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유관순 발굴 과정의 검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25 20:20

                                                                                유관순 발굴 과정의 검토
                            
   많은 국민이 유관순(1902~1920)을 3․1운동의 상징으로 여긴다. 이런 유관순에 대해 이화학당 출신 ‘친일’ 인사들이 해방직후 자신의 과오를 덮기 위해 유관순을 세상에 알리고 기념사업을 펼쳤다는 주장이 있다. 그 지적의 타당함을 살펴보기 위해 유관순의 발굴 과정을 검토했다. 유관순의 독립만세운동이 해방 후 어떻게 알려지고, 누구에 의해 어떤 목적으로 기념사업이 이뤄졌는가를 알아봤다. 유관순은 3․1운동과 관련돼 서대문감옥에 수감된 학생 71명 중 가장 무거운 3년 징역형을 받았다. 이 중 감옥에서 순국한 학생은 유관순뿐이었다. 유관순은 옥중시위를 주도해 혹독한 고문을 받았고 이 때문에 옥사했다. 그의 불굴의 독립정신은 북한도 높이 평가해 역사책에 싣고 있다. 유관순은 1947년 2월 28일 『경향신문』에 실린 박계주의 ‘순국의 처녀’를 통해 처음 알려졌다. 당시 남북 분단 위기의 한반도 정치 상황은 애국소녀 잔 다르크와 같은 인물을 필요로 했다. 박계주가 처음으로 유관순을 잔다르크로 표현했듯이 당시 교과서 편찬 담당자들도 청소년들 애국심을 일으키려 잔다르크처럼 활동한 학생을 찾고 있었다. 유관순의 등장을 이화학당 출신들만이 바랐던 건 아니었다. 유관순 발굴과 함께 국민적 관심이 쏠려 곧바로 기념사업회가 결성되고 영화․傳記가 만들어졌다. 기념사업회가 먼저 조직되고 유관순이 알려진 게 아니었다. 기념사업회는 유관순 모교인 이화 출신 ‘친일’ 인사들도 참여했지만 독립지사, 同鄕 및 고흥 유씨 親族 인사들이 적극 참여해 발족됐다. 영화․전기 제작도 동향 인사 및 친족들이 있어 가능했다. 1947년 11월 27일 천안 병천의 아우내만세운동기념비 제막식 날, 김구․이시영 등 독립지사들은 유관순 추도사를 헌정했다. 이들은 추도사에서 南北으로 나뉜 한반도 상황에 대해 순국선열에게 죄스러움을 보이며 민족 통일 즉 완전 독립 완수를 맹서했다. 그리고 유관순이 ‘호국의 신’ ‘겨레의 수호신’이 되어 도와주길 기원했다. 기념사업회 결성과 모든 기념사업 배경에는 남북 분단 위기 상황에서 애국심을 고양시켜 민족 통합을 이루려는 목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Many Koreans consider Yu Gwansun(1902~1920) as a symbol of the March 1 movement. It is argued that Yu Gwansun is announced the world by some ‘pro-Japanese’ of Ewha Womans school in order to cover their mistakes shortly after liber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intellectual point of view, I reviewed the process of excavation. I looked through how Yu Gwansun's independence movement was known after liberation, and by whom it was commemorated for what purpose. Yu Gwansun received the heaviest sentence of three years imprisonment among 71 students who were detained in Seodaemun Prison in connection with the March 1 movement. Of these, only the student who died in prison was Yu Gwansun. Yu Gwansun led the prison protest and was severely tortured, and so she died. Her indomitable spirit of independence is highly appreciated by North Korea and published in history books. Yu Gwansun was first known on February 28, 1947, by Park Gyejoo's ‘Virgin of Sunguk(殉國)’ in Kyung Hyang Newspaper. At that time, the political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eemed to have required a character such as the Patriot Girl Joan of Arc. As Park Gyejoo first described Yu Gwansun, the textbook editorial staff at the time was also looking for a student who was active as Joan of Arc. The appearance of Yu Gwansun was not only what the people of Ewha want. With the excavation of Yu Gwansun, a commemorative business association was formed and a movie and biographical writings were made. After the commemoration business association was organized, she was not known. The commemorative committee also participated in the ‘pro-Japanese’ people from Ewha, old school of Yu Gwansun, but the fighters for independence, the person from the same province and same family name clan also actively participated. On November 27, 1947, when the independence movement Monument was unveiled, the fighters for independence pay a tribute to the memory of Yu Gwansun. They apologized for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eparated and pledged the completion of national unification. And they prayed that Yu Gwansun would help them to become the 'patron saint of the nation and people'. It can be seen that the commemorative project was aimed at raising patriotism and achieving national unification in the crisis situation of Korean division.
                                                                                       <참고문헌>
  1. 조한필, Review of excavation process about Yu Gwansun, 백산학보,  2019, vol., no.113, pp. 53-79 (27 pages)  

시청자 게시판

2,426개(9/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08 2018.04.12
2265 대전 영시축제, 성공적 개최를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476 2024.08.08
2264 21세기 교육의 방향: 들뢰즈(Deleuze)의 생성적 교육 사진 신상구 396 2024.08.08
2263 역사 속 활과 화살 사진 신상구 822 2024.08.08
2262 광복, 소중한 유산 신상구 434 2024.08.08
2261 고 박정희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 여사 별세 50주년 회고 중앙일보 대담 신상구 473 2024.08.08
2260 충청에 스민 동악 이안눌의 문향 신상구 473 2024.08.07
2259 국문학자 조동일의 보물 3가지 신상구 536 2024.08.07
2258 <특별기고>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 사진 신상구 439 2024.08.06
2257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445 2024.08.05
2256 대전광역시 중구 목척 5길 244 한암당(寒闇堂)을 아시나요 신상구 630 2024.08.05
22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647 2024.08.04
2254 김진현 “단군이래 최고 성공 한국, 썩은 리더십에 혼돈” 사진 신상구 611 2024.08.03
2253 대구 청라언덕이 키운 예술 자부심, 한국전쟁 때 꺾여 사진 신상구 416 2024.08.03
2252 일제강점기 '여공'들 조명한 다큐 '조선인 여공의 노래' 7일 개봉 사진 신상구 623 2024.08.02
2251 '서편제' 주인공들이 부른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토리 노래 사진 신상구 724 2024.08.02
2250 시는 언어의 사원이 아니다 사진 신상구 407 2024.08.02
2249 40세 ‘불혹’ 김정은, 11세 어린 딸 김주애를 후계자로 파격 내정? 사진 신상구 518 2024.08.02
2248 탈성장은 선택이 아니라 유일한 답이다 사진 신상구 471 2024.08.01
2247 『사주는 없다』쓴 이재인 박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548 2024.08.01
2246 화가 황주리의 현대사 보물 사진 신상구 484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