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 아동문학을 개척하고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다간 권정생 선생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2.30 02:35

                                        한국 아동문학을 개척하고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다간 권정생 선생

                                        이충렬 작가가 쓴 전기 '아름다운 사람 권정생' 출간

2006년 '랑랑별 때때롱'을 집필할 때의 권정생 선생 모습.
                                                     2006년 '랑랑별 때때롱'을 집필할 때의 권정생 선생 모습.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제공]

이충렬 작가
                                                                                  이충렬 작가

    권정생은 서른 살도 되기 전에 결핵균으로 상한 콩팥 두 개 중 하나를 떼어내고 상태가 악화해 방광 절제술까지 받는다. 그 후 옆구리에는 고무 호스로 연결한 소변 주머니를 차게 됐고, 평생 이것을 갈아 끼우며 고통과 싸워야 했다. 당시 수술을 해준 의사는 '조심하면 2년가량은 살 수 있을 것'이라며 잘 견디라고 한다. 몸을 쓰는 일을 하지 못하고 앓는 것밖에 할 수 없었던 그는 함께 살던 남동생에게 짐이 되기 싫어 동생을 결혼시켜 내보낸 뒤 동네 교회에서 '종지기' 생활을 시작한다. 교회 문간방을 쓰는 대신 무임으로 교회 허드렛일과 시간 맞춰 종을 울리는 일을 하게 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생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에 유일한 꿈인 글쓰기, 이야기 짓기에 매달린다.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한 줄이라도 남기고 싶다는 바람에서다. 초등학교에 다닌 것이 학력의 전부인 그가 글쓰기를 배운 적도 없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글을 아픈 와중에 한 줄 한 줄 써내려간다. 그렇게 쓴 동화를 지방 신문 신춘문예에 응모한 뒤 애타게 소식을 기다리고, 몇 차례 최종 후보까지 오르면서도 아쉬운 점이 있다는 심사평을 받아들고 한숨짓는 모습은 독자의 마음을 안타깝게 한다.

    병세가 악화해도 너무 가난해 보건소에서 받은 약으로 겨우 버티고, 등단한 뒤에도 원고 청탁이 없거나 원고를 써보내도 원고료가 오지 않아 하루하루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은 그야말로 처절하다. 그러면서도 그는 늘 이번 작품이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혼신을 다해 글을 쓴다.

   이 책에는 특히 전쟁과 분단, 베트남 파병 등 질곡의 현대사 속에 가족을 잃고 가난에 시달리며 힘겹게 사는 시골 이웃, 아이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며 이들을 진정으로 보듬어줄 작품을 쓰려고 노력한 권정생의 작가 정신이 상세히 기술돼 있다.

   작가는 권정생의 작품 원전을 꼼꼼히 찾아보는 과정에서 그가 열여덟 살 때 써 잡지 '학원'에 아명 '권경수'로 발표한 소설 '여선생'을 발굴해 이 책에 부록으로 처음 공개했다.

   또 평생 홀로 살았던 권정생이 특별한 감정으로 만난 한 여인의 이야기도 처음 다뤘다. 유언장에 "다시 태어난다면 연애를 하고 싶고, 벌벌 떨지 않고 잘할 것이다"라고 쓴 기록을 토대로 생가 마을 사람들을 수소문해 찾아낸 여성이다. 그 여성은 이충렬 작가와의 인터뷰에서 권정생으로부터 지인 이현주 목사를 통해 '대리 청혼'을 받았지만, 직접 청혼한 것이 아니어서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사연을 털어놓는다.

   작가는 "이 책을 쓰는 데 총 2년 반 정도 걸렸다. 실제로 쓴 것은 6개월밖에 안 걸렸지만, 기본 연보를 만드는 데 2년이 걸렸다. 그만큼 자료 조사에 많은 시간을 쏟아부었고, 본인이 말한 내용도 신문기사나 잡지 기록과 비교했다. 중요한 내용은 다 다뤘고 오류가 없도록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이 권정생 연구의 정본(定本)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동문학가 권정생의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 - 2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645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402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37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49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73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7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21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8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93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8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43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84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76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45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24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14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42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63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58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44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9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