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 근대건축물 한암당 ‘흔적 없이 사라질 판’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2.23 03:47

대전시 근대문화유산 기록화 사업
예산 부족으로 年 1~2건 진행
약식 추진도… 완성도 떨어져
철거 앞둔 건물多, 대책 시급

대전 동구의 한 근대건축물 일부가 안전상의 문제로 철거되며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019년 10월 1일 모습. 충청투데이 DB
대전 동구의 한 근대건축물 일부가 안전상의 문제로 철거되며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019년 10월 1일 모습. 충청투데이 DB


  문화 유산 가치를 지닌 대전의 근대 건축물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대전시는 각종 재개발 사업이 활발해지자 2018년부터 대전도시기억프로젝트 일환으로 ‘근대문화유산 기록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기록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사업비로 정작 기록화 사업은 한 해 1~2건 밖에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8월 10일 대전시에 따르면 2018년 옛 대전부청사, 2019년 목동선교사 사택·옛 정동교회·보문산 보문사·대전형무소 관사, 지난해 중앙시장 해방촌, 올해 대흥동 좋은 부동산 등 모두 7건의 기록화 작업을 마쳤다. 가장 많은 기록화 작업이 이뤄졌던 2019년을 제외하면 기록화 사업으로 매년 각 1건씩을 완료한 상태다. 5000만원이 투입됐던 2019년에 비해 지난해와 올해 예산은 각 1300만원에 불과했다.


  대전시는 당초 ‘대전도시기억프로젝트’를 통해 도시와 시민 개개인의 역사를 지키고 이를 근대문화탐방 관광 자원화로 탈바꿈하는 등 ‘대전형 아카이브존’을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역사와 도시 정체성을 간직한 장소와 건축물들의 효용성이 구시대적 개발논리로 사멸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지역 내 근대건축물 현황 파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


2010년 지역 내 210건의 근대건축물이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10년이 훌쩍 지난 만큼 환경 변화에 따른 재조사가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재정난이 가중되면서 기록화 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전 중구 선화동 ‘옛 대전법원관사’는 철거 직전에야 부랴부랴 기록화 작업이 이뤄졌고 본 예산이 부족해 조사비를 긴급 투입하는 등 약식으로 사업이 진행됐다.


  질적인 부분에서 완성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드론과 이동식 스캐너를 활용한 3차원(3D) 스캐닝 작업 등 고도화된 기술 적용은 그림의 떡이다.

  내년 3월 철거를 앞둔 ‘한밭종합운동장’의 경우도 추경 예산을 통해 기록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낙후된 원도심에 발전된 변화를 위한 도시정비사업도 중요하지만 대전의 역사의 한 모습을 기록하는 사업에도 질적 완성도를 동반한 제대로된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 중구 오류동 일식가옥촌, 동구 원동 쪽방촌 등 당장 철거로 인해 기록화 사업이 진행돼야 하는 건물은 20여개에 달하지만 시비로만 진행되는 사업이다 보니 한계가 있다”며 “근대건축물 현황 파악은 현재 계획 중에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대산(大山) 신상구(辛相龜, 72세) 국학박사는 대전시 관계자가 언급한 근대 건축물보다 더 시급히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어야 할 건축물로는 한암당(寒闇堂) 이라고 증언했다. 한암당 이유립 선생은 1980년에『환단고기』 배달의숙본을 발간한 재야사학자로 대전광역시 중구 은행동 목척시장 뒷솔목에 위치한 허름한 적산가옥에서 1963년부터 1976년까지 13년간 거주하면서 전국적으로 역사광복운동을 전개하다가 경기도 의정부로 이주했다. 그 후 한암당은 방치되다시피 해 지금 당장 수리보수하지 않으면 조만간 붕괴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참고문헌> 

   1. 한유영, "대전 근대건축물 ‘흔적 없이 사라질 판’, 충청투데이, 2021.8.11일자. 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95496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204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300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208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266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262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334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240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298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293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390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243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275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327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291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391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301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265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269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242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260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