누구나 알 만한 글자로 시를 지었다. 이 때문에 오히려 많은 사람이 더 친숙하게 받아들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초부가 시를 잘 짓는 노비로 명성을 얻음에 따라 그가 살던 양근현(지금의 경기 광주시 남종면 수청리)에는 길을 지나던 사대부들이 그를 보러 그의 집을 방문하곤 했다. 가까이 살던 수원 부사를 지낸 김상묵(金尙默·1726∼1779)도 그와 친분을 나누었다. 당대 노론 사대부의 폐쇄적 시회였던 ‘동원아집(東園雅集)’에 불려가 고관을 지낸 인사들과 함께 시를 짓기도 했다.
    안 교수는 “그가 남긴 약 90수의 시는 서정적이고 조금은 우수에 찬 느낌”이라며 “노비가 한시작가로 두각을 나타낸 현상은 18세기 조선 문화계에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던 시기였음을 보여주는 표지”라고 말했다.
                                                                        <참고문헌>
   1. 허진석, "18세기 ‘노비詩人 정초부’ 한시집 찾았다", 동아일보, 2011.2.28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7 2018.04.12
2265 대전 영시축제, 성공적 개최를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497 2024.08.08
2264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사진 신상구 413 2024.08.08
2263 역사 속 활과 화살 사진 신상구 849 2024.08.08
2262 광복, 소중한 유산 신상구 453 2024.08.08
2261 고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 여사 별세 50주년 회고 중앙일보 대담 신상구 491 2024.08.08
2260 충청에 스민 동악 이안눌의 문향 신상구 493 2024.08.07
2259 국문학자 조동일의 보물 3가지 신상구 555 2024.08.07
2258 <특별기고>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 사진 신상구 463 2024.08.06
2257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454 2024.08.05
2256 대전광역시 중구 목척 5길 244 한암당(寒闇堂)을 아시나요 신상구 648 2024.08.05
22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88 2024.08.04
2254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사진 신상구 630 2024.08.03
2253 대구 청라언덕이 키운 예술 자부심, 한국전쟁 때 꺾여 사진 신상구 432 2024.08.03
2252 일제강점기 '여공'들 조명한 다큐 '조선인 여공의 노래' 7일 개봉 사진 신상구 642 2024.08.02
2251 '서편제' 주인공들이 부른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토리 노래 사진 신상구 752 2024.08.02
2250 시는 언어의 사원이 아니다 사진 신상구 424 2024.08.02
2249 40세 ‘불혹’ 김정은, 11세 어린 딸 김주애를 후계자로 파격 내정? 사진 신상구 536 2024.08.02
2248 탈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유일한 답이다 사진 신상구 486 2024.08.01
2247 『사주는 없다』쓴 이재인 박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568 2024.08.01
2246 화가 황주리의 현대사 보물 사진 신상구 508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