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혼/[동이전]한반도 남부지역 한민족의 삶과 풍습 글쓴이 younbokhye 날짜 2010.03.07 00:44



한국인이라면 한국혼으로

돌아 가야 건강하고 행복하다








한반도는 산이 많고 물이 맑아 금수강산이요,

수행명상하기 좋은 풍류도의 본향이다.

한반도야!

선조와 모든 민족이 너를 의탁하여 성장하였구나..


막힘이 없고 굽힘이 없이 공명하는 풍류는

맑은 우주기운으로 신명이요 신바람이다


 

최치원의 난랑비서문(鸞郞碑序文)에 기록되기를,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라고 한다.( 國有玄妙之道 曰風流)

이 가르침의 근원에 대해서

산 속에서 수행하는

선의 역사에 자세히 실려 있다.( 設敎之源 備詳仙史)

실제로 유.불.선 삼교를 다 포함한 것으로

 

모든 사람들을  교화시킬 수 있었다.(實內包含三敎 接化群生)

 

예컨대 집에 들어오면 집안 어른께 효도하고 (且如入則孝於家)

 

나가면 나라에 충성하였으니

이는 노나라 형조판서(공자孔子)가

가르친 뜻이요, (出則忠於國 魯司寇之旨也)

일을 거리낌없이 처리하고 말없이 실천하는 것은

 

주나라 도서관장(노자)의  가르침에서

비롯되며,(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周柱史之宗也)

모든 악을 짓지 않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하는 것 또한

 

인도태자(석가모니)의 가르침에서

비롯되는 것이다.(諸惡莫作 諸善奉行 竺乾太子之化也)"

 

[삼국지 위지 동이전]한반도 남부지역 한민족의 삶과 풍습


"마한인들은 가족적이며


자유분방하고 개성이 강하다.


제천의식을 주관하는


제사장을 천군이라 불렀다.


마한은 제사장(천군)과


통치자(진왕)의 역할이 구분되어서


죄인이 천군의 영역인


소도로 피신하면 잡을 수가 없었다.


5월에 파종하고 10월에 추수한 후에는


하늘에 풍년을 염원하고


추수에 감사하는 제사를 지내고


함께 모여 농악춤과


노래와 술로 연일 흥겨워 한다.


마한인들은 체격이 건장하고

힘이 세서 일하기를 좋아하며,


금보다는 옥과 구슬로


장식하는 것을 좋아하며,


칼과 창을 잘 다루며


전쟁에서


항복한 사람들에게는 관대하게 대한다.

3한은


동쪽과 서쪽이 모두 바다로 막혀 있다.


3한 중에


서쪽으로 바다를 접하는


마한이 가장 큰 나라다.



마한의 진왕이 진한.번한 등


78여개국을 다스리며,


진한.번한지역의 왕들도


모두 마한출신들이다.


진한.번한인들은


이주해 온 유민들이기 때문이다.

풍습이 서로 같은


진.번한은 한국(한반도)으로 들어 온


조선유민들의 나라로 마한이


동쪽지역에 살 땅을 주었다.


진한인들은 진시황의 노역을 피하여


망명한 사람들로

말이 (秦)나라 말과 같아서


秦한이라고도 했다.

번한은 철이 많이 생산되어


왜와 동예에 수출하였다.


진한은 북으로 예.맥과 국경을 접하고


마한은 북으로 낙랑국과 국경을 접한다"


* 한반도남부지역의 3한 중 진.번한인들:진나라가 단군조선을 침략하여 잠시 단군조선의 영역을 수천리나 차지할 때 요서.요동지역의 번.진조선인들이노예로 잡혀 만리장성을 쌓다가 탈출하여 한반도지역으로 들어 온 진.번조선 유민들이라 할 수 있다.그래서 진나라 말을 사용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요서를 포함한 만주와 한반도지역은 본래 한민족공동체로 단군3조선은 말과 풍습이 같았기 때문에 가족처럼 생각했고, 마한이 이들 유민들에게 거주할 땅을 내 준 것이다.
 





고향의봄.jpg


 

리틀엔젤스


북한 어린이


하모니카 연주

태그 296
수정 답변 삭제 목록으로
댓글 0 | 엮인글 0
공지사항 프로그램게시판 모아보기 시청자게시판

시청자 게시판

2,426개(80/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8 2018.04.12
845 조선 중기 최고의 시인이자 비평가였던 백곡 김득신의 생애와 업적 localhi 6232 2015.08.28
844 한국의 풍수사상과 풍수지리학 요체 localhi 3135 2015.08.27
843 고조선의 국학을 되살려내야 진정한 광복이 이루어진다. [2] localhi 3240 2015.09.19
842 위기에 처한 한국경제를 살릴 방안은 없는 것인가 localhi 3162 2015.08.26
841 한국의 진정한 광복을 위한 과제 localhi 2896 2015.08.25
840 독립운동가 범재 김규흥 선생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882 2015.08.24
839 우리 문화재 관리 엉망 localhi 3339 2015.08.22
838 항공대 우실하 교수의 요하문명론 localhi 3916 2015.08.21
837 도산 안창호 선생의 인격혁명론 localhi 2889 2015.08.20
836 광복 70년을 맞이한 대한민국의 현주소 localhi 3026 2015.08.16
835 독립운동 하면 3대가 망한다 localhi 3111 2015.08.15
834 서계 이득윤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449 2015.08.12
833 수암 권상하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282 2015.08.10
832 발해고궁지에 단군전을 건립한 항일독립운동가 백산 안희제 localhi 3730 2015.08.09
831 우봉 이매방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547 2015.08.09
830 어머니전을 시청한 사람입니다 sertyuiogh 2727 2015.08.08
829 김관식 시인의 생애와 업적 localhi 2580 2015.08.06
828 한국 진보경제학의 태두 김수행 박사의 생애와 업적 localhi 3680 2015.08.04
827 우암 송시열의 생애와 업적 localhi 4016 2015.08.03
826 세계 500대 기업에 한국은 3개, 중국은 48개로 대조적 localhi 2515 201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