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21 02:49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영호남을 왕래하는 길은 평탄한 길이 없다. 전북 장수군과 경남 함양군을 연결하는 고갯길이 해발 734m의 육십령(六十嶺)이다. 나는 이 고갯길을 넘어갈 때마다 그 이름에 의문이 들곤 하였다.

산적들의 약탈을 피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넘을 때 적어도 60명이 모여서 넘어야 한다는 전설이 있다. 산적 떼가 그 옛날 이 험한 오지 산길에서 얼마나 털어갈 물건이 있었다고?

그 오래된 의문이 근래에 가야사를 연구하는 곽장근(60·군산대·’전북 고대 문화 역동성’) 교수의 설명을 들으면서 풀렸다. “전북 장수가 고대의 철(鐵) 생산지입니다. 장수군 일대가 질 좋은 철광석 산지입니다.

여기서 제련한 쇳덩어리나, 철제 무기를 경상도 지역의 대가야나 금관가야 지역으로 수출했던 것입니다. 당시 최고 제품이었던 철기를 수출하려면 반드시 육십령을 넘어야 했죠.”

가야 문화의 특징을 꼽으라면 철기 문화다. 가야는 철이 발달했던 것이다. 강력한 쇠로 만든 칼이나 무기들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였다. 문제는 이 철을 어디에서 공급받느냐 하는 것이었다.

전북 장수는 고대 가야의 소국 가운데 하나였던 ‘반파국’이 있었던 지역이다. 서기 300년대 후반 시작되어 500년대 초반까지 대략 150년 동안 유지되었던 소국이다.

장수군 장계면에는 반파국 왕궁이 자리 잡고 있었다. 반파국의 수출품은 철이었다. 이 일대 지질 구조가 모두 철광석을 함유한 산맥이었다.

대가야의 고령이나 금관가야의 김해 쪽에는 지형적으로 이런 철광석 산맥이 드물었다. 고고학자들의 조사 발굴에 따르면 장수군 일대에서 제철 유적지가 현재까지 80군데 발견되었다. 화로 속에다 철광석을 넣고 숯으로 가열해서 철만 뽑아내는 제련 유적지가 80군데라는 이야기다.

철을 뽑아내려면 2000도까지 가열해야만 한다. 도가지(독의 방언)를 굽는 가마 온도가 대강 1300도이다. 화로 속에 숯과 철광석을 시루떡처럼 차곡차곡 쌓아 올려 2000도까지 고온으로 가열하는 기술이 당시의 첨단 기술이었다.

철광석에다가 이 첨단 기술을 가야 소국 가운데 하나인 반파국이 가지고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요즘으로 치면 반도체에 해당하는 철을 고령의 대가야나 김해의 금관가야까지 운반하려면 반드시 육십령을 넘어야 한다.

이 값나가는 철기를 털려고 고갯길에서 산적들이 기다리고 있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적어도 60명이 모여서 넘어가야 하는 ‘육십령’은 고대의 아이언 로드(iron road)였던 것이다.

​ <참고문헌>

1. 조용헌, "육십령, 고대의 아이언 로드", 조선일보, 2021.12.20일자. A3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15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341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460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360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436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410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459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400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443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464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550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425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428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486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448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598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43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459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436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399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415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