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UC 버클리대 카드 교수 최저임금 조사연구로 노벨경제학상 수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0.12 02:50
                                          UC 버클리대 카드 교수 최저임금 조사연구로 노벨경제학상 수상 

댓글
매일경제

11일(현지시간) 노벨경제학상 수상 직후 줌으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데이비드 카드 UC버클리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빈센트 반 고흐도 생전에 작품을 팔아보지 못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연구성과가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낙담할 필요가 없습니다."

   202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카드 UC버클리 교수(64)의 말이다.

   카드 교수는 11일(현지시간) 노벨경제학상 수상 직후 온라인으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나 자신도 이런 연구 분야에서 노벨경제학상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카드 교수는 고 앨런 크루거 프린스턴대 교수와 함께 1990년대초 최저임금에 대한 연구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학자다. 카드 교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내가 주장하는 것은) 최저임금을 올리자는 것이 아니다"며 "임금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해서 주목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드 교수는 "30여년이 흘러서 당시 연구 결과에 따라 인종간, 성별간 임금 격차에 대한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카드 교수는 "연구자들이 연구 결과가 주목받지 못한다고 해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카드 교수는 프린스턴대에서 강의를 하던 시절인 1992년 뉴저지와 펜실베이니아주 410개 패스트푸드점을 설문조사하며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연구에 대해 실험했다. 결론적으로 뉴저지주 패스트푸드점은 고용이 늘었다.

   카드 교수는 "프린스턴대가 있는 뉴저지주는 최저임금을 인상했지만 바로 옆 펜실베이니아주는 최저임금을 유지해 자연스럽게 연구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뉴저지주는 최저임금을 시간당 4.25달러에서 5.05달러로 올린 반면 펜실베이니아주는 4.25달러의 최저임금을 유지했다.

   카드 교수는 임금이 오르면 실업률이 오른다는 기존 경제학 이론과 달리 최저임금 상승이 항상 고용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이론을 정립하게 됐다.

   또 1980년대 쿠바 이민자들이 몰려온 플로리다 노동시장을 분석, 이민자들이 기존 노동자들의 임금 수준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는 이론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토박이 노동자들의 소득이 이민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코로나19 사태로 다시 최저임금 논란이 제기되며 카드 교수의 연구가 주목을 받게 됐다.

   노벨위원회는 이번 노벨경제학상 선정 과정에서 경제학과 같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자연과학에서처럼 실험을 통한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노벨위원회는 경제학 분야 경험적 연구 방법론을 완전히 새로 썼다고 평가했다.

   페터 프레데릭슨 스웨덴 왕립과학원 경제학분과 위원장은 "이들의 연구는 인과관계에 관한 질문에 대한 해답 제시 능력을 중대하게 증진했으며, 이는 우리 사회에 매우 큰 이득을 가져다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참고문헌>

  1. 박용범, "노벨경제학상 카드 교수 "최저임금 인상이 능사는 아냐", 매일경제신문, 2021.10.12일자. 


댓글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646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340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459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358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435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409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459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397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441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462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549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424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427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484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446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597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42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455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434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398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414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