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17 01:18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AKR20210414159200504_01_i_P4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 16살 나이로 독립운동에 가담했던 대전 유일의 생존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이 14일 눈을 감았다. 향년 94세.

경북 김천 태생인 정완진 옹은 대구상업학교 재학 중인 1943년 4월 항일결사조직 태극단에 가입해 나라를 되찾기 위한 독립운동을 했다. 조국 광복을 염원한 태극단은 무장항일투쟁 준비와 군사관계서적 번역·폭발물 제조 연구 등을 하던 중 동료의 밀고로 전원 체포됐다. 정완진 옹은 6개월가량 수감된 채 갖은 고문을 당했다. 함께 독립운동을 하던 동지를 잃기도 했다.

정부는 독립운동에 헌신한 정완진 옹의 공훈을 인정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과 1963년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대전 유성구 계산동에 거주하던 정완진 옹은 생전 여러 차례 중도일보 인터뷰를 통해 70여 년 전 조국 해방의 기쁨을 전한 바 있다. 정완진 옹은 1945년 8월 15일을 '생애 최고의 감격'이라고 회고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3·1절도 정완진 옹에겐 특별하다. 1930년 3월 1일 기미독립선언일을 기념해 쓰인 심훈의 시(詩) '그날이 오면'을 여러 번 언급했던 정완진 옹은 그 정신을 특별히 여겼다. 각계 전언에 따르면 정완진 옹은 기력이 쇠약하던 중에도 지난 3·1절 무렵 의식과 기운이 평소보다 좋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민족 단결로 독립을 위해 투쟁하며 나아가 세계인류의 영원한 평화·자유·평등을 찾는다'는 태극단의 강령처럼 정완진 옹은 나라를 되찾은 오늘날 진정한 광복은 '평화 통일'에 있다고 강조했다.

광복 70주년이던 2015년 정완진 옹은 본보 인터뷰에서 "광복으로 긍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한국전쟁 후 남북 분단이라는 어두운 측면도 남아 있다"며 "앞으로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한반도 통일을 이루는 것이 진정한 광복의 길"이라고 말한 바 있다.

2018080901000862000037571
비록 평화 통일의 염원을 끝내 목격하지 못한 채 영면했지만 그의 뜻과 정신을 이어받고자 하는 각계 인사들의 추모가 이어지고 있다. 유성구청장 시절부터 광복절과 명절 등 주요 시기에 정완진 옹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14일 밤 장례식장을 찾아 조문하고 SNS를 통해 명복을 전했다. 허 시장은 지난 2월 설 명절을 앞두고도 정완진 옹의 자택을 방문한 바 있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15일 오전 조문 후 "독립운동에 헌신하시고 나라 발전을 위해 노력해오신 뜻을 잘 받들어 튼튼하고 부강한 나라를 만드는 데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완진 옹은 16일 대전현충원에 애국지사 제6묘역에 잠든다.
                                                                                          <참고문헌>

    1. 임효인, "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중도일보, 2021.4.16일자. 7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6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328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442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347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420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399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447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385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423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445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537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409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413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469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431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576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27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438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423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382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396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