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십무(大田十舞), 문화재적 가치 충분하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27 03:10

                                                                대전십무(大田十舞), 문화재적 가치 충분하다

    
                             첨부사진1
                                                                             사재동 충남대 명예교수

    최근 대전연정국악원 대공연장에서 정은혜의 '대전십무', 그 공연을 보았다. 기실 이 작품은 대전의 자연과 인문, 인물들이 빚어낸 전통문화의 구체적인 10개 분야를 소재로 창작해 낸 무용이다. '본향', '계족산 판타지', '갑천, 그리움', '유성학춤', '대바라춤', '한밭 규수춤', '대전양반춤', '취금헌무', '호연재를 그리다', '한밭북춤'의 각 편은 독자적 작품이면서 전체적으로 장편을 이루며 문학적으로 조직돼 큰 효과를 내고 있다.

    첫째, 그 주제·내용의 설정이 중후하고 값지다. 우리 문화 예술의 이상, 진·선·미·성의 경지를 내세우고 그 윤리·덕목을 이념으로 실천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예술작품 전반에서 추구하는 주제·내용과 보편적으로 상응하는 터다.

    둘째, 그 구성이 효과적으로 잘 짜여 있다. 우선 그 배경이 사실적으로 배치됐다. 이것은 그 사건 진행, 서사적 문맥의 진전에 맞춰 각양각색으로 생동하게 펼쳐진다. 등장인물의 성격과 기능을 개성적으로 특색있게 부여하고 '발단'에서 '예건의 설명'-'유발적 사건'-'상승적 동작'- '절정'-'하강적 동작'-'대단원'의 동선을 효율적으로 밟아 나갔던 터다.

    셋째, 그 표현이 사실적이고 섬세하다. 그리고 아름답다. 배경의 표현이 움직이는 시각예술의 경지를 이루고 등장인물의 의상이 성격·기능, 그 특징을 십분 살리도록 적절히 설계돼 있으며, 분장도 매한가지로 이에 부합된다. 마침내 그 춤사위가 변화무쌍하고 역동적이며 섬세한 몸짓으로 표현된다. 이 춤사위는 각 편에서 공통되기도 하고 특성화되기도 하면서, 서사적 충격과 서정적 감명, 마침내 진·선·미·성의 융합적 예술세계를 창출하는 것이다.

    '대전십무'는 거의 20년에 걸쳐 작품별로 평균 50여 회의 공연을 하였으며 소헌의 예술감독·안무에 의해 대전으로부터 국내, 외국에 이르기까지 많이 공연됐다는 사실은 무용사 내지 공연예술사적인 의미가 매우 크다. 그 의미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이 무용작가가 그만한 명품·대작을 창작해, 예술감독으로 안무해 장기간에 걸쳐 이만큼 널리 공연해 온 공적이 너무도 크다는 점이다. 한 사람 무용 전문가의 염원과 열정, 그 역량이 얼마나 대단하며, 값지고 보람찬 일인가.

    둘째, 이 작품이 그만큼 공연되면서 이 무용예술을 오래 널리 유통·보급하고 발전·대중화시켰다는 점이다. 우선 이 대전 문화계, 무용예술이 저조한 이 현장에서, '대전의 무용'을 창작해 꾸준하고 성실하게 지속적으로 공연해 이를 보급하고 시민화했으니, 이 지방 무용예술사 내지 공연문화사 상에 기여한 바가 실로 크다고 하겠다. 나아가 이 작품이 외국에서 공연·공인됨으로써, 세계적 작품으로 진출하는 길을 열게 됐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 하거니와, 그만큼 이 작품이 세계적 수준의 명품, 그 공연임을 실증하는 터라 하겠다.

    셋째, 이 작품이 그만한 공연과정에서 그 작가의 창작이념과 안무정신에 따라 점차 완성도를 높여 왔다는 점이다. 그것은 그 작가 소헌이 그 많은 공연에서, 그때 그때 그 작품의 공연마다 보다 완벽한 작품, 최선의 공연을 위해 그 능력과 열정을 다 바쳐 왔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실제로 이 작품들은 발전을 거듭, 완전에 가까운 '대전십무'로 집대성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기에 이 모든 관중들이 감동·공감하고, 저명한 무용평론가들이 한결같이 높게 평가하는 터다.

    이상과 같이 소헌 정은혜가 대전의 전통에 입각하여 공들여 창작한 '대전십무'는 대전의 무용, 명품으로서, 그 대본과 공연을 통하여 한국의 빼어난 작품으로 행세했다. 이 작품이 오랜 기간 널리 공연되면서, 완전한 작품·공연을 이룩, 대전무용과 한국무용의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적 진출의 길을 열었다. 그리고 이 작품은 대전 문화, 무용문화재로 정립됐다. 그러기에 대전시 문화당국과 문화시민들은 이를 높이 평가하고 육성·발전시키는 데에 최선을 다해야 될 것이다. 그리고 한국무용계와 문화재당국에서는 이 작품과 그 공연을 국가무용문화재로 공인해,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보호·진흥시켜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이 작품이 해외에 진출해 한국무용의 실상과 위상을 선양하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참고문헌>
   1. 사재동, "대전십무(大田十舞), 문화재적 가치 충분하다", 대전일보, 2021.5 26일자. 21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192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394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10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39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62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0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12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1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83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1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32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75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68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34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11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07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35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52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47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34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1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