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단양 '슴베찌르개' 세계 최고 구석기 유물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1.26 10:12

                                단양 '슴베찌르개' 세계 최고 구석기 유물


댓글

4만6000년전 제작 판명…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게재

"대전 용호동 출토 유물보다 8000년 앞서, 한반도 기원 가능성 높아"

뉴스1

국내 대표 선사 유적지인 충북 단양 수양개 6지구에서 발굴된 구석기 유물 '슴베찌르개'.(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2022.1.25/© 뉴스1



   국내 대표 선사 유적인 충북 단양 수양개 6지구에서 나온 수렵 도구 '슴베찌르개'가 현존 세계 최고(最古) 후기 구석기 유물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슴베찌르개는 자루가 있는 돌칼로 한반도 후기 구석기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상징적인 유물이다. 탄소 측정 결과, 단양 수양개에서 출토한 슴베찌르개는 4만6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선사문화연구원에 따르면 '한국 단양지역 수양개 구석기 유적지의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값' 논문이 관련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인 라디오카본(Radiocarbon·63권 5호)에 실렸다.

   해당 논문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경자 책임연구원과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우종윤 원장, 이융조 이사장, 김주용 이사, 티머시 줄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가 공동 저술했다. 이들은 유적 발굴부터 연대 측정, 고고학·지질학적 의미 해석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서 협력했다.

   논문에는 단양 수양개 6지구 문화층(18개 지점 31개 시료)을 대상으로 한 탄소연대 측정 결과가 수록됐다. 문화층은 특정 시대 문화 양상을 보여주는 지층을 말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단양 수양개 6지구 2문화층은 1만7550~2만470년 전, 3문화층은 3만360~4만4100년 전, 4문화층은 3만4870~4만6360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4문화층 다량 발굴(62점) 유물인 슴베찌르개는 탄소 연대 측정값으로 미뤄볼 때 현재를 기준으로 4만6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0여년 전 대전 용호동 구석기 유적에서 1점 발굴된 슴베찌르개(3만8000년 전)보다 8000년이나 앞선다.

   연구진은 후기 구석기 수렵 도구인 슴베찌르개가 한반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우종윤 원장은 뉴스1과 통화에서 "단양 수양개 6지주 4문화층에서 발굴된 슴베찌르개는 탄소 연대 측정결과 4만6000년 전 유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됐다. 과거 대전 용호동에서 나온 슴베찌르개보다 더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독특한 형태로 제작·사용한 슴베찌르개는 한반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단양 수양개는 1980년 충주댐 수몰지역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발견된 선사 유적지다. 슴베찌르개, 돌 그릇, 밀개(가죽 등을 자르는 돌), 눈금이 그려진 돌 자 등 구석기 유물 1만5000여점이 나온 곳이다.

   학계에서는 구석기 시대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유적지로 평가하고 있다.

뉴스1

국내 대표 선사 유적지인 충북 단양 수양개 6지구에서 발굴된 구석기 유물 '돌 자'.(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2022.1.25/© 뉴스1


                                                          <참고문헌>                                                               1. 조준영, "탄소연대 측정해보니…단양 '슴베찌르개' 세계 최고 구석기 유물", 뉴스 1, 2022.1.25일자. 


시청자 게시판

2,040개(8/10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39141 2018.04.12
1899 윤서열 대통령의 제67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신상구 221 2022.06.07
1898 한암당 이유립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25 2022.06.05
1897 백가의 반란과 동성왕의 죽음 사진 신상구 299 2022.06.03
1896 연금개혁을 통한 복지의 지속가능성 확보 사진 신상구 274 2022.06.02
1895 30년간 천착했던 모네의 수련, 용산에 피다 사진 신상구 308 2022.06.01
1894 부여 ‘신동엽문학관’ 문학 성지로 자리매김 신상구 229 2022.06.01
1893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 줍시다 [1] 신상구 235 2022.05.28
1892 과거는 유교국가 떠받치는 인재풀, 조선판 능력주의 사진 신상구 251 2022.05.28
1891 ‘청주대 출신’ 성악가 연광철, 대통령 취임식서 ‘애국가’ 사진 신상구 359 2022.05.27
1890 인간적이라는 것 사진 신상구 259 2022.05.27
1889 1세대 건축가 김중업 탄생 100주년 사진 신상구 394 2022.05.27
1888 중국에도 이름 떨친 한석봉(한호) 이야기 사진 신상구 293 2022.05.26
1887 <특별기고>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100주기 추도 사진 신상구 441 2022.05.26
1886 선조가 명나라 망명을 포기한 이유 사진 신상구 541 2022.05.25
1885 고종의 무능과 실정으로 대한제국의 잃어버린 10년 사진 신상구 299 2022.05.24
1884 청석학원 설립자 김원근·김영근 형제 삶 재조명 사진 신상구 388 2022.05.24
1883 초(超)인플레이션 사진 신상구 267 2022.05.24
1882 죽음에 대한 다양한 생각 사진 신상구 405 2022.05.23
1881 최영환 한국추사연묵회 이사장 신상구 444 2022.05.23
1880 한국인이 노벨과학상을 수상하려면 사진 신상구 184 2022.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