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자산어보’와 사물 탐구의 역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02 16:24

                                                                               ‘자산어보’와 사물 탐구의 역사


동아일보

   

    이준익 감독의 영화 ‘자산어보(玆山魚譜)’는 19세기 조선을 다룬다. 19세기에는 주류 학문 경향에서 벗어난 새로운 흐름, 즉 세계의 경험적 탐구에 대한 드높은 관심이 있었다고 한다. 이준익 감독은 그 관심의 결과인 정약전(丁若銓)의 ‘자산어보’에 주목하고, 자기 나름의 해석을 내어 놓는다. 학문적으로 타당한지와 무관하게, 그 해석은 경청할 가치가 있다.

    정약전은 신유사옥(辛酉邪獄)이라는 가톨릭 신자 박해사건에 연루되어 흑산도로 유배 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박물학 계통의 저작 ‘자산어보’를 편찬한다. 해양수산부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당시 과학이 발달한 어느 서양 국가에서도 근대 과학적 동식물 분류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았던 시대였기 때문에, 생물학자도 아닌 정약전이 이런 다양한 해양생물을 묶어 설명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나 과학적으로도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정약전이 근대 과학적 분류법을 확립해냈다는 말일까? 아니면, ‘자산어보’가 세계적으로 드문 시도라는 말일까?

동아일보

     일본 구리모토 단슈가 그린 ‘율씨어보’의 삽화.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제공


     분류에 기초한 박물학 저술이라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존재해 왔다. 서양의 경우, 로마의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61∼112년)의 ‘박물지’, 프랑스의 G. L. L. 뷔퐁의 ‘박물지’ 등이 있고, 그 책들에는 어류를 다룬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 장화(張華)의 ‘박물지’ 외에도, 도본준(屠本畯)의 ‘민중해착소(민中海錯疏)’, 섭황((섭,접)璜)의 ‘해착도(海錯圖)’ 등 어류 박물 저서가 있다. 일본의 경우, 간다 겐센(神田玄泉)의 ‘일동어보(日東魚譜)’와 구리모토 단슈(栗本丹洲)의 ‘율씨어보(栗氏魚譜)’ 외에도 ‘황화어보(皇和魚譜)’, ‘매원어보(梅園魚譜)’ 등 여러 ‘어보’가 있다.

     그렇다면, ‘자산어보’는 기존 박물학 전통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근대적’ 저술이기에 특별할 것일까? 영화에 따르면, ‘자산어보’가 근대적이어서 특별하다기보다는 19세기 조선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 있기에 특별하다. 중국의 경우, 청나라 만주족 정권이 한족 지식인들을 몰정치적인 학문에 몰아넣은 결과 고증학과 박물학이 흥성했다는 해석도 있지만, 19세기 조선의 박물학은 그와는 다른 정치성을 띤다. 영화 ‘자산어보’는 몰정치적인 사물 탐구가 어떤 정치적 의미를 띨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영화 속 정약전이 끝내 멀리하고자 한 사상은 성리학(性理學)이다. 성리학은 인간과 정치에 대한 지극한 관심으로 가득하다. 성리학자는 인간의 본성과 세계의 개선 가능성을 믿는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선한 본성을 실현하면 좋은 정치가 가능하고, 그 좋은 정치를 통해 세상을 바로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너나 할 것 없이 세상을 바로잡겠다는 도덕적인 영웅인 것처럼 인간과 정치에 대해 한마디씩 거든다.

동아일보

인간 세계의 원리를 기호적 형상으로 담은 ‘인극도’.


