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17 01:18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AKR20210414159200504_01_i_P4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 16살 나이로 독립운동에 가담했던 대전 유일의 생존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이 14일 눈을 감았다. 향년 94세.

경북 김천 태생인 정완진 옹은 대구상업학교 재학 중인 1943년 4월 항일결사조직 태극단에 가입해 나라를 되찾기 위한 독립운동을 했다. 조국 광복을 염원한 태극단은 무장항일투쟁 준비와 군사관계서적 번역·폭발물 제조 연구 등을 하던 중 동료의 밀고로 전원 체포됐다. 정완진 옹은 6개월가량 수감된 채 갖은 고문을 당했다. 함께 독립운동을 하던 동지를 잃기도 했다.

정부는 독립운동에 헌신한 정완진 옹의 공훈을 인정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과 1963년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대전 유성구 계산동에 거주하던 정완진 옹은 생전 여러 차례 중도일보 인터뷰를 통해 70여 년 전 조국 해방의 기쁨을 전한 바 있다. 정완진 옹은 1945년 8월 15일을 '생애 최고의 감격'이라고 회고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3·1절도 정완진 옹에겐 특별하다. 1930년 3월 1일 기미독립선언일을 기념해 쓰인 심훈의 시(詩) '그날이 오면'을 여러 번 언급했던 정완진 옹은 그 정신을 특별히 여겼다. 각계 전언에 따르면 정완진 옹은 기력이 쇠약하던 중에도 지난 3·1절 무렵 의식과 기운이 평소보다 좋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민족 단결로 독립을 위해 투쟁하며 나아가 세계인류의 영원한 평화·자유·평등을 찾는다'는 태극단의 강령처럼 정완진 옹은 나라를 되찾은 오늘날 진정한 광복은 '평화 통일'에 있다고 강조했다.

광복 70주년이던 2015년 정완진 옹은 본보 인터뷰에서 "광복으로 긍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한국전쟁 후 남북 분단이라는 어두운 측면도 남아 있다"며 "앞으로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한반도 통일을 이루는 것이 진정한 광복의 길"이라고 말한 바 있다.

2018080901000862000037571
비록 평화 통일의 염원을 끝내 목격하지 못한 채 영면했지만 그의 뜻과 정신을 이어받고자 하는 각계 인사들의 추모가 이어지고 있다. 유성구청장 시절부터 광복절과 명절 등 주요 시기에 정완진 옹을 찾아간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14일 밤 장례식장을 찾아 조문하고 SNS를 통해 명복을 전했다. 허 시장은 지난 2월 설 명절을 앞두고도 정완진 옹의 자택을 방문한 바 있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15일 오전 조문 후 "독립운동에 헌신하시고 나라 발전을 위해 노력해오신 뜻을 잘 받들어 튼튼하고 부강한 나라를 만드는 데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완진 옹은 16일 대전현충원에 애국지사 제6묘역에 잠든다.
                                                                                          <참고문헌>

    1. 임효인, " 대전 유일 독립운동가 정완진 옹 "진정한 독립은 통일" 희망 남기고 타계", 중도일보, 2021.4.16일자. 7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210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395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11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39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62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0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12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1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83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2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32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76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68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34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11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07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36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52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47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34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1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