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우리의 전통놀이를 복원해 살리자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1.03 03:56


                                                우리의 전통놀이를 복원해 살리자

   오징어게임의 열풍이 거셌던 한 해가 저물고 있다. 전세계가 열광했던 오징어게임은 넷플리스 서비스국가 94개국에서 1위를 하며 넷플리스 시가 총액이 약 33조 원 상승했다. 그러나 정작 한국에선 '생존 서바이벌'이라는 잔혹성 등 때문에 외면당했다고 한다. 한동안 잊혔던 오징어게임 드라마를 보며 우리의 전통놀이가 세계적인 놀이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봤다.

   드라마의 소재가 됐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홀·짝', '달고나', '줄다리기' 등은 어릴 적 친구들과 동네에서 혹은 학교운동회 때 즐겼던 놀이였다. 특히 현재 50-60대는 오징어 놀이에 대한 기억이 많을 것이다. 맨땅에 오징어 그림을 크게 그려놓고 삼삼오오 공·수로 나눠, 공격팀이 수비팀들을 뚫고 오징어 머리를 밟으면 이기는 놀이다. 암만 생각해도 참 재미있었다. 오징어놀이와 함께 비석치기, 구슬치기, 자치기, 딱지치기, 제기차기, 윷놀이 등 다양한 놀이들이 있었다.

   한편으론 이런 놀이들을 통해 협동심과 함께 종종 사소한 다툼이 벌어지더라도 화해하는 공동체의식도 자연스레 익혔지 않았나 싶다. 지금이야 스마트폰 하나로 모든 게 해결되는 세상 아닌가! 가족과 연인은 없어도 스마트폰 없으면 안되는 세상이다. 이미 스마프폰은 전국민의 필수품이 됐다.

   하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이 많이 속출되고 있다. 의사가 칼을 들면 생명을 살리지만, 강도가 칼을 들면 살인을 하듯, 조주빈의 디지털 성범죄 텔레그램 음란방 소위 n번방 사건 같은 흉악한 범죄들이 만연하다. 이 사건은 전국민을 소스라치게 했다. 더욱 놀라운 건 피해자들 대부분이 청소년이라는 것이다. 홀로 노는 문화가 만연하다 보니 사회전반이 건강하지 못하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아침에 눈뜨며 울려대는 카톡음을 들으며 하루를 시작한다. 댓글보단 소위 눈팅만 하는 경우가 많다. 요즘엔 남의 사생활을 몰래 훔쳐보는 불법촬영 기사들이 자주 목도된다. 주범들도 학교장부터 신분도 다양하다. 왠지 마음이 씁쓸해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동물이다. 우리는 이 세상을 혼자 살지 않는다. 우선은 우리 스스로가 이 사회에 일원이라는 분명한 자각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건겅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SNS의 건전한 문화와 더불어 사람들이 같이 어울릴 수 있는 놀이의 장을 많이 만들어 나갔으면 한다. '놀이'란 생활상의 이해관계를 떠나서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목적이 없는 활동으로서 즐거움과 흥겨움을 동반하는 가장 자유롭고 해방된 인간 활동이다. 이번 오징어게임을 보며 우리 전통놀이에 대한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인식을 달리했으면 한다.

   어쩌면 우리 전통놀이를 언제나 마주할 기회가 없지 않나 싶다. 민속촌이나 민속마을정도에서 볼 수 있고, 지금은 시골 동네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그나마 정월 대보름 때나 모여 윷놀이를 하는 정도다. 지자체나 관련단체가 전통놀이 활성화를 위해 나서줬으면 한다. 주말에 인파가 많은 엑스포남문광장에 가족단위, 연인 등 시민들을 위한 윷놀이 존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싶다. 제기차기, 널뛰기 존도 만들고, 기왕이면 다중이 같이하는 줄다리기도 가지라면 좋을 듯 싶다. 청소년들이 많이 찾는 은행동 으능정이에도 우리 전통놀이 존을 만들어 주면 좋겠다. 전통놀이는 하면 할수록 흥미롭고 재미있다. 특별한 능력이 없어도 누구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 운동회 때도 전통민속놀이 종목이 필히 들어갔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1. 류용태, "우리의 전통놀이를 살리자", 대전일보, 2021.12.28일자. 18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875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409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52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57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80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403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28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35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99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65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49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90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84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57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30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22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48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68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69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50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85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