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부마항쟁의 역사적 교훈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3.02 19:17

                                                                               부마항쟁의 역사적 교훈

한국일보

부마항젱당시 유신철폐등을 외치며 시내를 행진하고 있는 대학생들. 김탁돈 촬영,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제공.


    현대 한국 정치의 지역주의가 원래부터 호남 대 영남의 대결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은 무엇인가. 내가 대학에서 근 30년 가르친 한국정치론 기말고사에 언제나 냈던 문제다. 비록 선후배 간의 ‘계보’로 이 문제가 전해져 학생들이 미리 답을 알게 되더라도 학생들이 꼭 알게 하고 싶어 매년 낸 문제다. 답은 ‘1979년 10월 부마(민주)항쟁’이다.
    그렇다. 우리는 영남을 하나라고 생각하면서 우리의 지역주의가 ‘영남 대 호남의 갈등’이라고 생각하지만, 대구경북의 박정희정권을 무너트린 것은 호남이 아니라 같은 영남인 부산과 마산이었다. 우리의 통념과 달리,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은 1990년 3당 통합까지는 정치적 성향이 서로 대립하는 지역이었다. 1987년까지는 한국정치가 지역주의로 움직이지 않았고, 설사 지역주의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민주 대 반민주의 변형이었다.
   군사독재의 기반은 박정희 고향인 대구경북, 육영수와 김종필의 고향인 충청이었다. 부산경남은 야당이었던 김영삼의 기반이었던 만큼 김대중의 고향이었던 호남과 함께 민주세력을 지지했다. 다시 말해, 민주화 이전의 지역갈등은 '대구경북+충청' 대 '호남+부산경남'이었다.
    '억눌린 우리 역사/터져 나온 분노/매운 연기 칼바람에도/ 함성소리 드높았던/동트는 새별/시월이 오면/핏발선 가슴마다/살아오는 십일육/동지여 전진하자/제치고 나가자/뜨거운 가슴으로/빛나는 내일로.' 부산 금정구에 위치한 부산대 새벽별도서관 앞에 서자, 이 같이 쓰인 ‘10·16 부마민중항쟁탑’이 나를 맞았다.
                      2019년 부마항쟁 40주년을 맞아 시민들이 함께 만든 걸개그림.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제공

    유신이 기승을 부리던 1979년 10월 16일, 이 도서관 앞에 모인 학생들은 ‘유신타도’와 ‘독재철폐’를 외쳤다. 이들이 대열을 갖춰 학교를 돌자 시위대는 급속히 늘어났고 이들은 정문을 통해 시내로 진출하려 했다. 경찰은 이를 저지하고 학내로 진입했다. 분노한 학생들은 5,000여명으로 늘어나 담을 부수고 광복동 등 중심가로 진출했다. 시민들도 동참하기 시작했다. 특히 중국집 배달원, 술집 종업원, 노동자, 구두닦이 등 도시 하층민이 적극 참여했다. 시위대는 파출소들을 공격했고 걸려있던 박정희 사진을 꺼내다 불태웠다. 한국 사회를 옥죄어온, ‘가장 악랄한 독재체제’인 유신의 종말이 시작된 것이다. 
    시위는 다음날에도 이어져 경남도청, KBS, 부산일보 등이 공격을 받았고 10월 18일에는 마산으로 번져갔다. 경남대 학생들이 시작한 시위는 창원과 수출자유공단의 노동자들이 가세했고 부산보다 격렬해져 민주공화당사, 방송국, 경찰서가 불탔다. 박정희는 이 지역에 비상령과 위수령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투입할 수밖에 없었다.
    놀란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은 유신 완화를 건의했다. 그는 박정희가 자신이 직접 발포명령을 내리겠다고 말하고 차지철 경호실장이 “탱크로 싹 뭉개버리지요”라고 동조하자 이들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 박정희의 죽음과 유신의 붕괴를 가져온 직접적인 사건은 10월 26일 궁정동의 ‘그때 그 사람’ 파티지만, 그 날 폭발한 김재규와 박정희·차지철의 갈등을 가져온 것은 바로 부마항쟁이라는 점에서 부마항쟁이 유신붕괴의 진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일보

