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 시조의 세계화 박차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3.03 19:21

                                                                                  한국 시조의 세계화 박차


    천년을 이어 온 한국문학의 정수인 시조를 각 국의 언어로 번역, 세계화를 꿈 꾸는 문인들이 있어 화제다.

    3장 6구 12음보로 대변되는 한국 정형시조를 세계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한국 시조의 세계화', 그 중심에 선 김민정 한국문인협회 시조분과회장은  1959년 5월 3일, 강원도 삼척 출신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시조문학진흥회 부이사장, 상지대학교대학원 강사로 활약하고 있다.  


    김 회장은 시조를 우리 민족의 사상과 얼을 품고 천 년 이상 명맥을 잇고 있는 '우리 겨레만의 독특한 문학'으로 표현했다. 유럽의 '소네트', 중국의 '율시', 일본에 '하이쿠'가 있다면 한국에는 시조가 있다는 뜻이다.

    시조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 "우리 민족의 생활과 정서에 잘 맞고, 언어의 구조가 시조형과 잘 부합이 된다"며 "우리의 언어를 살펴보면 3-4글자로 이뤄진 단어나 어절이 많은데, 이것이 시조의 음수율에 잘 들어맞아 시조 짓기가 쉬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쉽게 짓고, 감상하며 향유할 수 있어 자랑스럽게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한국문학이 아닐까 한다"며 "이를 인식해서인지 최근 타문학 장르에서도 시조에 관심을 갖고 있고, 창작과 발표활동이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고 말했다.

    시조의 세계화 방향을 묻는 질문에 김 회장은 "더 많은 세계인들이 시조를 알고, 사랑하고, 창작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를 위해 만국공통어인 영어로 번역하면서 3장 6구 12음보를 맞춤으로써 세계인들에게 '시조를 가장 시조답게'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고 전했다. 이달 말에는 스페인어로 번역한 333인의 시조를 엮은 시조집 '시조엔솔로지'가 발간되며, 4월부터는 아랍어영어 번역도 진행될 예정이다.

    하반기부터는 시조의 국내 활성화에도 힘써 현대시조의 교과서, 언론·잡지 등 게재 문제, 시조단체의 규합 등 시조계가 안고 있는 문제점 등을 조금씩 개선해 갈 방침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할 것"이라고 강조한 김 회장은 "우수한 문자로 인정받는 한글로 창작되는 시조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유네스코에 자랑스런 한국의 기록문화유산으로 남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참고문헌>
    1. 박상원, 한국 시조 세계화에 날개 달다", 대전일보, 2021.3.3일자. 16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30 2018.04.12
2265 대전 영시축제, 성공적 개최를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474 2024.08.08
2264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사진 신상구 395 2024.08.08
2263 역사 속 활과 화살 사진 신상구 817 2024.08.08
2262 광복, 소중한 유산 신상구 432 2024.08.08
2261 고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 여사 별세 50주년 회고 중앙일보 대담 신상구 470 2024.08.08
2260 충청에 스민 동악 이안눌의 문향 신상구 470 2024.08.07
2259 국문학자 조동일의 보물 3가지 신상구 531 2024.08.07
2258 <특별기고>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 사진 신상구 434 2024.08.06
2257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442 2024.08.05
2256 대전광역시 중구 목척 5길 244 한암당(寒闇堂)을 아시나요 신상구 625 2024.08.05
22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44 2024.08.04
2254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사진 신상구 607 2024.08.03
2253 대구 청라언덕이 키운 예술 자부심, 한국전쟁 때 꺾여 사진 신상구 415 2024.08.03
2252 일제강점기 '여공'들 조명한 다큐 '조선인 여공의 노래' 7일 개봉 사진 신상구 613 2024.08.02
2251 '서편제' 주인공들이 부른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토리 노래 사진 신상구 714 2024.08.02
2250 시는 언어의 사원이 아니다 사진 신상구 405 2024.08.02
2249 40세 ‘불혹’ 김정은, 11세 어린 딸 김주애를 후계자로 파격 내정? 사진 신상구 512 2024.08.02
2248 탈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유일한 답이다 사진 신상구 468 2024.08.01
2247 『사주는 없다』쓴 이재인 박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538 2024.08.01
2246 화가 황주리의 현대사 보물 사진 신상구 479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