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사비백제사 재정립' 본격 나선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9.15 01:32

                                                                          '사비백제사 재정립' 본격 나선다

        [부여] 부여군이 왜곡된 백제 역사를 바로잡는 사비백제사 재정립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군은 지난 9일 부여군청 서동브리핑실에서 박정현 부여군수 주재로 사비백제사 재정립 편찬위원회를 열고 백제 역사 바로잡기에 시동을 걸었다.
   사비백제사 재정립 연구는 군이 (재)백제고도문화재단과 협약을 체결해 올해부터 추진하는 사업이다.
   사비백제사에 있어서 그동안 승자 중심의 기록으로 인해 저평가되고 왜곡된 내용을 바로잡고 백제 역사의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켜 대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추진된다. 또한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공신력을 확보하기 위해 백제학회와의 협업체계를 구축해 진행한다.
   사비백제사 재정립 편찬위원회는 성정용 충북대학교 교수가 위원장, 권오영 서울대학교 교수, 정재윤 공주대학교 교수, 김낙중 전북대학교 교수, 신희권 서울시립대학교 교수가 편찬위원을 맡은 가운데 집필진은 백제사 관련 전문가 29명이 맡아 원고 집필진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날 회의는 사업 추진경과, 기획회의 결과보고, 연구주제 및 집필지침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추진방안을 모색하는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물로서 편찬될 책자는 총 3권으로 구성되며, 본 도서 1권은 △사비시대를 연 성왕과 사비도성으로 사비도성의 건설과정과 특징 및 성왕의 역할을 기술하고, 2권은 △불국토의 나라와 유려한 백제문화로 위덕왕에서부터 무왕의 치세와 불교·백제 문화와 사상에 대한 조명을, 3권은 △백제와 함께한 의자왕을 주제로 하여 의자왕과 왜곡된 역사 재평가의 내용을 다루어 체계적인 집필을 통해 교정과 감수과정을 거쳐 2021년 12월 발간 예정이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부여는 사비백제 시대의 마지막 도읍지이자, 우리 군민들은 모두 백제의 후손으로서 그동안 전해오는 사비백제의 왜곡된 역사를 되짚어보고 바로잡아 후대에 전할 역사적 사명을 가지고 있다"며 "객관적이고 다양한 역사적 근거와 자료를 반영하여 백제사의 필독서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참고문헌>
   1. 이영민 ·조정호, "사비백제사 바로잡기 시동", 대전일보, 2020.9.11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7/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577 2018.04.12
2305 영원한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사진 신상구 400 2024.09.03
2304 2025년부터 사용될 검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7종 주요 내용 신상구 933 2024.09.03
2303 대구 대연학당 청고 이응문 선생 별세 신상구 447 2024.09.03
2302 <특별기고> 유관순 열사 영웅 만들기 프로젝트 실체 사진 신상구 471 2024.09.02
2301 한글문화 세계화를 주도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신상구 395 2024.08.31
2300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신상구 518 2024.08.31
2299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신상구 427 2024.08.30
2298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신상구 392 2024.08.30
2297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457 2024.08.30
2296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 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신상구 442 2024.08.30
2295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신상구 383 2024.08.30
2294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인 뉴라이트 역사 쿠데타 성공 못해 사진 신상구 374 2024.08.30
2293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사진 신상구 543 2024.08.29
2292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1] 신상구 623 2024.08.29
2291 모바일 이 분을 섭외해주세요 [1] 라이라 413 2024.08.28
2290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신상구 441 2024.08.28
2289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61 2024.08.28
2288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신상구 354 2024.08.27
2287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신상구 542 2024.08.27
2286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신상구 377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