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모윤숙(毛允淑)의 생애와 업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7.28 15:24
                                                                    모윤숙(毛允淑)의 생애와 업적

    1909년 4월 24일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했다. 1925년 함흥 영생보통학교(永生普通學校), 1927년 개성 호수돈여자고등보통학교(好壽敦女子高等學校)를 졸업하고, 1927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예과에 입학했다. 1931년 영문과를 졸업했으며, 4월 북간도 용정(龍井)에 위치한 명신여학교(明信女學校)에 교사로 재직했다. 같은 해 12월 잡지 『동광(東光)』에 시「피로 색인 당신의 얼굴」을 발표했다. 1932년 5월 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 교사가 되었으며, 1933년 10월 조선창문사(朝鮮彰文社)에서 첫 시집 『빛나는 지역(地域)』을 출간했다. 1934년 보성전문학교 교수였던 안호상(安浩相)과 혼인했다. 1934년 12월부터 1938년 3월까지 극예술연구회 동인을 지냈고, 1935년 경성중앙방송국에 취직했다. 같은 해 2월부터 12월까지 『시원(詩苑)』의 동인으로 활동했다.
    1937년 청구문화사에서 산문과 시의 중간 형식인 『렌의 애가(哀歌)』를 출간했으며, 1938년 1월부터 4월까지 『삼천리문학』에서 근무했다. 1940년 2월 조선문인협회 주최로 평양에서 열린 문예경연대회에서 시를 낭독했고, 같은 해 10월 조선문인협회 주최 문사부대(文士部隊) 육군지원병훈련소 1일 입소에 참여했다. 1940년 11월 조선문인협회 간사를 맡아 1943년 4월까지 활동했다. 1941년 1월 『삼천리』에 시 「지원병에게」, 5월 『매일신보』에 시 「아가야 너는-해군 기념일을 맞이하여」를 발표했다. 같은 해 9월 임전대책협력회가 ‘채권가두유격대’를 꾸려 ‘애국채권’을 팔 때 종로대원으로 참가했으며, 조선임전보국단의 경성지부 발기인 겸 산하 부인대의 간사를 겸임했다. 같은 해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사업부 부원을 맡았고, 부민관에서 열린 조선임전보국단 결전부인대회에서 「여성도 전사(戰士)다」라는 제목으로 연설했다.
    1942년 2월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의 군복 수리 근로와 조선임전보국단과 국민총력 경성부연맹이 주최한 ‘저축강조 전진 대강연회’ 연사, 5월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주최 ‘군국의 어머니 좌담회’, 12월 ‘대동아전(大東亞戰) 1주년 기념 국민시 낭독회’에 참여했다. 1943년 3월과 8월 작사한 군국 가요 「군국의 어머니」와 「어머니의 희망」이 방송되었고, 8월 경성부와 대일본부인회 경성지부가 공동 개최한 부인계발강연회에 ‘시국에 처한 부인의 각오’란 주제로 강연했다. 같은 해 11월 12일자 『매일신보』에 시 「내 어머니 한 말씀에」를 발표하고, 조선교화단체연합회가 육군특별지원병제도를 선전 선동하기 위해 조직한 전위여성격려대의 강사로 활동했다. 1945년 7월 국민총력조선연맹의 후신인 국민의용대의 경성부 연합 국민의용대 결성식에 참석했다.
     해방 후인 1947년 시집 『옥비녀』를 출간했고, 10월 파리에서 열린 제3차 UN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가했다. 1949년 월간 문예지 『문예(藝術)』를 창간했으며, 1950년 5월 한양 여성클럽 회장, 12월 대한여자청년단총본부 단장을 맡았다. 1951년 4월부터 이화여자대학에서 강의했으며, 1954년 9월 국제펜클럽 본부 부위원장, 1955년 한국자유문학가협회 시분과 위원장, 1955년 5월 한국문화단체총연합회 최고위원을 맡았다. 1959년 일문서관에서 시집 『정경(情景)』과 소설집 『그 아내의 수기』를 출간했다.
     1960년 국제펜클럽 한국위원장을 맡으며, 수필집 『포도원』을 발간했고, 1961년 이화여자대학교 문화공로상을 수상했다. 1962년 시집 『빛나는 지역』을 출간했으며, 1963년 7월 예술원상 문학부문상을 수상했다. 1969년 여류문인협회 회장을 맡았다. 1970년 시집 『풍토』와 수필집 『밀물 썰물』을 발간하고, 국민훈장 모란장(牡丹章)을 받았다. 같은 해 민주공화당의 전국구 국회의원 등을 역임했으며, 1973년 『호반의 목소리』를 출간하고, 한국현대시협회 회장에 추대되었다. 1977년 5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황룡사 9층 석탑』으로 3·1문화상을 수상했다. 1980년 문학진흥재단 이사장을 맡았다. 1982년 『모윤숙 전집』, 1986년 『영운 모윤숙 문학전집』이 간행되었다. 1987년 대한민국예술원 원로회원이 되었다. 1990년 6월 7일 사망했으며, 다음 날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는 1959년 시집 『정경(情景)』, 1964년 『구름의 연가(戀歌)』, 1970년 『풍토(0風土)』 등이 있고, 1974년 서사 시집 『논개(論介)』, 1953년 수필집 『내가 본 세상』, 1960년 『포도원』이 있다. 이밖에 1974년 『모윤숙 시 전집』과 1982년 『모윤숙 전집』, 1987년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등이 출판되었다.
     모윤숙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1·13·17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5: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290∼335)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1.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5: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현대문화사,2009)
    2.. 『친일인명사전』1(민족문제연구소,2009)

    3. 『친일문학론』(임종국,민족문제연구소,2002)

    4. 『모윤숙 시 연구』(송영순,국학자료원,1997) 

    5. 『한국근대문인대사전』(권영민,아세아문화사,1991)

    6. 「모윤숙의 시대별 인식의 변화와 활동」(배안숙,『역사연구』26,2014)

    7. 「여류명사들의 친일행적」(장하진,『역사비평』9,1990)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51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400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30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47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71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5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18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7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91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7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42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82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74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41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23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13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41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61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53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42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7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