부산 마산을 대표하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 유세를 보러 몰려든 부산 지역 시민들을 향해 손을 들어 화답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그럼 부마항쟁은 왜 일어났는가. 이는 전국적인 배경으로 장기독재와 억압에 대한 국민적인 분노, 나아가 중화학공업의 과잉중복투자에 겹쳐 터진 제2차 오일쇼크에 따른 경제위기였다. 문제는 왜 하필 부산과 마산이냐는 것이다. 5·18민주화운동이 김대중 구속과 밀접한 관련이 있듯 부산·마산을 대표하는 정치인 김영삼을 국회에서 제명한 것이 촉발제가 됐다.
    1979년 10월 초, 경제위기로 임금을 못 받은 가발수출업체 YH무역 여공들이 야당인 신민당사에서 농성을 했다. 박정희 정권이 경찰을 투입해 당직자를 포함해 무차별로 폭력을 가하고 끌어내자, 화가 난 김영삼 신민당 총재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런 독재정권을 왜 미국이 지원하느냐고 비판했다. 박정희 정권은 이를 이유로 의정 사상 처음으로 야당 당수를 제명했다. 이는 결국 부마항쟁을 폭발시켰다. 부마항쟁은 박정희의 유신체제를 붕괴시키는 엄청난 공을 세웠지만,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12·12 군사쿠데타로 군을 장악한 뒤 야금야금 권력을 장악하는 다단계 쿠데타와 비극적인 광주학살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박정희 없는 유신체제’를 계속했다. 이 점에서 부마항쟁과 광주의 5·18민주화운동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2019년 부마항쟁 40주년을 맞아 시민들이 함께 만든 걸개그림.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제공

   부마항쟁 기념물의 꽃은 부산중심부에 위치한 중앙공원(용두산에 있다고 해서 흔히 용두산공원이라고 부른다) 안에 만들어진 부산민주공원과 민주항쟁기념관이다. 이는 부마항쟁 20주년인 1999년 10월 16일 개관한 것으로, 4·19혁명과 부마항쟁, 1987년 6월 항쟁을 기리고 있다. 이 중 4·19와 6월 항쟁이 전국적인 항쟁이었다는 점에서, 강조점은 부마항쟁이다. 4·19광장과 4·19희생자 위령탑을 지나 언덕으로 올라가면 기념관이 나온다. 
    기념관 안에는 부산의 역사를 간단히 정리해놓았고 부산의 민주화 기념물들도 지도에 잘 정리해 놓았다. 이어 크게 쓰여 있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글을 보자 왠지 가슴이 뭉클해졌다. ‘모든 권력은 박정희로부터 나온다’에서 1987년 민주화 이후 사당정치와 지역주의에 기초한 3김정치가 본격화하면서 ‘3김으로부터 나온다’를 거쳐 이제 정말로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인가. 기념관으로 더 걸어 들어가면, 4·19에서 부마항쟁, 1987년 6월 항쟁, 그리고 촛불로 이어지는 한국 민주화 운동의 역사가 잘 요약, 정리돼 있다.
    이제 부산 중심가에는 민주공원이 생겼고, 정부는 2019년 부마항쟁이 일어난 10월 16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부마항쟁이 국가적 차원에서 정당하고 자랑스러운 ‘민주항쟁’으로 완전히 복권이 됐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부마항쟁은 반년 뒤에 있었던 5·18민주화운동에 비해 별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사실 5·18민주화운동을 모르는 국민들은 없어도 부마항쟁을 모르는 국민들은 많다.
한국일보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 현장검증에서 당시 중정부장인 김재규가 박대통령을 시해하는 장면을 재현하는 모습. 연합뉴스


