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박혁거세 어머니 파소는 부여공주 글쓴이 younbokhye 날짜 2010.05.06 20:19
금와왕의 정치적 탄압을 피하여 동부여에서 부여로 망명한 고추모세력은 부여지역(심양지역)으로 들어와 당시 부여단군 고무서의 총애를 받는다.고무서는 동명성왕 고두막의 아들로 고무서에게는 아들은 없고 딸만 3명 있었다. 고무서는 고추모의 비범함을 알아 보고 둘째 딸과 혼인시키고 단군직을 물려주니 고추모는 부여7대 단군이 되는 것이다.이 때 고추모와 결혼한 공주가 바로 고구려.백제의 개국성모 소서노다.

첫째 딸은 박혁거세를 낳은 파소가 아닌가 싶다.

기독교에서 성모로 추앙받는 마리아처럼 신라인들에게 박혁거세를 낳은 여성이기 때문에 성모로 추앙받고 있는 파소는 [한단고기]기록에 따르면 부여황실의 딸로 부여를 떠나 옥저를 거쳐 한반도남부진한지역으로 들어왔다고 기록하고 있다.

KBS역사스폐셜에서 자세히 다룬 바 있지만, 경주지역에는 박혁거세가 탄생한 우물터의 유적이 발굴되기도 하였다. [삼국사기]는 이러한 박혁거세의 출생비밀을 감추고 하늘에서 내려온 알에서 태어난 아이로 기록해 놓고 있다. 박혁거세는 13세에 사로국의 왕위에 오르면서 거서간이라고 칭했는데 아마도 거서간은 부여의 서쪽을 지키던 제후였던 아버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파소는 이 거서간(칸)의 아이를 임신하고 부여법(강간.혼전임신은 사형대상)을 피하여 망명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모용선비족이 개국한 신라의 전신이 되는 조선.부여유민의 나라인 사로국이 전라도 김제에서 개국되었다는 소리는 신라사관론자들의 헛소리요, 궤변이라 할 것이다.파소는 부여를 떠나 옥저(함경도)을 거쳐 동해안을 따라 경주지역으로 들어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주는 금성이라고 하는데, 금성은 김성을 의미한다. 즉,한나라에 투항한 흉노왕자 김일제가 한무제에게 하사받은 성씨로 흉노족이 금을 숭상했기 때문에 붙여준 성씨다. 김일제 세력이 산동지역에 김씨성을 이루고 살았기 때문에 김성이라 한 것이고, 이들이 신나라가 망한 후에 산동에서 배를 타고 해로를 따라 한반도남부 경주지역으로 들어와 씨족세력을 형성하였고,김씨성으로 개명하고 신라 김씨왕조가 된 모용선비족에 의해서 신라의 도읍지로써 금성(김성)이라는 이름으로 굳건해 졌다고 봐야 한다.

부여에서
기반세력이 부재했던 고추모세력은 황실세력을 등에 업고 권력을 구축하려고 했으나 이에 반기를 들 부여인들은 고추모를 살해하려고 했다.(한단고기)
 
고추모와 소서노는 단군직을 내려 놓고 무리를 이끌고 남하하여 지금의 환인지역 압록강지류 혼강위의 터를 잡고 골본성에 도읍을 정하니 바로 고구려다. 고구려는 초기 비류국 등 주변세력을 하나 하나 규합하면서 성장하였다. 고추모의 다물정신을 이어받은 유리태왕.대무신태왕 등은 한나라와 전쟁을 벌이면서 적극적으로 영토확장과 민족통합에 박차를 가하였고,광개토태왕 시기에 이르러서는 누구도 대항할 수 없는 유라시아 강성대국을 건설했던 것이다.[윤복현]
태그 323

시청자 게시판

2,426개(8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56 2018.04.12
845 조선 중기 최고의 시인이자 비평가였던 백곡 김득신의 생애와 업적 localhi 6224 2015.08.28
844 한국의 풍수사상과 풍수지리학 요체 localhi 3131 2015.08.27
843 고조선의 국학을 되살려내야 진정한 광복이 이루어진다. [2] localhi 3237 2015.09.19
842 위기에 처한 한국경제를 살릴 방안은 없는 것인가 localhi 3151 2015.08.26
841 한국의 진정한 광복을 위한 과제 localhi 2892 2015.08.25
840 독립운동가 범재 김규흥 선생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877 2015.08.24
839 우리 문화재 관리 엉망 localhi 3332 2015.08.22
838 항공대 우실하 교수의 요하문명론 localhi 3912 2015.08.21
837 도산 안창호 선생의 인격혁명론 localhi 2884 2015.08.20
836 광복 70년을 맞이한 대한민국의 현주소 localhi 3021 2015.08.16
835 독립운동 하면 3대가 망한다 localhi 3102 2015.08.15
834 서계 이득윤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446 2015.08.12
833 수암 권상하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279 2015.08.10
832 발해고궁지에 단군전을 건립한 항일독립운동가 백산 안희제 localhi 3724 2015.08.09
831 우봉 이매방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539 2015.08.09
830 어머니전을 시청한 사람입니다 sertyuiogh 2722 2015.08.08
829 김관식 시인의 생애와 업적 localhi 2578 2015.08.06
828 한국 진보경제학의 태두 김수행 박사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673 2015.08.04
827 우암 송시열의 생애와 업적 localhi 4010 2015.08.03
826 세계 500대 기업에 한국은 3개, 중국은 48개로 대조적 localhi 2507 201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