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2.23 02:40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中사학자, 北中고고발굴대 일기서 “北, 낙랑군 위치 中서 은폐 의심”

北, 고조선 성터 탐색서 갈등 시작… 몽골까지 고조선 영토 상정하려 해

양국, 공동보고서 안 내고 갈라서… 中은 ‘고고발굴대 역사’ 지워버려

동아일보

1963∼1965년 북한과 중국이 공동 조직한 ‘조·중고고발굴대’에서 중국 측 연구대장인 고고학자 안즈민(오른쪽). 강인욱 경희대 교수 제공


   “북-중이 역사 문제에 서로 다른 관점을 갖고 있다. 민족 감정으로 인한 문제가 생겼다.”(1963년 4월 23일 안즈민의 일기)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한중 역사 갈등이 1960년대 이미 시작됐다는 사실이 중국 고고학자 안즈민(安志敏·1924∼2005)의 일기를 통해 밝혀졌다. 1963∼1965년 북한과 중국이 공동 조직한 조·중고고발굴대에서 중국 측 연구대장을 맡았던 그의 일기에는 고조선사를 놓고 북-중이 벌인 신경전이 담겼다. 2020년 중국에서 출간된 안즈민의 일기가 국내에 소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는 18일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와 고조선부여사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안즈민의 일기를 통해 북-중 고대사 갈등의 기원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출신인 안즈민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발굴을 주도한 중국 고고학의 초기 세대를 대표한다.

   1963년 공동 발굴대를 조직하는 데 뜻을 모았던 양국은 왜 틀어졌을까. 강 교수는 북한 측 사학자 리지린(李址麟·1915∼?)이 고조선 성터를 찾아 나서며 갈등이 시작됐다고 봤다. 1963년 9월 리지린은 중국 랴오둥(遼東) 지역 하이청(海城) 성터를 조사하면서 해당 지역을 고조선의 도성인 ‘왕검성’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측이 “명나라 성터”라며 맞섰으나 북한은 고조선 성터를 찾으려는 의중을 숨기지 않았다. 이후에도 북측은 랴오둥뿐 아니라 몽골까지를 고조선 영토로 상정하려 했다. 이러한 정황은 안즈민의 일기에 기록됐다.

    1963년 9월 27일 안즈민의 일기에는 북측 학자들이 “중국이 낙랑군의 소재를 알고도 숨기는 거 아니겠느냐”며 중국 측과 논쟁한 정황도 담겼다.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멸망시킨 뒤 중국의 한무제(漢武帝)가 설치한 군으로, 낙랑군의 위치는 고조선 강역을 규명할 핵심 열쇠였다. 북한이 고조선 강역을 규명하기 위해 발굴대를 조직했다는 의중이 명확히 드러난 셈이다. 북한의 의중을 알아차린 중국은 통역원을 정보원으로 두고 감시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낙랑군의 위치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신경전의 중심에는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양보할 수 없는 양국 갈등이 존재했다. 북한이 고조선사에 집중하게 된 건 1956년 소련이 출판한 ‘세계통사’ 때문이다. 이 책에는 중국에서 온 낙랑군이 한반도에 유입돼 한반도 역사가 시작됐다는 일제식민사관 서술이 그대로 담겼다. 북한은 공산주의 종주국 소련의 역사 인식이 북한의 자주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이에 북한은 고조선 도성이 평양에 있다는 당대 일부 북한 학계의 주장에서 벗어나 왕검성이 중국 랴오둥 지역에 있었음을 입증해 민족사의 자주성을 세우려 했다.

동아일보

1964년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서 조·중고고발굴대가 무덤을 발굴하고 있다. 당시 현장에서 발굴된 ‘누상(樓上) 무덤’은 기원전 7∼5세기경 고조선의 유적으로 조사됐다. 무덤에서는 고조선대 유물인 비파형 동검 등이 나왔다. 강인욱 경희대 교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랴오둥 지역에 고조선의 흔적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았다. 중국은 발굴대가 랴오둥에서 발굴한 고조선 유물 ‘비파형 동검’을 만주 청동기 시대 유물로 규정했다. 비파형 동검이 고조선 유물이라는 사실조차 합의하지 못한 채 양국은 1965년 공동 보고서도 내지 않고 갈라섰다. 이후 중국은 랴오둥 지역에서 발굴된 고조선 유물의 존재를 은폐하기 위해 조·중고고발굴대를 역사에서 지워버린다.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한중 고대사 분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강 교수는 “변방을 다민족의 역사가 아니라 한족 문명의 역사가 확산된 곳으로 규정하는 중국의 팽창적 역사관은 60년 전 북한과 고조선사를 둘러싼 분쟁의 반작용에서 본격화됐다”며 “조·중고고발굴대는 한중 고대사 분쟁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이소연,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1960년대 이미 시작됐다", 동아일보, 2022.. 2.. 21일자.  A20년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192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332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448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352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425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401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452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390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426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449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542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413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418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475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436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580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33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443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426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387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403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