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간 김해경 회고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6.18 23:12

                           인간 김해경 회고 

  
 

                   여동생 옥희 씨 등 가족사 기록한 책 '오빠 이상, 누이 옥희'

'천재 작가 이상' 아닌 인간 김해경을 회고하다 - 3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천재 작가 이상(李箱, 1910∼1937)의 난해하고 실험적인 작품 세계를 떠나 식민지 시대를 힘겹게 살다간 인간 김해경(이상의 본명)의 삶을 가족과 지인들의 증언을 통해 회고하는 책이 나왔다.

'오빠 이상, 누이 옥희'(푸른역사)는 일간지 문학전문기자로 오래 일했으며 시인이자 소설가이기도 한 정철훈 작가가 이상에 관해 깊이 탐구한 내용을 묶은 책이다.

저자는 이상이 "나의 유일한 이해자"라고 지칭한 여동생 옥희 씨의 흔적을 찾아가는 데서 출발한다. 우연히 후배 문인으로부터 이상의 조카가 도봉구 창동에서 음식점을 한다는 얘기를 듣고 찾아가 그 식당 주인 문유성 씨가 이상이 아끼던 여동생 옥희 씨의 아들임을 확인한다.

오랫동안 어머니 옥희 씨를 모시고 산 문유성 씨 부부와의 대화를 토대로 저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상의 가족사를 꿰어맞추며 이상이 어린 시절부터 감내해야 했던 외로움과 집안의 장남으로서 짊어져야 했던 생계의 부담을 짐작한다.

특히 2∼4부는 이상이 1936년 9월 '중앙'지에 쓴 '동생 옥희 보아라- 세상 오빠들도 보시오'라는 편지글 형식의 글과 이로부터 오랜 세월이 흐른 뒤 옥희 씨가 1962년 6월 '현대문학'에 쓴 회고기 '오빠 이상', 1964년 6월 '신동아'에 쓴 같은 제목의 회고기를 꼼꼼히 분석해 그간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이상의 삶을 복원한다.

여기에 옥희 씨뿐만 아니라 이상과 함께 문학 동인 '구인회'로 활동한 조용만, 이상의 친구였던 문종혁 씨의 회고기와 이상이 직접 쓴 수필과 소설 작품들을 훑어가며 그가 현실의 삶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어떤 고민을 하며 살았는지, 일상에서의 풍모는 어떠했는지 등을 살펴본다.

이들의 증언을 종합하면 이상은 흔히 알려진 대로 여자관계가 복잡했거나 방탕한 삶을 산 자유로운 예술인의 모습과는 거리가 있다.

건축과 실습실에서 시인 이상
                                                      건축과 실습실에서 시인 이상

(서울=연합뉴스) 문학사상이 공개한 시인 이상(1910∼1937)의 경성고등공업학교 시절 사진. 2017.3.30 [문학사상 제공=연합뉴스]
photo@yna.co.kr

세 살 때 친부모, 가족과 떨어져 큰아버지(백부)의 집에 양자 형식으로 들어간 이상은 백부가 새로 들인 후처에게서 사랑을 받지 못했고, 이런 환경으로 일찍부터 우울과 외로움을 안고 자랄 수밖에 없었다.

어릴 때부터 여러 방면에서 천재성을 보였고 그림에 특별한 흥미와 재능을 보였지만, 백부의 강권으로 보성고보를 졸업하고 총독부에서 운영하는 경성고등공업 건축과에 유일한 조선인으로 들어가 수석으로 졸업한다.

스무 살이 되던 해 졸업하자마자 총독부 내무국 건축과에서 일하기 시작해 어려운 계산을 척척 해내고 건축 도면 설계에서도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지만, 직장 상사인 일본인 관리의 괴롭힘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다.

그 무렵 결핵에 걸려 각혈을 하는 등 몸이 쇠약해지고, 요양차 떠난 황해도 배천 온천에서 기생 '금홍'을 만나 서울로 돌아온다. 생활고를 타계하기 위한 방편으로 금홍과 다방 '제비'를 열지만 운영이 잘되지 않고 이후 금홍도 떠나는 등 이상의 삶은 점점 고달파진다. 그러면서도 그는 늘 부모와 동생들 걱정을 했다고 한다.

연인과 함께 만주행을 택해 가난한 집안을 벗어나고 오빠와도 영영 작별하게 된 옥희 씨는 오빠를 이렇게 회고한다.

"바깥일은 집에 와서 절대 이야기 않던 오빠도 부모에 대한 생각은 끔찍이 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살아 계신 어머니도 큰오빠가 어머니에게 늘 공손했고 뭘 못 해드려서 애태우곤 했었다고 말씀하십니다. 곧 돈을 벌어서 어머니를 편안히 모시겠다는 말을 입버릇처럼 되뇌던 큰오빠를 어머니는 지금도 잊지 못하고 계십니다."

저자는 "퇴폐와 예술지상주의라는 이미지를 먼저 떠오르게 하는 이상이지만 가족들이 기억하는 이상은 그와 달랐다.", "김옥희는 천재 이상에게 따라붙는 비운의 수식어를 떼어내고 평범하고도 효성 깊은 인간 김해경을 우리에게 들려주었다"고 말한다.

이상의 경성고등공업 졸업앨범 사진(왼쪽)과 동기생들의 친필 [문학사상 제공]
이상의 경성고등공업 졸업앨범 사진(왼쪽)과 동기생들의 친필 [문학사상 제공]                                                  
                                                             <참고문헌>                                                                             1. 임미나, "천재 작가 이상 아닌 인간 김해경을 회고하다.", 연합뉴스,  2018.1.23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0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337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457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356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430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406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455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394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434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457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546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418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423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481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442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589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39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450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431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393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409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