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죽음 단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1.30 03:33


                                                                               죽음 단상

   세상살이가 그다지 바쁘지 않은데도 친구 만나는 일이 쉽지 않다. 몇 년 동안 못 보다가 경조사 때나 반가운 얼굴들을 만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세월의 흐름에 따라 경조사의 내용도 달라지는 것 같다. 몇 년 전만 해도 부모의 상가를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언제부터인가 부모가 아닌 친구의 상가를 찾는 일이 많아졌다. 어디 친구뿐이랴. 후배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도 가끔 접한다. 세상에는 순서대로 왔지만 가는 데에는 순서가 없는 모양이다.

   몇 년 전에 아주 친한 친구가 세상을 떠났다. 어렸을 때 한동네에 살았던 그 친구는 이 세상에서 내가 가장 내밀한 이야기, 부끄러운 비밀까지도 다 털어놓을 수 있는 유일한 친구였다. 서로 다른 지역에 살아서 잘 만나지는 못했지만 전화로는 자주 소식을 주고받았다.

   그런데 그 친구가 하루아침에 저세상으로 가 버렸다. 그때 처음 든 생각이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지?’였다. 평소에 인간이란 온갖 불확실성 속에 대책 없이 방치된 존재라고 믿어 왔지만, 이런 비보는 애초에 내 사전에는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 그런 일이 일어나고 말았다. 이럴 줄 알았으면 마지막 카톡에 답장이라도 해 줄걸…. 때늦은 후회가 밀려왔다.

   가족의 상실감이 무엇보다 크겠지만, 나 역시 한동안 세상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었다는 상실감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아무리 사람의 앞일은 모른다지만, 그 친구가 그렇게 황망히 세상을 떠나리라고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친구와 마지막으로 만난 것은 2013년 여름이었다. 오랜만이었지만 별로 중요한 얘기는 하지 않았다. 그냥 수다만 떨었던 것 같다. 세상에. 수다만 떨다니. 어떻게 친구와의 마지막 만남을 수다로 허비할 수 있지? 억장이 무너진다.

   처음에는 믿기지 않았다. 내 앞에 놓인 친구의 ‘실체적 죽음’이 현실이 아닌 것처럼 느껴졌다. 그러고 보면 그때까지만 해도 나는 내가 아직 죽음을 생각할 나이는 아니라고 여겼던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오만한 착각이었는지 곧 알게 되었다. 그 후로도 친구, 후배, 선배의 죽음이 줄줄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그 죽음들은 하나같이 나에게 “이제 너도 죽음을 생각할 나이야”라고 속삭이고 있었다.

   오늘 아침, 그다지 가깝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아주 멀지도 않은 누군가의 부고를 접했다. 이제는 이런 소식을 들을 때마다 내 곁에 죽음이 성큼 다가온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리하여 나는 참으로 성가신 일이기는 하지만, ‘죽음’에 대한 내 생각을 정리할 필요를 느낀다. 일종의 죽음에 대한 입장문이라고나 할까.

   독일의 작가 헤르만 헤세는 죽음을 ‘영원한 잠’에 비유한 ‘잠자리에 들 때’라는 시를 썼다. 아내가 정신병에 걸린 데다가 그 자신도 병이 든 상태에서 쓴 시이다. 여기에서 그는 낮 동안 너무 힘들게 일했으니 이제는 별밤을 맞은 어린아이처럼 영원한 잠 속으로 침잠하고 싶다고 얘기한다. 헤세가 말년에 쓴 이 아름다운 시에, 역시 말년을 맞은 작곡가 리하르트 게오르크 슈트라우스(1864∼1949)가 곡을 붙였다. 그 작품이 ‘네 개의 마지막 노래’의 세 번째 곡인 ‘잠자리에 들 때’이다.

   헤세나 슈트라우스나 모두 죽음을 이승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래서 슈트라우스는 ‘속박에서 벗어난 내 영혼은 자유롭게 하늘로 날아오르리’라는 가사에다 정말로 하늘을 훨훨 나는 것 같은 분위기의 선율을 붙였다. 나는 이 노래를 들을 때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점점 사라지는 것을 느낀다. 죽음은 영원한 잠, 영원한 휴식이니까. 그냥 존재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니까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아일랜드 민요 ‘오! 대니 보이’는 ‘나는 당신이 나에게 올 때까지 그저 평화롭게 잠자고 있을게요(I simply sleep in peace, until you come to me)’라는 가사로 끝난다. 죽음을 맞았을 때, 내가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다. 문장 중에 ‘심플리(simply)’라는 단어가 특히 마음에 든다. 나는 그렇게 아무 걱정 없이 ‘그저’ 편안하게 잠들어 있을 것이다.

   먼저 세상을 떠난 내 친구도 아마 편안하게 잠자고 있을 것이다. 육체는 스러지고, 남는 것은 기억뿐이다. 나는 점점 희미해지는 기억의 조각들을 끄집어내 친구와 함께했던 소중한 시간들을 열심히 추억하고 있다. 나는 내세를 믿지 않기에 친구에게 ‘다시 만날 때까지’라는 말은 하지 않겠다. 설사 내가 죽는다 하더라도 우리가 다시 만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내가 친구와 같은 상태 즉, 존재의 무(無)로 돌아갈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에서 무한한 친근감, 동료 의식을 느낀다.

   나는 살아 있는 동안 단 일 분 일 초의 시간도 낭비하지 않고 충분히 ‘살아 있음’을 누릴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홀연히 이 세상에서 사라지고 싶다. 하지만 사실 ‘홀연히’ 사라지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죽음에 이르는 과정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시점에서 내가 바라는 것은 단 하나. 죽음으로 이르는 과정이 너무 고통스럽지 않기를, 너무 고통스러워 ‘살아 있음’ 자체를 저주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는 것뿐이다.

                                                                            <참고문헌>

   1. 진회숙, "살며 생각하며", 문화일보, 2022.1.28일자. 33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440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399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18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45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69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3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15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5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88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6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36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79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73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40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17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12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39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58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52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39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5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