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타계를 애도하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2.27 04:15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타계를 애도하며

 

  문화부 초대 장관을 지낸 능소(凌宵) 이어령(李御寧, 1933-2022) 이화여자대학교 명예석좌교수가 암 투병 끝에 26일 별세했다. 향년 89세.

  1933년 충남 아산의 우봉이씨 가문에서 출생(호적상 1934년생)한 고인은 문학평론가, 언론인, 교수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 대표 석학이자 우리 시대 최고 지성으로 불렸다.

  집안 형편은 부잣집도 가난한 집도 아닌 중간 정도였다고 하는데, 그래도 그 시절에 아버지가 사업을 하실 정도였다고 하니, 나름 비교적 잘 사는 축에 드는 집이었던 듯하다.

  노태우 정부 때 신설된 문화부 초대 장관(1990~1991)이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다.

  고인은 공주중, 부여고를 나와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와 동(同)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1987년 단국대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 서울신문을 시작으로 1972년까지 한국일보, 경향신문, 중앙일보, 조선일보 등의 논설위원을 역임하면서 당대 최고의 논객으로 활약했다. 1972∼1973년에는 경향신문 파리특파원으로 활동했다.

  경기고등학교 교사와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를 거쳐 1966년부터 이화여대 강단에 선 이후 1989년까지 문리대학 교수를, 1995∼2001년 국어국문학과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2011년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됐다.

  고인은 6공화국 때 문화공보부를 공보처와 문화부로 분리함에 따라 1990년 출범한 문화부의 초대 장관에 임명됐다. 지난 10월 노 전 대통령이 사망하자 조시(弔詩) '영전에 바치는 질경이 꽃 하나의 의미'로 추모하고 국가장의 유족 측 장례위원에도 이름을 올렸다.

  한국을 대표하는 지성으로서 '흙 속에 저 바람 속에'(1960)를 비롯해 '축소지향의 일본인'(1984), '이것이 한국이다'(1986), '세계 지성과의 대화'(1987), '생각을 바꾸면 미래가 달라진다'(1997), '디지로그'(2006), '지성에서 영성으로'(2010), '생명이 자본이다'(2013) 등 수많은 저서를 펴냈다. 특히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2010년에 단행본 '지성에서 영성으로'를 발간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 전 장관은 2017년 암이 발견돼 두 차례 큰 수술을 받았지만, 항암치료를 받는 대신 마지막 저작 시리즈 '한국인 이야기' 등 저서 집필에 몰두해왔다.

  지난해 10월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금관 문화훈장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강인숙 영인문학관 관장, 장남 이승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차남 이강무 백석대학교 교수가 있다.

  고인의 장녀 이민아 목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지역 검사를 지냈다가 2012년 위암 투병 끝에 별세했다.

빈소는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되며 유족 측은 5일간 가족장으로 치를 계획이다.

                                                         <참고문헌>

  1. 이은정, “문학평론가·언론인·작가·교수 등으로 활약, 투병 중에도 집필,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별세, 향년 88세”, 연합뉴스, 2022.2.26일자.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030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330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443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350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422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400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448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385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423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446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540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410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415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470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433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576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28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441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425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384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397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