    영화 속 정약전은 그 성리학자들이 실제 정치판에서 어떻게 행동했는지 질리도록 체험한 사람이다. 그리고 그는 실망했다. 단순히 정책에 실망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정권에 실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정치 그 자체에 대해 실망하게 되었을 때, 사람은 세간에 대한 욕망과 집착을 아예 끊어버리려고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끝내 그럴 수 없는 게 인간이라면, 그는 인간이 아닌 사물에 매료된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기는커녕, 짱뚱어가 사람보다 아름답다. 정치와 출세에 무관한 사물을 기어이 찾아내어 거기에 애틋하고 집요한 관심을 쏟는다. 정약전과 마찬가지로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진해에 유배된 김려(金(려,여))는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를 저술했다. 19세기 전반 한국의 대표적 ‘어보’ 저술자들이 모두 유배자라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인간에게 아직 실망하지 않은 사람은 어떤 박물학을 전개하나? 그런 사람은 ‘어보’가 아니라 ‘인보(人譜)’를 쓴다. 인간과 정치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은 명나라 학자 유종주(劉宗周)가 지은 ‘인보’는 인간의 선한 본성과 그 본성을 실현하기 위한 모색들로 가득 차 있다. 그리고 ‘인보’는 ‘어보’와는 달리 구체적인 사물을 묘사한 그림 대신에 ‘인극도(人極圖)’처럼 인간 세계 원리를 담은 기호적인 형상을 남긴다.

     그러나 ‘어보’의 세계는 ‘인보’의 세계와 다르다. “이 물고기는 헤엄을 잘 치고 도약을 잘해서 사람 그림자만 보아도 도망간다.” “이 물고기는 사람에게 곤란을 당하면 날아서 벌판에 떨어진다.” 세상을 바로잡을 원리를 파악했다는 성리학적 기쁨이 아니라 모르는 대상을 알아가는 데서 오는 몰정치적 기쁨이 ‘자산어보’에는 있다. 원리를 모른다고 인정하는 사람만이 미지의 세계를 향한 겸허한 지식 탐구에 나설 수 있다. 그는 인간의 정치를 떠나 비인간의 사물 세계로 망명한 것이다. 그는 인적이 점점 드물어지는 사물의 세계로 점점 더 깊이 들어간다. 시야에서 사라지기 전 마지막으로 고개를 돌려 말한다. 절 잊으세요. 그게 사실 그다지 어려운 일도 아니잖아요?
                                                                                       <참고문헌>
    1. 김영민, "인간이 싫다, 사물이 더 아름답다", 동아일보, 2021.4.19일자. A28면.


시청자 게시판

2,095개(7/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63 2018.04.12
1974 조선 내각총라대신 김홍집 살해사건 사진 신상구 417 2023.02.19
1973 <특별기고> 연담 이운규 선생의 후천개벽사상과 남학의거운동 신상구 299 2023.02.19
1972 <특별기고> 2023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신상구 220 2023.02.19
1971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사진 신상구 457 2023.02.19
1970 <특별기고> 운초 계연수 선생의 생애와 업적<실존인믈&g 신상구 671 2022.09.15
1969 한국전통문화대 崔英成 교수, 목은 이색 문집서 ‘天符經’ 언급 발견 사진 신상구 794 2022.09.15
1968 세종시 원로서예가 송암 민복기(松巖 閔復基) 선생 사진 신상구 941 2022.09.06
1967 가난했던 이중섭은 병문안 선물 살 돈 없어 그림 건넸죠 사진 신상구 728 2022.09.01
1966 공덕동 빌딩 숲에 숨어 있는 권력의 쓸쓸함 사진 신상구 593 2022.09.01
1965 백제 ‘은꽃 장식’에 담긴 성왕의 강국건설 의지 사진 신상구 361 2022.08.31
1964 中, 70년 유지 조선족 한글 간판 단속 사진 신상구 348 2022.08.30
1963 지진아 아인슈타인 깨운 3가지...나침판, 바이올린, 토론 사진 신상구 421 2022.08.24
1962 그림자 없는 평등 세상, 장욱진의 이상향 사진 신상구 263 2022.08.24
1961 거문도 사건 전말 사진 신상구 478 2022.08.19
1960 중부권메가시티와 충청문화르네상스 사진 신상구 296 2022.08.18
1959 무속(巫俗)의 허와 실 신상구 523 2022.08.17
1958 위대한 문학은 제도·권력·유행의 경계 밖에서 ‘눈물 닦아주는 손’ 신상구 303 2022.08.17
1957 고려인 최초 정착지에 세운 ‘추모의 벽’, 15人 독립영웅 우뚝 사진 신상구 459 2022.08.17
1956 <특별기고> 8.15광복 77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주요 과제 사진 신상구 329 2022.08.17
1955 윤석열 대통령 광복절 77주년 경축사 전문 신상구 218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