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태안군, 역사자원 체계적인 보존 정비. 역사 관광 기반 마련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6.13 16:00

                             태안군, 역사자원 체계적인 보존 정비. 역사 관광 기반 마련


  

                                     ▲ 사진/ 태안읍성 복원 조감도.


    태안군이 관내 주요 역사자원인 태안읍성,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신두리해안사구를 종합적으로 정비해 역사 관광기반 마련에 두 팔 걷고 나섰다.

    2021년 6월 9일 군에 따르면 원북면 신두리 해안사구 종합정비사업을 비롯해 태안읍성 복원사업과 마애삼존불입상 보존사업에 행정력을 집중해 체계적으로 역사자원을 보전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군은 내년부터 2031년까지 천연기념물 제431호인 신두리 해안사구의 종합정비사업에 총 290억 9천만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지난 3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한우방목 및 소똥구리 복원 용역을 비롯해 토사제거 공사, 목책정비 공사, 외래식물제거 공사, 탐방출입로정비 공사, 모니터링 용역 등 올해엔 7억 1600만 원을 들여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단기, 중기, 장기 사업으로 나눠 총 6개 부문 11개 계획 45개 단위 사업으로 추진돼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해안사구인 신두리 해안사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신두리 해안사구는 이색적인 경치로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사진 명소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태안의 관광명소 중 하나다.

   또한 군은 600년의 역사를 지닌 충청남도기념물 제195호인 태안읍성 복원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417년에 축조된 태안읍성은 조선 초기 읍성 축성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지난 4월에는 태안읍성에서 문지, 옹성, 해자, 수로 등이 확인되고 각종 유물이 출토돼 큰 관심을 끈 바 있다.

   군은 지난달 복원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 발굴조사를 완료했으며 총 43억9천만 원을 투입하는 태안읍성 복원공사를 금년 하반기에 착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7월까지 관계전문가 자문을 통한 복원범위 설정 및 기본․실시설계도서 작성을 마치고 오는 8월 충청남도 문화재위원회에 현상변경허가를 신청. 국보 제307호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의 보존에도 적극 추진 한다.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은 우리나라 마애불상의 초기 예시로 일반적인 삼존불상과 달리 2구의 불입상과 1구의 보살입상이 한 조를 이루는 특이한 형식을 보이는 삼국시대 백제 최고(最古)의 마애불상으로 유명하다.

   군은 지난해 2월 마애삼존불입상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3월 문화재청 심의를 거쳤으며 현재 자동 정밀계측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거동특성 분석의 내용을 담은 모니터링 용역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오는 8월 보존관리 매뉴얼을 마련하고 학술심포지엄 개최 등 마애삼존불 보존관리방안 연구용역을 착수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태안의 풍부한 역사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비해 찾고 싶은 역사 관광지로 만들어 가겠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다양한 역사문화 자원을 보존함과 동시에 최신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김정한, "태안군, 역사자원 체계적인 보존 정비. 역사 관광 기반 마련", 대전투데이, 2021.6.10일자. 10


시청자 게시판

2,426개(6/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19908 2018.04.12
2325 청주고 대표 언론인 남재희 前 노동부 장관 별세 사진 신상구 394 2024.09.20
2324 조선·일본 무역 조약의 기틀 마련한 조선의 '일본통' 외교관 이예 사진 신상구 364 2024.09.20
2323 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없이는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신상구 387 2024.09.19
2322 뉴라이트의 함정 신상구 409 2024.09.18
2321 한국 사찰 최초 국가현충시설, 양산 통도사 사진 신상구 455 2024.09.15
2320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신상구 378 2024.09.15
2319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신상구 393 2024.09.12
2318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신상구 392 2024.09.08
2317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신상구 370 2024.09.08
2316 모바일 《태백진훈과 천부사상》 사진 첨부파일 김동섭 563 2024.09.07
2315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종군기자가 되어 1907년 고발한 의병 양민 학살 신상구 679 2024.09.07
2314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신상구 342 2024.09.07
2313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신상구 317 2024.09.07
2312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신상구 343 2024.09.07
2311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신상구 421 2024.09.07
2310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신상구 475 2024.09.06
2309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신상구 304 2024.09.06
2308 미분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신상구 473 2024.09.05
2307 손인주의 경제 번영을 위한 강대국 전략 신상구 364 2024.09.04
2306 백곡 김득신의 독서와 문학세계 신상구 378 2024.09.04