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05 16:42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노자(老子) 사상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철학자의 연구실은 뜻밖에도 명품 매장이 즐비한 서울 청담동 한복판에 있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다”고 했지만, 노자의 ‘도덕경’이 결코 은둔의 철학이 아니라는 그의 지론과 무관하지 않은 듯했다.

   최진석(62) 서강대 명예교수는 지난 연말 5·18 특별법을 비판하는 시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그가 새로 낸 책 ‘나 홀로 읽는 도덕경’(시공사)은 본업인 노자 철학으로 돌아가 ‘도덕경’의 독해를 도와주는 책이다. 대화체로 쉽게 풀어낸 40가지 문답 뒤에 ‘도덕경’의 원문과 해석이 펼쳐진다.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21세기야말로 노자 사상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지난 근대가 본질과 실체를 중시하고 사람과 사물을 규정하던 시대, 공자의 사상에 어울리는 시대였다면, 지금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해 깊이 살펴야 하기 때문이죠.” 그는 노자가 한 측면만 본 것이 아니라 일(日)과 월(月), 명(明)과 암(暗), 유(有)와 무(無) 같은 ‘대립면의 상호 의존’을 인식한 고도의 통찰력을 지닌 사상가였다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통찰력이라는 것이다. “도덕경의 세계는 각성하고 생각할 줄 아는 개인들이 모여 이뤄집니다.”

   공자 사상이 중앙 집권적, 이념적 특성을 보였다면 노자는 지방 분권적이고 실용적인 사상가였다고 그는 말했다. “저는 마오쩌둥(毛澤東)이 공자에 가깝고, 덩샤오핑(鄧小平)이 노자에 가깝다고 봅니다.”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노자를 반(反)문명이나 현실 도피적 사상가로 보는 것은 틀린다고 했다. “그냥 자연 속으로 돌아가라는 게 아니라, 자연의 운행 원칙을 인간의 삶 속에서 제대로 구현하자고 한 것이죠. 그건 현실에서 성공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면 노자는 오히려 성공 지향적, 문명 지향적 사상가였던 셈이다.

   ‘무위(無爲)’나 ‘무아(無我)’ 같은 개념도 ‘나를 없애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를 규정하는 굳은 틀을 걷어낸 뒤 드러난 진짜 자기가 세계와 진실한 관계를 맺는 것’이 된다. “이미 정해진 가치와 이념을 통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게 아니라, 눈에 보이는 대로 보고 나의 길을 찾는 것이 무위입니다.”

   노자의 눈으로 볼 때 지금의 우리 현실도 새롭게 해석된다. 최 교수는 “이 세상을 노자처럼 상호 의존적 대립 관계로 보기는커녕 이념 지향적으로 한 면만 보는 정치 세력이 문제”라고 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값이 오르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갈등 문제로만 보고 세금을 올립니다. 조세 공정성 훼손, 건설 경기 침체, 국민 불신감 증폭 같은 다른 여러 부작용을 함께 고려하는 능력이 결여돼 있는 것이죠.” ‘도덕경’ 3장에서 ‘저 헛똑똑이들이 과감하게 행동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사부지자불감위야·使夫智者不敢爲也)’고 질타한 것이 이 상황에 꼭 어울린다는 얘기다.

   최 교수는 대학원 박사과정 시절 거울 속의 자기 모습에서 행복한 표정을 읽지 못해 충격을 받고, 수교 전의 중국으로 건너가 2년 동안 방랑하며 ‘이념과 결별하고 나 자신을 찾았다’고 했다. 대학교수를 하다 ‘나만의 고유한 비린내가 사라지고 있다’는 느낌에 정년을 8년 남기고 교수직을 던져버렸다. 최근 정부를 비판한 뒤 ‘약간의 강한 반대와 폭넓고 부드러운 지지를 동시에 받았다’고 했다. 그는 ‘국가란 무엇인가’란 주제를 다룬 책 ‘대한민국 읽기’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참고문헌>

    1. 유석재, "지금 정권은 헛똑똑이...노자라면 질타했을 것", 조선일보, 2021.4.5일자. A25면.

공감 

시청자 게시판

2,426개(8/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76 2018.04.12
2285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신상구 328 2024.08.26
2284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사진 신상구 442 2024.08.25
2283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신상구 347 2024.08.25
2282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신상구 420 2024.08.23
2281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신상구 399 2024.08.22
2280 광복회는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신상구 447 2024.08.21
2279 뉴라이트가 역사·교육·언론 꿰차다니, 선열께 부끄러운 광복절 사진 신상구 385 2024.08.21
2278 한국이 국제경제 주도국 역할 하려면 사진 신상구 423 2024.08.21
2277 지금 나라의 병은 무엇인가? 신상구 445 2024.08.21
2276 대기업 취업 합격 스펙 알고 보니 대단해 신상구 537 2024.08.21
2275 2040년 세종특별자치시 도시기본계획 핵심 사진 신상구 409 2024.08.19
2274 윤석열 정권은 왜 뉴라이트를 편애하는가 신상구 413 2024.08.14
2273 경계가 사라진 시대 사진 신상구 469 2024.08.14
2272 ‘위대한 외교관 ‘장위공 서희선생’의 정신을 기리다’ 사진 신상구 431 2024.08.13
2271 순국 100년 맞은 유관순 스승 김란사 사진 신상구 576 2024.08.13
2270 <특별기고> 광복 79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당면 과제 사진 신상구 427 2024.08.12
2269 2024 만해문예대상 안선재 수사 인터뷰 사진 신상구 438 2024.08.11
2268 청군 700명 수장된 해변에 무심한 야생화 단지 사진 신상구 423 2024.08.11
2267 90세부터는 '아름다운 인생' 살고 싶었다, 외모보다 중요한 것 신상구 382 2024.08.10
2266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신상구 396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