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칠례의 민중시인 파블로 네루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19 03:51

                                                                              칠례의 민중시인 파블로 네루다     


     파블로 네루다는   본 명이 네프탈리 리카르도 레예스 바소알토(Neftali Ricardo Reyes Basoalto)이다..

    칠레 중부 파랄에서 철도원인 아버지와 교사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태어나자마자 어머니는 죽고, 아버지는 테무코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재혼한다. 네루다는 테무코에서 유년기를 보낸다.

    13살 나이에 일간지 '라 마냐나'에 글을 쓰고 시집을 냈으며, 1920년부터 문학전문지 '셀바 아우스트랄'에 파블로 네루다라는 필명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 필명은 그가 흠모하던 체코 시인 얀 네루다(1834~1891)에게서 따온 이름이다.

     1921년 테무코를 떠나 수도인 산티아고 칠레대학에서 불문학, 교육학 등을 공부했는데, 1921년 10월 <제가(祭歌)>라는 시로 칠레 학생연맹이 주최한 백일장에서 1등상을 탔으며, 이 연맹이 펴내는 잡지 '클라리다드'에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1923년 처녀시집 <황혼의 노래>를 자비로 출판했으며, 이듬해에는 <스무 편의 사랑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를 냈는데, 이것은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널리 읽혔다. 이 책은 나오자마자 성공을 거두었고, 그뒤로도 꾸준히 인기를 얻었다.

    네루다는 1927년 버마 랑군 주재 명예영사로 임명받았으며 그뒤 세일론, 자바, 싱가포르, 부에노스 아이레스, 마드리드 등에 머물며 외교관 생활을 하였다. 네루다는 1936년 스페인 내전과 친구 가르시아 로르까의 처형 등에서 받은 충격으로 이후 정치-사회적 문제에 크게 집착한다.

    그는 1938년 스페인 망명객들을 이끌고 칠레로 돌아왔으나 칠레 정부는 곧 그를 멕시코로 보냈다. 이곳에서 왕성한 창작기에 접어들었으며, 이때 쓴 시의 대부분은 유럽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대전과 특히 독일군의 맹공격에 맞서 스탈린그라드를 사수하려는 영웅적 활약상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었다.

    그는 1943년에 귀국하여 공산당 소속으로 상원의원이 된다. 그러나 칠레에 우익정부가 들어서면서 곤잘레스 비델라 대통령에게 저항했다가 2년 동안 숨어 살아야 했고, 45살에 다시 고국을 떠나야 했으며, 유럽의 여러나라를 전전하다 48살에 다시 귀국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이어간다.

    이후로도 네루다는 러시아, 중국, 쿠바 등을 여행하며 문필활동을 계속했고, 1970년에 집권한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은 그를 프랑스 대사(1970~1972)로 임명한다.

    네루다는 초기 시집 <스무편의 사랑의 시와 한편의 절망의 노래>에서 관능적 표현의 서정시를 주로 썼으나 이후 시집 <지상에서 살기>까지를 통해 초현실주의 기법의 시들을 썼으며, 스페인 내전(1936)에 참가한 것을 계기로 현실 참여의 시들을 썼다. 평생 40여 권의 시집을 출간한 그는 1971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73년 산티아고에서 숨졌다.

     한편 1995년엔 파블로 네루다와 외딴섬 우편배달부가 나누는 소박한 우정과 사랑을 담은 이탈리아 영화 <일포스티노(Il Postino)>가 개봉되어 많은 사랑을 받기도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파블로 네루다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청자 게시판

2,095개(7/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48 2018.04.12
1974 조선 내각총라대신 김홍집 살해사건 사진 신상구 416 2023.02.19
1973 <특별기고> 연담 이운규 선생의 후천개벽사상과 남학의거운동 신상구 298 2023.02.19
1972 <특별기고> 2023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신상구 220 2023.02.19
1971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사진 신상구 457 2023.02.19
1970 <특별기고> 운초 계연수 선생의 생애와 업적<실존인믈&g 신상구 671 2022.09.15
1969 한국전통문화대 崔英成 교수, 목은 이색 문집서 ‘天符經’ 언급 발견 사진 신상구 791 2022.09.15
1968 세종시 원로서예가 송암 민복기(松巖 閔復基) 선생 사진 신상구 938 2022.09.06
1967 가난했던 이중섭은 병문안 선물 살 돈 없어 그림 건넸죠 사진 신상구 726 2022.09.01
1966 공덕동 빌딩 숲에 숨어 있는 권력의 쓸쓸함 사진 신상구 593 2022.09.01
1965 백제 ‘은꽃 장식’에 담긴 성왕의 강국건설 의지 사진 신상구 361 2022.08.31
1964 中, 70년 유지 조선족 한글 간판 단속 사진 신상구 346 2022.08.30
1963 지진아 아인슈타인 깨운 3가지...나침판, 바이올린, 토론 사진 신상구 421 2022.08.24
1962 그림자 없는 평등 세상, 장욱진의 이상향 사진 신상구 263 2022.08.24
1961 거문도 사건 전말 사진 신상구 477 2022.08.19
1960 중부권메가시티와 충청문화르네상스 사진 신상구 295 2022.08.18
1959 무속(巫俗)의 허와 실 신상구 523 2022.08.17
1958 위대한 문학은 제도·권력·유행의 경계 밖에서 ‘눈물 닦아주는 손’ 신상구 303 2022.08.17
1957 고려인 최초 정착지에 세운 ‘추모의 벽’, 15人 독립영웅 우뚝 사진 신상구 459 2022.08.17
1956 <특별기고> 8.15광복 77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주요 과제 사진 신상구 329 2022.08.17
1955 윤석열 대통령 광복절 77주년 경축사 전문 신상구 217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