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윤행임의 8도 사람 4자 평과 재치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2.23 02:06
  
                                   윤행임의 8도 사람 4자 평과 재치
  •  

김명철 청주 금천고 교장
김명철 청주 금천고 교장 조선시대 정조 때 윤행임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글도 잘 쓰고 덕이 높아 임금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대사간이라는 벼슬까지 하게 되었다. 대사간이라는 벼슬은 임금이 하시는 일의 옳고 그름을 거리낌 없이 말해 올리고, 백성들의 생각과 세상 돌아가는 상황을 임금에게 이야기하는 벼슬이다. 이 시절에 윤행임이 조선 팔도 백성의 성격을 4글자로 표현하여 지금까지도 각 지역의 특색을 표현할 때 사용되고 있다.(아래의 8도 사람의 성격을 참고하기 바란다.)

   조선시대 정조 때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글도 잘 쓰고 덕이 높아 임금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대사간이라는 벼슬까지 하게 되었다. 대사간이라는 벼슬은 임금이 하시는 일의 옳고 그름을 거리낌 없이 말해 올리고, 백성들의 생각과 세상 돌아가는 상황을 임금에게 이야기하는 벼슬이다. 이 시절에 윤행임이 조선 팔도 백성의 성격을 4글자로 표현하여 지금까지도 각 지역의 특색을 표현할 때 사용되고 있다.(아래의 8도 사람의 성격을 참고하기 바란다.)

   `함경도는 이중투구(泥中鬪狗)로 진흙 속에 개들이 싸우는 것처럼 강인한 의지와 인내력이 있다. 평안도는 맹호출림(猛虎出林)으로 사나운 호랑이가 숲 속에서 나오는 것처럼 용맹하고 과단성이 있다. 황해도는 석전경우(石田耕牛)로 돌밭을 일구는 소와 같이 고난을 이겨내는 근면성이 있다. 경기도는 경중미인(鏡中美人)으로 거울 앞에 선 미인처럼 이지적이고, 명예를 존중한다. 강원도는 암하노불(岩下佛)로 바위 아래에 앉아 있는, 부처님처럼 누가 알아주든지 말든지 자기 할 일을 해 나간다. 충청도는 청풍명월(淸風明月)로 깨끗한 바람과 밝은 달처럼 풍류를 즐기는 고상한 면이 있다. 경상도는 태산교악(泰山喬嶽)으로 크고 높고 험한 산처럼 웅장하고 험악한 기개가 있다. 전라도는 풍전세류(風前細柳)로 바람에 쉽게 흔들리는 버들나무 가지처럼 시대에 민감하게 적응하면서 살아간다.'라고 평했다.

   아울러 윤행임과 정조의 재미난 일화도 소개되고 있다.

  어느 날, 정조 임금이 윤행임에게 물었다.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무엇인가”그러자 윤행임이 대답하기를 “임금은 백성을 위해 옳은 일을 베풀고, 신하는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는 것이 도리입니다.” 그 말을 들은 임금은 장난스럽게 웃으며 말했다. “그럼 경은 신하의 도리를 다하기 위해 나의 명령이라면 무슨 일이든지 다 할 수 있겠는가”그러자 윤행임은 “물론이옵니다. 신은 성은을 입어 높은 벼슬까지 올랐는데 어찌 충성의 도리를 잊겠사옵니까. 전하께서 분부하신 일이라면 죽는 한이 있더라도 봉행하겠사옵니다.”라고 말했다. 임금은 “그렇다면 저기 저 못에 가서 뛰어들어 죽을 수도 있겠는가”말했다. 윤행임은 “그렇습니다.”하고 자리에서 일어나 못으로 갔다. 그런데 막상 깊은 물을 보니 뛰어들 용기가 나지 않아 우물쭈물하고 있었다. 그 모습을 본 정조임금은 “왜 그러고 있는 것이냐 죽기가 무서워 그러는구나. 그럼 아까 말한 것은 거짓이었단 말이더냐”하고 말했다. 그러자 윤행임은 “제가 어찌 감히 전하를 속이겠습니까. 다만 소신이 막 뛰어들려는데 물속에서 굴원이 나와 `나는 못난 임금을 만나 물에 빠져 죽었지만 당신은 어질고 착한 성군을 모시고 있으면서 어찌 죽으려 하느냐'하고 말하기에 어찌해야 하나 생각하고 있는 중이었습니다.”하고 말했다.

   굴원은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초나라 사람인데, 당시 초나라 회왕은 간신과 가까이하며 나라를 잘 다스리지 못했다. 굴원은 위협을 무릅쓰고 왕을 위해 진심된 충언을 여러 차례 올렸지만, 회왕은 간신들의 꼬임에 넘어가 정사는 뒷전이었다. 결국 나라는 점점 더 기울게 되었고 급기야 굴원을 멀리 귀양까지 보내게 되었다. 나라를 걱정하던 굴원은 결국 더러운 나라에서 사느니 깨끗하게 죽는 것이 낫겠다고 멱라수에 몸을 던져 죽었다.

   윤행임은 이렇게 불우하게 살다 간 충신 굴원의 이야기를 꺼내 임금의 어리석은 행동을 깨닫게 한 것이었다. 윤행임의 말을 들은 정조 임금은 크게 웃으며 자신의 곁으로 올라오라고 했다. 그리고 윤행임의 재치와 기지를 높이 사 더욱 깊이 아끼며 가까이했다고 한다.(한국설화 인물유형,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에게 이런 삶의 지혜를 심어주는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문헌>

  1. 김명철, "윤행임의 8도 사람 평과 재치", 충청타임즈, 2022.2.22일자. 9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47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400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30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47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71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5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18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7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91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7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41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82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74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41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23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13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41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61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53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42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7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