    물론 부마항쟁은 박정희 유신체제 붕괴에 큰 기여를 했다. 사망자도 있었고 적지 않은 사람들이 부상을 당하고 구속됐다. 그러나 수백명이 학살당한 광주의 비극에 비하면, 부마항쟁의 희생자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따라서 부마항쟁이 5·18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마항쟁이 5·18에 비해 별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은 그것 때문만이 아니다. 민주공원 건립, 기념일 제정 등 부마항쟁을 기념하는 여러 노력이 이뤄졌지만, 일반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부마항쟁이 별로 ‘자랑할 거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1990년 3당 통합으로 자신들이 지지하던 김영삼이 보수정당과 한 몸이 된 뒤 부산·마산은 정치적 노선을 바꾸어 보수정당을 지지하는 지역이 됐다. 즉 박정희의 ‘후예’인 이명박, 박근혜, 그리고 이들의 보수정당을 지지하는 지역이 된 것이다.
    이처럼 박정희의 노선을 이어받는 보수정당을 지지하고, 나아가 박정희를 숭배하는 현재의 정치적 입장이 옳다면, 이 같은 ‘민족적인 영웅’에 저항해 경찰서와 방송국을 파괴하는 등 폭력시위를 벌이고 결국 이 ‘불세출의 지도자’를 죽음으로 몰고 간 부마항쟁, 그리고 이를 주도한 부산과 마산 시민들은 한국현대사에 엄청난 죄를 진 ‘민족반역자’에 다름 아니라는 이야기다. 한마디로, 부산은 부마항쟁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현재의 보수적인 정치 노선’ 간에 일종의 ‘자아분열’에 걸려있는 셈이다. 박근혜의 탄핵을 가져온 촛불항쟁과 이 지역 출신인 문재인 정부의 출범으로 이 같은 자아분열에 변화가 생기는 것 같더니, 2020년 총선이 보여주듯 부산의 보수 지지는 계속되고 있다.
한국일보
                                        2019년 부마항쟁 40주년을 맞아 시민들이 함께 만든 걸개그림.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민주공원이 위치한 용두산에 서서 남포동, 광복동 그리고 부산 앞바다를 내려보고 있자 과거의 역사로 박제되어 민주공원 속에 갇혀버린 ‘민주도시 부산’의 기상이 그립기만 하다. 나는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을 고쳐 부르며 용두산을 내려왔다. “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민주’ 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 우네/(중략)/돌아와요 부산항에 그리운 내 ‘민주’여”
                                                                                          <참고문헌>

    1. 손호철, "부마항쟁은 아직도 부산의 자랑스러운 역사인가", 한국일보, 2021.3.1일자. 19면.


시청자 게시판

2,107개(9/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056 2018.04.12
1946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66.3세 사진 신상구 336 2022.07.30
1945 당장 내년 내국인 5000만명 깨져… 3년뒤 학령인구 94만명 급감 사진 신상구 280 2022.07.30
1944 7.27 휴전협정(休戰協定) 을 맞이하여 신상구 388 2022.07.29
1943 백제 왕궁 조경 사진 신상구 559 2022.07.29
1942 연극 <관객 모독> 공연 이야기 신상구 235 2022.07.26
1941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 시스터즈’, 나라 사진 신상구 364 2022.07.22
1940 과거를 이해해야 앞날을 현명하게 구상한다 신상구 254 2022.07.22
1939 인하대 복기대 교수 한국 최초의 시민역사박물관 우리겨레박물관 개관 사진 신상구 520 2022.07.22
1938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복기대 교수, 고향인 충남 홍성에 '우리겨레박물 사진 신상구 328 2022.07.22
1937 4∼6년 후 노벨상 화학상 수상 기대 사진 신상구 289 2022.07.21
1936 1904년 한일의정서 한 장에 사라진 용산 둔지미 마을 사진 신상구 505 2022.07.21
1935 <특별기고> 제74주년 제헌절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285 2022.07.21
1934 신 기술패권, 자원안보 시대에 총력 대응해야 사진 신상구 202 2022.07.20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51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70 2022.07.18
1931 김진표 국회의장, '제74주년 제헌절' 경축사 전문 신상구 287 2022.07.18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66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41 2022.07.16
1928 신선이 노는 복되고 신성한 땅, 경주 낭산 사진 신상구 289 2022.07.15
1927 대전은 스토리의 보고 신상구 264 20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