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군산시 일원에서 일제강점기 지하 군사시설에 대한 조사를 벌인 연구자들이 6월 7일 대전 보문산 인공동굴을 탐사하고 있다. (사진=보민글로벌 제공) |
군산대학교 박물관 조인진 학예연구사와 이호윤 서울기독대학교 교수, 보민글로벌 부설연구소 이동권 연구소장과 노경찬 책임연구원, 장한길로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편집위원은 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보문산 일원에서 동굴 탐사를 벌였다. 이들은 최근까지 전북 군산시 일원에서 일제 지하 군사시설을 연구해 논문을 발표하고, 지하에 레이더파를 송출해 반사되는 파형으로 입구가 매몰된 동굴을 찾아내는 물리적 조사를 수행했다. 군산대는 2022년 교정 내 역사문화유적들을 연결하는 '미룡역사길'을 기획하는 중에 인공동굴 7개를 발견하고, 조사를 확대해 군산시 일원에서 1944~1945년 사이 일본군이 파놓은 지하 군사시설 30개를 찾았다. 일제 때 항구와 비행장, 철도가 운영된 군산은 조선의 물산이 일본으로 반출되는 현장이었다. 아시아태평양전쟁에서 1944년 10월 필리핀에 상륙한 미군이 제주도와 더불어 군산 앞바다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한 일본군은 조선인을 동원해 지하에 지휘본부와 통신부대, 전투훈련장 등의 동굴을 조성케 하고 군사적 요충지로 삼았다. 조인진 학예연구사 등이 집필한 '태평양전쟁기 군산 지하군사시설 현황 연구' 논문에 따르면, 군산에서 발견된 30개의 인공동굴은 서해안으로 상륙하는 미군을 저지하기 위해 내륙을 방어하는 병풍 형태로 위치해 있으며, 어른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동원되었다고 밝혔다. 군산에서는 일제 인공동굴이 훗날 6·25전쟁 때 민간인 학살장소로 악용된 역사까지 더해지면서 학술연구와 물리탐사까지 이뤄졌고, 설계도 없는 이들 지하 시설물의 제원과 특징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일부는 일반인에게 개방했다.
군산의 지하군사시설 위치도. (출처=태평양전쟁기 군산 지하군사시설 현황연구 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